[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남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99 23%, #fff 23%, #fff 77%, #F9D537 77%)" '''{{{#003399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3399 {{{+1 강욱중}}}[br]姜旭中}}}'''}}}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욱중.jpg|width=100%]]}}} || ||<|2> '''출생''' ||[[1908년]] [[3월 9일]] || ||[[경상남도]] [[함안군]] || || '''사망''' ||[[1969년]] [[7월 1일]](향년 61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법조인이다. == 생애 == 1908년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조선변호사시험에 합격하여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한편 백민회 회장, 공론월간잡지사 사장, 조선법학회 상무이사 등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조선민족청년단 후보로 함안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49년 [[국회 프락치 사건]]으로 체포되었다. 1950년 [[6.25 전쟁]] 때 북한으로 갔는데 월북인지 납북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1969년 사망하여 [[재북인사릉]]에 안장되었다. == [[제헌 국회]] 활동 == 1948년 8월 2일 제1회 37차 본회의 당시 '정부수립을 위해서 고집과 편견을 버려야 한다'며 연설을 하였다. 1948년 8월 5일 제1회 40차 국회 본회의 당시 반민처벌법 기초위원으로 뽑혔다. [[분류:함안군 출신 인물]][[분류:1908년 출생]][[분류:1969년 사망]][[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조선민족청년단 국회의원]][[분류:재북인사릉 안장자]]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