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 ||<-2> {{{#ece5b6 '''{{{+1 당나라의 대신[br]장도안공(長道安公)[br]{{{+1 姜謨 | 강모}}}}}}'''}}} || || '''{{{#fff 작호}}}''' ||<(> 장도현공(長道縣公) || || '''{{{#fff 시호}}}''' ||<(> 안(安) || || '''{{{#fff 성}}}''' ||<(> 강(姜) || || '''{{{#fff 이름}}}''' ||<(> 모(謨) || || '''{{{#fff 부친}}}''' ||<(> 강경(姜景) || || '''{{{#fff 조부}}}''' ||<(> 강진(姜眞) || || '''{{{#fff 생몰}}}''' ||<(> ? ~ 627년 || || '''{{{#fff 출신}}}''' ||<(> 진주(秦州) 상규현(上邽縣) || || '''{{{#fff 국적}}}''' ||<(> 수(隋) → 당(唐) || [목차] [clearfix] == 개요 == [[당나라]]의 인물. == 생애 == 진주(秦州) 상규현(上邽縣) 출신으로 [[수나라]] 대업 연간 말에 진양현장(晉陽縣長)을 맡고 있었다. 수나라가 혼란한 와중에 강모는 태원 유수인 당공 이연과 친교를 맺었다. 이연이 진양에서 대장군부를 세운 뒤 강모는 사공참군(司功參軍)으로 임명되었고 이연의 거병에 종군하였다. 장안이 평정된 뒤에는 상국부(相國府) 병조참군(兵曹參軍)으로 제수되고 장도현공(長道縣公)에 봉해졌다. 이후 [[설거]]의 침공이 시작되자 강모는 두궤(竇軌)와 함께 대산관에서 출병하여 설거를 막았지만 두궤가 설거를 얕보는 바람에 패배하고 조정으로 돌아와 원외산기상시가 되었다. [[설거]]가 급사하고 [[설인고]]가 평정된 뒤, 강모는 진주(秦州) 자사로 부임했고 뒤에 농주(隴州) 자사로 전임되었다가 624년에 노환으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이후 강모는 627년에 사망하여 민주(岷州) 도독으로 추증되고 안(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분류:수당시대/인물]][[분류:627년 사망]][[분류:간쑤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