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릉영동대학교 UI.svg|width=300]]}}} || ||<-2> '''{{{+2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 ||<-2><#000> '''{{{#f60 GANGNEUNG YEONGDONG University}}}''' || || '''창단''' || 2006년 || || '''지역''' || 강원권 || || '''감독''' || 김철기 || || '''우승 기록'''[* 대통령배+전국대학야구선수권+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춘계리그+추계/하계리그+전국종합야구선수권] || 1회 || ||<-4>
'''역대 전적'''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4강 진출의 경우는 최근의 기록만 남아 있다.] || ||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ffffff '''대통령기'''}}}]] || 2019 || - || 2020 || ||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ffffff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 - || - || 2020 || || [[대한야구협회장배 전국대학야구대회|{{{#ffffff '''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 || - || 2020 || - || || {{{#ffffff '''대학야구 춘계/하계/추계리그'''}}} || - || - || - || ||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ffffff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 - || - || - || [목차][clearfix] == 개요 == 2006년에 창단한 '''[[전문대학|2년제]]''' 대학야구부. [[강릉영동대학교]]에 소속되어 있으며, 2010년대 후반 이후 [[한국대학야구]]의 신흥 강호로 부상한 팀이다. == 역사 == 창단 초기에는 프로 미지명 및 4년제 대학으로 가지 못한 선수들을 주로 받아들이는 평범한 '''2년제''' 대학 팀이었다. 그러다가 2010년대 중반 이후로 대학야구 선수들의 프로 지명률이 하락한 점, 우수한 선수들이 많이 분포해 있는 수도권과 인접한 대학교인 점, 4년제보다는 2년제로 진학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우수한 선수들이 대거 충원되었다. 졸업 후 프로로 가지는 못 하더라도 4년제 대학에 편입해 다시 기회를 노리는 선수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는 2019년에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에서 창단 첫 우승을 차지하는 결과로 귀결되었다. 그러나 이 대회 결승전은 상대 팀인 [[홍익대학교 야구부|홍익대]]가 심판 판정에 항의해 경기 막바지에 선수들을 철수시켜 몰수 게임 승리로 끝났기에 다소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겼다. 2020년에는 U-리그 왕중왕전 준우승,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와 대통령기 4강을 기록하며 여전히 강세를 이어갔다. 2018년과 2019년에는 [[전국체육대회(야구)]]에서 2년 연속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8년 전국체전에서는 [[동아대학교 야구부|동아대]]한테 패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고 2019년 전국체전에서는 [[동의대학교 야구부|동의대]]한테 패하며 2년 연속으로 은메달을 목에 걸게 되었다.] 2021년도 신인 드래프트에서 5명([[김동진(야구)|중퇴자 1명]] 포함)이 지명을 받았다. 하지만 이 팀은 선수 숫자가 워낙 많다 보니 공식 대회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 하고 졸업하거나 1~2년을 더 다니는 선수들이 부지기수다. 빠른 프로 진출을 위해 2년제 대학을 택하는 것이 꼭 바람직하지 만은 않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이런 의미에서 빛과 그림자가 공존하는 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나마 최근 다른 2년제 대학들이 야구부를 창단하고 있고 기존 4년제 대학도 얼리 드래프트 제도를 도입하면서 완화될 여지가 있다. 2021년에 총원 86명을 기록하는 등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대학야구 팀들 중 가장 많은 선수를 보유했으나 2023년에는 신입생 숫자가 줄어들면서 50명으로 축소되었다. 그리고 상당수의 선수들이 졸업 유예를 했다. 2023년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 결승전에 진출했다. 2023년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공동우승[* 우천으로 인해 동국대와 고려대 공동우승 처리]팀인 고려대와 결승에서 맞붙어서 초반에는 0-2로 앞서갔으나 6회초에 3-2로 역전을 당했다가 9회말에 희생 번트로 점수를 동점으로 만들었고 대타가 끝내기 적시타를 치면서 3-4로 고려대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 KUSF 대학야구 U-리그 왕중왕전에서는 24강에서 서스펜디드 게임까지 간 끝에 송원대를 꺾었으나 16강에서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야구부|용인예술과학대]]한테 패하며 탈락했다. == 야구부 출신 선수 == || 학번 || 성명 || || 06 || 강진영, 김민중[*A 원광대로 편입], 김연형, 남도, 노경원, 박신욱[*A 원광대로 편입], 안성진[*B 계명대로 편입], 안준호[*A 원광대로 편입], 이민규, 이장원 || || 07 || 김남훈, 김민성, [[김지용(1988)|김지용]], 김진목, 류영준, 문진호, 신웅휘, 오태운, 이대희, [[이상호(1989)|이상호]], 이성용[*A 원광대로 편입], 전대웅, 주수범, 홍준기 || || 08 || 김성빈, 배성호[*C 동의대로 편입], 신규호, [[유재상]][* 성균관대로 편입], 이강현, 이성엽, 정준채, 최인영, [[홍효의]] || || 09 || 구성모, 김성덕, 김익환, 남성렬, 박근열[*D 한민학교로 편입], 배강호[*E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로 편입], 임세원, 최창조 || || 10 || 공인권, 구효서, 김대식[* 경성대로 편입], 김동현, 김진웅, [[김훈영]], 박영민, 박지민, 손태성, 신명철, 엄일준, 우승수, 윤용준, 윤재석, , 최명훈, 최성수, 한상우, 한태신, 허재영, 황정우 || || 11 || 고주원, 권상웅[*A 원광대로 편입], 김민성[*B 계명대로 편입], 김현우, 문재성, 선세원[*F 우석대로 편입], 우준석, 임태호, 장준성[*H 동국대로 편입], 정국원, 정효원 || || 12 || 김관응, 김영표, 김유찬[*C 동의대로 편입], 김준표, 마상우, 이경태, 이동혁[*F 우석대로 편입], 이윤수, 이진솔[*A 원광대로 편입], , 장대한[*A 원광대로 편입], 정동현[* 우석대 → 호원대로 편입], 정병관[*A 원광대로 편입], 정홍기, 주현종[*G 홍익대로 편입], 최승진, 최한결[*B 계명대로 편입], 홍수호, 황용 || || 13 || 김도균, 김도현[*H 동국대로 편입], 김용재, 김우중, 문종찬[*B 계명대로 편입], 박요셉, 박병준[*A 원광대로 편입], 박재영, 배세준, 윤성룡, 이호중[*B 계명대로 편입], 이호진, 정세영, 허진석[*H 동국대로 편입] || || 14 || 김명준, 김무종, 김민성[*A 원광대로 편입], 김선우, 김송민, 김의겸, 김지현, 김현호, 박진호, 양창근, 윤철영, 이원석, 이정호, 정하라 || || 15 || [[강정현(야구선수)|강정현]][*A 원광대로 편입], 김동현, 김선태[*B 계명대로 편입], 김진명[* 호원대로 편입], 남지훈, 박기훈[*A 원광대로 편입], 박진희, 오우승[*B 계명대로 편입], 이용준, 이주성[*B 계명대로 편입], 장재유, 장현욱[*E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로 편입], 전양일[*I 송원대로 편입], 전용준, 정유찬,최건우, 최재혁, 홍태영[*A 원광대로 편입] || || 16 || 김병주, [[김문수(1997)|김문수]], 김민석[*B 계명대로 편입], 김영환[*J 유원대로 편입], 김희수[*B 계명대로 편입], 도승현[*E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로 편입], [[문성주]], 박덕용[*B 계명대로 편입], 박배성[*B 계명대로 편입], 박시현, 박유건[*A 원광대로 편입], , 배강열[*J 유원대로 편입], 성재영, 안광현, 양진하[*J 유원대로 편입], 유욱현[*K 제주국제대로 편입], 윤관[*C 동의대로 편입], 윤현식, 이동현, 이성호, 이영창, 이준우[*B 계명대로 편입], 정영수, [[지원근]][*K 제주국제대로 편입], 최철훈[*B 계명대로 편입], 황석주 || || 17 || 강상하, 공현배, 구본승, 김준태[*K 제주국제대로 편입], 김찬호, 민경호[*A 원광대로 편입], 박용욱, [[박웅(야구선수)|박웅]], 신재혁[*B 계명대로 편입], 윤현준[*K 제주국제대로 편입], 이래창, 이승현, 이정훈[*G 홍익대로 편입], 이종서, 이지황, 임경민, 정인욱, 조성환[*B 계명대로 편입], 최은혁[*C 동의대로 편입], 홍사무엘, 홍진우[*B 계명대로 편입] || || 18 || [[고영찬]], 구승회, 김강민, 김민수, 김상범, 김성민, 김시후[*C 동의대로 편입], 김재인, 김태영, 김태훈, 남계원[*A 원광대로 편입], 문원주, 박상우[*J 유원대로 편입], 박준형, 박희영[*E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로 편입], 손종호, [[안창호(야구선수)|안창호]][*L 세계사이버대에서 편입], 오승현, 윤광현, 이상민, [[이인한]], 이창엽, 이희건, 임종현, 장용우[*B 계명대로 편입], 정상훈, 조병준, 최영기[*I 송원대로 편입], 최준서[* 사이버한국외국어대에 신입생으로 입학], 하은휘, 하현호[*K 제주국제대로 편입], 한구연[*A 원광대로 편입], 허서호, 홍성률 || || 19 || [[김건이]], [[김동혁(2000)|김동혁]], 김동현[*A 원광대로 편입], 김범민, 김석윤[*L 세계사이버대에서 편입], [[김석훈(야구선수)|김석훈]], 김재욱, 김태민, 배기건, 배성렬[*A 원광대로 편입], 백종윤, 신승윤[*C 동의대로 편입], 신유록, 안덕근, 안제섭, 양성근, 오태우, [[이믿음]], [[이승재(2000)|이승재]], 이승주, 이유찬, [[이창용(야구)|이창용]], 임상민, 장세환, [[히로나카 시히로|장빈]], 정건, [[정우준]], 정윤수, 조효준[*C 동의대로 편입], 최영민[*A 원광대로 편입], 최지민, 최차현, 최현진[* 사이버한국외국어대로 편입] || || 20 || 권예찬[*A 원광대로 편입], 김대범, 김동현, 김두일, 김민, 김민재, 김준근[*M 영남대로 편입], [[김준석(야구선수)|김준석]], 박범진[*N 동아대로 편입], [[박상준(야구선수)|박상준]], 박연준, 배민혁[*M 영남대로 편입], [[배세종]][*N 동아대로 편입], [[백두산(야구선수)|백두산]][*C 동의대로 편입], 송창훈, 오세현[*C 동의대로 편입], 오승윤, 오진우[*J 유원대로 편입], 오진혁, [[유상빈]], 유준하, 이동환, [[이상혁(야구선수)|이상혁]], 이성열, 이성찬[*A 원광대로 편입], 이영찬[*C 동의대로 편입], [[임성준(야구선수)|임성준]], 임지훈[* [[임지민(야구선수)|임지민]]의 형이다.], 장민석, 장창훈, [[전다민]], 정상후, 차민혁[*O 단국대로 편입], 최재원[*A 원광대로 편입], [[최지강]], 최해찬, 황상준 || || 21 || 공준배, 김도빈, 김동하, 김명재, 김민, [[김민주(야구선수)|김민주]], 김수환, 김웅, 김재호, 김태욱, 김현준[*A 원광대로 편입], 목진혁, 박준영, 신준철, 우호제, 유태규[*A 원광대로 편입], 윤승현, 이동규, 이동규, 이동훈[* [[이호준]]의 장남], 이상돈[*P 청운대로 편입], 이상화, 임동균, 장승현[*M 영남대로 편입], 장재식, 정진환[*P 청운대로 편입], 조건호, 최재우, 최정문, 허찬민[*A 원광대로 편입], 홍승표, 황석민, 황태인 || || 22 || 강승구, 강윤성, 김영운, 김주현, 김지우, 김한범, 박성민, 박찬영, 서명현, 신동민, [[양도근]], 유한승, 윤승현, 이영훈, 차수현, 최수교, 최지성, 추현빈 || || 중퇴 || [[김동진(야구)|김동진]](15), [[김규민(2002)|김규민]](21) || [[분류:대한민국의 대학야구]][[분류: 2006년 창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