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강릉대도호부_관아_전경.jpg]] ||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의 사적}}}]]''' '''{{{#f39100 제388호}}}''' || || {{{+1 {{{#fff '''강릉대도호부 관아'''}}}}}} {{{-1 {{{#fff 江陵大都護府 官衙}}}}}}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fff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 || '''{{{#fff 면적}}}''' || 18,951㎡ || || '''{{{#fff 지정연도}}}''' || 1994년 7월 11일 || || '''{{{#fff 제작시기}}}''' || 고려 [[태조(고려)|태조]] 19년(936) || ||<-2> '''{{{#fff 위치}}}''' || [include(틀:지도, 장소=강릉대도호부 관아, 너비=360)]}}}}}}}}}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릉대도호부 관아(江陵大都護府 官衙)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용강동에 위치한다. 국보로 지정된 [[강릉 임영관 삼문|객사문]]과 [[대한민국의 보물|보물]]로 지정된 [[강릉 칠사당|칠사당]]이 관아 경내에 남아 있다. 강릉대도호부 관아는 1994년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388호로 지정됐다. == 역사 == 고려 태조 19년([[936년]])에 세워져 중수를 거쳐서 동헌과 [[객사]]를 비롯하여 총 83칸 건물이 들어서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거의 모두 헐렸고 지금은 [[강릉 임영관 삼문|강릉 객사문]]과 칠사당만이 제자리에 남아 있다. 이 외에도 관아 건물의 일부가 남아 있는데, 강릉시 남산에 위치한 오성정, 금산의 월화정, 경포의 [[방해정]] 등이 관아 건물들의 일부를 옮겨 지은 것이라고 한다. 이 정자들은 조선시대에 강릉도호부 관아의 건물들 중 일부를 헐었을 때 그 자재들을 가져와 새로 세웠다.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임영관을 헐고 강릉보통학교를 세웠다. 1975년 9월에 강릉보통학교 자리에 [[강릉경찰서]]가 들어섰다가, 강릉경찰서가 포남동 신청사로 이전함에 따라 공터로 남아 있었다. 이 공터에 강릉시청사를 신축하기 위해 땅을 파던 중에 관아 유구가 발굴되면서 공사가 중단되고 발굴조사가 행해졌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573976&cid=51890&categoryId=53731|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강릉 대도호부 관아]]] 1993년 발굴조사 이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https://www.gn.go.kr/tour/prog/lod/Sights/S0202/sub02_03_03/view.do?cid=8380&orderBy=B&pageIndex=1|#]] == 건물 == === 지도 === [[파일:강릉대도호부 관아 안내도.jpg]]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강릉대도호부_관아|한국어 위키백과: 강릉대도호부 관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5363&cid=46656&categoryId=46656|한국민족문화대백과: 강릉대도호부 관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573976&cid=51890&categoryId=53731|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강릉 대도호부 관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73099&cid=42856&categoryId=42856|대한민국 구석구석: 강릉 대도호부 관아]]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6673&cid=40942&categoryId=33373|두산백과: 강릉대도호부 관아]] == 사적 제388호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3880000,32&pageNo=1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강릉대도호부 관아 (江陵大都護府 官衙)]]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고려 태조 19년(936)에 세워져, 83칸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객사문(국보)만 남아 있다. 객사문은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되는 건물 가운데 하나로, 공민왕이 쓴 ‘임영관’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 >1993년에 강릉 시청 건물을 지을 계획으로 실시한 발굴 조사한 결과, 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관아 성격의 건물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자리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임영지』의 기록을 통해 이 유적의 중요성과 옛 강릉부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 >※(강릉임영관 → 강릉대도호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4.11.27 고시) [[분류:강릉시의 문화재]][[분류:대한민국의 사적]][[분류:조선/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