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 2]][[분류:1992년 출생]][[분류:2008년 데뷔]]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네이버 웹툰 '대가리'의 등장인물, rd1=강동현(대가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양궁 선수, rd1=강동현(양궁))]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1 프로게이머 }}}''' ||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 ||<-2> '''{{{#white 現 트위치 스트리머 }}}''' || ||<-2>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6081419352895670_20160814193725_1.jpg|width=400]] || ||<-2> '''{{{#white 프로필 }}}''' || || 이름 || 강동현 || || 로마자 이름 || Kang Dong Hyun || || 생년월일 || [[1992년]] [[1월 4일]] || || 국적 || [[대한민국]] || || 키/몸무게 || 172cm/70kg || || 혈액형 || [[A형]] || || 종족 || [[저그]] || || 現 소속 || 은퇴 || || ID || '''Symbol'''[* 스1때는 '{{{NeeL[fOu]}}}'라는 아이디를 사용.] || || 2013 WCS 순위/점수 || 32위/1850점 || || 2014 WCS 순위/점수 || 권외 || || 2015 WCS 순위/점수 || 공동 72위/450점 || || 2016 WCS Korea 순위/점수 || 공동 44위/300점 || || SNS || [[https://twitter.com/afreeca_Symbol|트위터]] || || 트위치 채널 || [[https://www.twitch.tv/symbol1817|채널]] || || 관련 사이트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o3IL5xl-SksdHrgmmLDLA|유튜브(Symbol TV)]] [[https://tgd.kr/symbol1817|트게더]] || ||<-2> 소속 기록 || || [[화승 오즈]] || 2008-08-13 ~2010 || || [[TSL]] || 2011-??-?? ~ 2013-01-03 || || [[Azubu/스타크래프트 2|AZUBU]] || 2013-01-30 ~ 2014-01-31 || || [[MVP(프로게임단)|MVP]] || 2014-07-31 ~ 2014-??-?? || || [[진에어 그린윙스/스타크래프트|진에어 그린윙스]] || 2014-11-28 ~ 2015-10-30 || || [[Afreeca Freecs]] || 2016-04-27 ~ 2016-11-21 || [목차] [clearfix] == 경력 == [include(틀:역대 GSL 준우승자)] [include(틀:역대 GSL 4강 진출자)] ||<-5> '''{{{#white 준우승 기록 }}}''' || ||<-5>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5> [[Iron Squid Chapter 1]] '''준'''우승자 (vs 문성원, 2:4) || || 대회 창설 || - || '''강동현''' || → || [[Iron Squid Chapter 2]][br][[박수호]] || ||<-5> 2012 [[MLG]] Pro Circuit Spring Arena 2 '''준'''우승자 (vs 김동환, 1:3) || || 2012 [[MLG]] Pro Circuit Spring Arena 1 [br]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 → || '''강동현''' || → || 2012 [[MLG]] Pro Circuit Spring Championship[br][[양준식(프로게이머)|양준식]] || ||<-5> [[HomeStory Cup]] VI '''준'''우승자 (vs 얀스 오스골드, 0:4) || || [[HomeStory Cup]] V[br][[최용화]] || → || '''강동현''' || → || [[HomeStory Cup]] VII[br][[얀스 오스골드]] || ||<-5> [[2013 HOT6 GSL Season 1]] '''준'''우승자 (vs 신노열, 2:4) || || [[2012 HOT6 GSL Season 5]][br][[고석현]] || → || '''강동현''' || → || [[MANGOSIX GSL]][br][[이신형]] ||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경력 === * 2011년 * [[Sony Ericsson GSL Nov.]] 코드 A 1라운드 (VS [[정민수(프로게이머)|정민수]] 0:2) * 2012년 * [[HOT6 GSL Season 2]] 코드 A 3라운드 통과 *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코드 S 8강 (VS [[안상원(스타크래프트 2)|안상원]] 2:3) * MLG Pro Circuit 2012 - Winter Championship 33 - 40th * MLG Pro Circuit 2012 - Spring Arena 2 준우승 (VS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1:3) * MLG Pro Circuit 2012 - Spring Championship 9 - 12th (VS 우민규 1:2) * [[Iron Squid Chapter 1]] 준우승 (VS [[문성원]] 2:4) *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듀얼토너먼트 30강 * [[2012 HOT6 GSL Season 4]] 코드 S 8강 (VS [[정종현]] 1:3) * [[2012 HOT6 GSL Season 5]] 코드 S 16강/코드 A 3라운드 * [[IPL 5]] 5 - 6th (VS [[최지성(프로게이머)|최지성]] 0:2) * [[HomeStory Cup]] VI 준우승 (VS [[Snute]] 0:4) * 2013년 * [[Iron Squid Chapter 2]] 16강 (VS [[사샤 호스틴|Scarlett]] 0:3) * [[2013 HOT6 GSL Season 1]] 코드 S 준우승 (VS [[신노열]] 2:4)[* 자유의 날개 마지막 시즌] * 팀리그 * [[2012 GSTL Season 1]] [[TSL]] 10강 - 출전: 1회/승점: 2승1패 * [[2012 HOT6 GSTL Season 2]] [[TSL]] 4강 - 출전: 4회/승점: 10승2패 * [[2012 HOT6 GSTL Season 3]] TSL 4강 - 출전: 3회/승점: 3승1패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경력 === * 2013년 * [[MANGOSIX GSL]] PL 4강 (VS [[이신형]] 2:4) * [[2013 WCS Season 1 Finals]] 16강 *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PL 8강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1:3) * [[JOGUNSHOP GSL]] PL 32강/CL 1라운드 * 2013 DreamHack Open: Bucharest 32강 * [[HomeStory Cup]] VIII 4위 (VS [[정지훈(프로게이머)|정지훈]] 1:3) * [[2013 HOT6 Cup Last Big Match]] 8강 (VS [[정윤종]] 1:3) * 2014년 * [[2014 WCS Korea Season 1·HOT6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2014 WCS Korea Season 2·HOT6 GSL Season 2]] 코드 S 32강 * [[2014 WCS Korea Season 3·HOT6 GSL Season 3]] 코드 A 48강 * IEM Season IX - San Jose 16강 * 2015년 * [[2015 GSL Season 2]] 코드 S 32강 * [[2015 SSL Season 2]] 챌린지 28강 (VS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0:3) * [[2015 GSL Season 3]] 코드 A 48강 (VS [[남기웅]] 2:3) * 2015 DreamHack Open: Valencia 32강 (VS Arium 1:2) * 기타대회 * [[AIMAG 스타2 국가대표선발전]] B조 4강 * 팀리그 * [[2013 BenQ GSTL Season 1]] Azubu (4위)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경력 === * 2016년 * [[2016 HOT6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2016 HOT6 GSL Season 2]] 코드 A 48강 (VS [[조지현]] 1:3) === 수상 목록 === --'''GSL 2012 채정원상'''--[* 블리자드컵 특별시상식에서 땅굴을 가장 많이 쓴 선수에게 준 특별상] === 기록 목록 === == 소개 ==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8|2008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르까프 오즈]](舊 [[화승 오즈]])의 추천선 수로 입단한 [[프로게이머]]였으나,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 예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도 못했고,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에서도 한 번도 경기 무대를 밟아보지 못했다. 그러나 [[곰TV클래식]] 시즌 2와 3에서 나온 적은 있다. ~~[[그렉 필즈]]를 이때 만났었다~~ 이후 2011년 3월에 강동현 선수는 [[스타크래프트 2]]로 전향을 선택하고 [[TSL]]에 입단했다. 오랫동안 예선전 도전하다가, 드디어 [[2011년]] 말에 코드에이에 입성을 했다! 하지만 아직 방송에 익숙하지 않아서 였는지 [[정민수]]에게 광탈. 이후 다음해 [[HOT6 GSL Season 2]]에 다시 코드에이 입성 성공과 더불어 [[2012 HOT6 GSTL Season 2]]에서 미친듯한 경기력과 연승으로 많은 스타크래프트2 팬들에게 존재감을 각인시키기 시작했다. 특히 [[LG-IM]]을 상대로 4:0 상황에서 출전해 [[정종현]], [[안호진]], [[임재덕]] 등 S, A 급 선수들을 연달아 격파, 5:4로 희대의 역전 역올킬을 기록하면서 수많은 팬들에게 강동현 이라는 신흥 저그의 시작을 알리게 되었다. 이후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에서는 강력한 [[로얄로더]] 후보로 꼽혔고, 그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이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박현우(프로게이머)|박현우]], [[원이삭]] 등의 엄청난 선수들을 연달아 격파하면서 그 길을 걷는것 같았다. 하지만 꿀벌토스 [[안상원(스타크래프트 2)|안상원]]에게 팀의 4:5 역스윕 역올킬을 보복이라도 당하듯 2:0 에서 3:2로 역스윕 당하며 로얄젤리가 되고 말았다. 8강의 충격적인 패배 이후, 그 충격의 여파가 컸는지 이후의 [[GSTL]]이랑 [[스타리그]], 게다가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한국대표 선발전]] 예선까지 계속되는 연패의 늪에 빠지고만다. 이는 갑자기 기대치가 너무 치솟다가 거품이 빠진 경우라고 볼수가 있다. 이제 그 좋은 기량을 서서히 안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강동현선수에게 당면한 과제라고 평가됐었고 결국 그 슬럼프를 금방 이겨내고 코드 S 상위권을 계속해서 유지하는데까지 자신의 성적을 끌어올리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그 노력이 결실을 맺는듯이 자유의 날개 최후의 시즌인 [[2013 HOT6 GSL Season 1]]에서는 결승전까지 진출하는데 성공한다. 여기서 준우승에 아쉽게 그쳤으나 자신의 하이커리어를 제대로 갱신하며 결승전에 밟아본 것은 그에게 정말로 좋은 경험과 쓰라린 약이 됐을 것이므로 앞으로의 발전을 더욱더 많은 기대를 받을 선수라고 볼 수 있겠다. 2014년 아주부 해체 이후 무소속을 전전하다가 [[진에어 그린윙스/스타크래프트|진에어 그린윙스]][* 이 팀은 전 소속팀인 화승 오즈를 포함하여 비슷한 시기에 해체된 [[위메이드 폭스]], [[MBC GAME HERO]]에 속했던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만든 제8게임단으로 시작한 팀이다.]에 들어가나 그 사이에 실력이 너무나도 줄어들어, 진에어 1군은커녕 2군을 전전하고 있는 신세이다. 주전이 아니라 프로리그 출전도 손에 꼽을 정도이고, 그나마 잘나갔던 개인리그는 계속 탈락하며 방송경기에서 그의 모습을 보기가 상당히 힘들어졌다. 2015년 10월 30일 [[하재상]], [[김민규(스타크래프트)|김민규]], [[양희수]]와 함께 계약해지가 되어 팀을 나오게 되었다. ~~어쩌다 강동현이 이지경까지...~~ == 플레이 스타일 == 특히 그가 주목받은 이유는 [[저프전]]인데, [[GSTL]]에서 [[안상원]] 선수를 상대로 [[울트라리스크]],[[무리군주]],[[맹독충]],[[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감염충]],[[히드라리스크]] 등의 다양한 유닛들을 한번에 섞어서 쓰면서 토스의 200조합을 깨뜨리며 이겼고, 이경기는 잠시 커뮤니티에서 신선한 [[저그]]라는 이미지를 심어주게 된다. 이후 [[원이삭]]과의 다전제 경기에서,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 [[바퀴(스타크래프트 2)|바퀴]] 다수 드랍 이후 매우 빠른 [[군락]]을 통해서, 테란전에서나 보이던 울감링링을 매우 빠르게 갖추며, 상대 토스의 고테크체제를 [[맹독충]] 다수로 순삭~~물론 역장은 [[울트라리스크]]가 다 씹어먹는다~~시켜버리고 이후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으로 회전력 싸움을 하는 상당히 완성된 신선한 빌드를 또다시 보여주며 [[저프전]]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줬다! ~~그런데 요즘 토스의 전략을 잘 못 막는 모습이 많다~~ [[테저전]]은 상당히 무난하게 보이면서도 S급의 물량과 멀탯을 보여준다. 소수 뮤탈리스크 이후에 다수의 울트라와 맹독충의 소모전을 즐겨 하는 타입이다. 물론 울트라 이후 무리군주 체제변환은 덤이다. [[저저전]]은 팀리그에서 [[임재덕]], [[황강호]], [[한지원(프로게이머)|한지원]], [[장재호(프로게이머)|장재호]] 선수 등을 상대로, 초중반의 전략을 막는 것이든, 극후반의 장기전운영이든 능수능란하게 하며 [[저저전]]도 상당히 흠 잡을데 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상당히 안정적인 운영체제를 선호하나, 이게 역으로 한계가 돼, 뭔가 그 이상은 올라가지 못하기도 했었다. 성적을 보면 GSL 8강, 16강 쯤에서 항상 정체된 느낌. ~~뭐 지금 이 표현은 과거형이다.~~ == 연도별 경기내용 == * [[강동현/2011-12]] * [[강동현/2013]] * [[강동현/2014]] === 강동현/2016 === 프로리그 3라운드부터 아프리카 프릭스에 합류한다. 합류 이후 성적은 그다지 좋지 않다. [[2016 GSL Season 2]]에서 같은 팀의 조지현에게 3:1로 패배했고, 프로리그에서는 이병렬을 상대로 다 이긴 경기를 내줬다. == 기타 == * 같은 [[화승 OZ]]였던 [[이제동]], [[송현덕]]과 같이 [[축구]]를 하러 간다는 등의 아주 친한 사이이다. ~~역시 FC 화승.~~ * IPL 6 국내예선에서 우승하여 무소속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본선의 시드와 유리한 위치에서 대전하는 메리트를 얻음과 동시에 경비지원까지 받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을 승격강등전에서 꺾었던 이제동에게 설욕에 성공한다. ~~물론 손 잡고 같이 본선진출했다는 것은 덤.~~ ~~근데 대회가 취소됐다.~~ * 2013년 1월 30일 [[Azubu/스타크래프트 2|Azubu]]팀에 입단함이 알려졌다.[[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396078|#]] 이후 첫 공식 활동은 2월 2일 조지명식이였다. * [[2013 GSTL Pre Season]]의 엔트리에 들어있지 않다. 이유는 아무래도 [[2013 HOT6 GSL Season 1|자유의 날개 마지막 시즌]]에 집중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결승전에 진출하면서 이것은 '''신의 한수'''가 되었다!~~우승만 했으면 완벽했는데~~ * TSL 소속 당시 경기복의 형태가 후드티인 것은 개성의 표현이였다고 한다.. 실제로 경기복에 그의 ID가 적혀져 있었다. * 가장 유명한 별명은 '''[[네팔렘]]저그''', 유래는 GSTL에서 강동현 선수가 팀이 0:4로 몰린 위기의 상황에서 내리 연승을 하고나서 대장인 임재덕 선수마저 잡으면서 GSTL, 그것도 9전제에서 사상 첫 역올킬을 성공하자 박상현 캐스터가 임재덕 선수의 별명이 신인 것을 응용, 신을 이겼다고 해서 네팔렘 드립을 시전한 것. * Azubu 해체 이후 오랫동안 무소속으로 활동하다, 2014년 7월 31일, 차기 프로리그를 위해 리빌딩을 꾀하던 MVP에 합류했는데, 2014년 11월 28일자로 [[진에어 그린윙스/스타크래프트|진에어 그린윙스]]로 옮겼다. * --[[이승현(1997)|이승현]]--에게 너무나도 약한모습을 보여주고 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3332893&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B%B3%B4%ED%97%98|상대전적]]은 20:5 * 2017년 3월 16일 [[군대]]에 입대했다. * 2018년 12월 9일 전역을 하게되었다. 복귀 가능성이 많이 보인다. 최근에 예선전에 참가했는데 기다려보자. * 트위치에서 자주 방송을 하고 있다. 고정 시청자층 심가단과 함께 하는 종합 방송으로 유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