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강기석'''}}}[br]Kisuk Ka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강기석.jpg|width=100%]]}}}|| || '''본관''' ||[[진주 강씨]]|| ||<|2> '''출생''' ||[[1976년]] [[1월 10일]]|| ||[[경기도]] [[안양시]]|| || '''국적'''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 '''학력'''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 ([[재료공학]] / 학사)}}}[br][[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대학원]] {{{-2 ([[재료공학]]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s://www.science.org/doi/full/10.1126/science.1122152|Electrodes with high power and high capacity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 || '''직업''' ||[[서울대학교 공과대학#s-3.6|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교수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과학자. 現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교수이다. == 생애 == 1976년 음력 1월 10일 경기도 안양에서 1남 5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재료공학과를 졸업하고, 2006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대학원에서 [[재료공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KAIST]] 재료공학과 조교수로 재임하다가, 2011년 [[서울대학교]]로 이직하였다. == 활동 == [[이차 전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대가로, 글로벌 학술 정보 분석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매년 노벨상 과학부문 수상자 예측을 내놓는 걸로 유명하다.]로부터 [[https://clarivate.com/ko/news/2021-highly-cited-researchers/|세계 1% 연구자에 매년 선정되고 있다.]][* 2018, 2019, 2020, 2021, 2022][* 젊은 과학자임에도 벌써 HCR 연구자인 박사를 배출하였다.] 한국인으로서는 두 번째로 [* 첫 번째는 노벨상에 근접했다는 평을 받는 [[김빛내리]] 교수이다.], 세계적인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지의 Reviewing editor로 활동 중이다. == 여담 == 2002년 SBS 다큐 스페셜 [[https://www.youtube.com/watch?v=2F6_EMITQgw#t=17m12s|‘세계 명문 대학-죽도록 공부하기’]]편에 MIT 재학생으로 출연한 바 있다. [[분류:1976년 출생]][[분류:진주 강씨]][[분류:안양시 출신 인물]][[분류:공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공학자]][[분류:MIT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