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구성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2013 KBO 퓨처스 남부리그 타격왕}}}''' || ------ ||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width=65]]'''2013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s-2.1]] 퓨쳐스 타자상''' ||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17번}}}''' || || 팀 창단 || {{{+1 →}}} || '''강구성[br](2012)''' || {{{+1 →}}} || [[조영훈]][br](2013~2014)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23번}}}''' || || [[유지창]][br](2012) || → || '''강구성[br](2013)''' || → || 심재윤[br](2014)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52번}}}''' || || [[황윤호]][br](2015.9.3.~2015) || → || '''강구성[br](2016)''' || → || [[김선규(야구)|김선규]][br](2017~2017.7.25.)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57번}}}''' || || [[민태호|민성기]][br](2012~2016) || → || '''강구성[br](2017)''' || → || [[박대온|박광열]][br](2018)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23번}}}''' || || [[박민주(야구선수)|박민주]][br](2017) || → || '''강구성[br](2018)''' || → || [[윤수강]][br](2019) || ||<-5>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ffffff 등번호 101번}}}''' || || [[이상규(야구선수)|이상규]][br](2018) || → || '''{{{#fff 강구성[br](2019)}}}''' || → || [[백남원]][br](2020)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G강구성.jpg|width=100%]]}}} || ||<-2> '''{{{+2 강구성}}} [br]姜九成 | Kang Koo Sung''' || ||<|2> '''출생''' ||[[1993년]] [[6월 9일]] ([age(1993-06-09)]세) || ||[[경기도]] [[익산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관산초 - [[부천중학교(경기)|부천중]] -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 [[부천고등학교 야구부|부천고]]에서 전학] || || '''신체''' ||180cm, 82kg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s-3|2012년 특별 지명]] (전체 21번, [[NC 다이노스|NC]]) || || '''소속팀''' ||[[NC 다이노스]] (2012~2018) [br] [[LG 트윈스]] (2019)||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4~2015)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NC 다이노스]], [[LG 트윈스]] [[외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의 중심타자로 2011년 [[고교야구 주말리그]] 경기권 지역의 MVP에 선정될 정도로 유망주였다. 2011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표이기도 한 선수. 타격 실력을 인정 받아서 2012년 드래프트에서 특별라운드에 전체 21번으로 지명을 받아 프로 무대에 데뷔하는데 성공했다. === [[NC 다이노스]] 시절 === ==== 2012 시즌 ==== 2012년 [[퓨처스리그]]에서는 타율 0.276을 기록하면서 고졸 타자 치고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다. 다만 떨어지는 출루 능력과 장타력의 부족은 개선해야 할 부분. 발은 나쁘지 않지만 어깨가 강하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다. ==== 2013 시즌 ==== 2013년에는 퓨처스리그에서 95경기에 출장 타율 0.352를 기록하며 남부리그 수위타자상을 차지했다. 성적은 0.352/0.384/0.463 5홈런 45타점 21도루 1군에서 등록되어 '''데뷔 첫 타석'''에 들었지만 2경기 2타수 무안타를 기록 했다. 시즌 이후 [[상무 야구단]]에 지원, 최종 합격하여 같은팀의 [[박상혁(야구선수)|박상혁]]과 함께 2014년부터 상무 소속으로 뛸 예정이다. ==== 2015 시즌 ==== 제대 이후 1군 엔트리에 합류했고,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인 10월 5일 [[kt wiz]]전에서는 연장 12회 대타로 나와 2루타를 때려내며 드디어 '''데뷔 첫 안타'''를 기록 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구성안타.gif|width=100%]]}}} || || 강구성의 첫 안타 장면[* 상대 투수 [[고영표]]] || 당시 강구성이 2루타를 쳐 무사 2루 였기에 팀이 역전승을 할수있었으나 뒤에 타선이 활약을 못하며 아쉽게 무승부로 끝났다.[* 이 타격 덕분에 팬들이 많은 기대를 쌓고 있다.] 2015 시즌 최종 성적은 4경기 5타수 1안타[* 2루타 1개] 타율 .200를 기록 하였다. ==== 2016 시즌 ==== 5월 27일 KIA전에서 펜스플레이를 하다 부상을 당한 [[김종호(야구선수)|김종호]] 대신 28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5월 28일 KIA전에서 두 타석 나와 각각 삼진, 땅볼로 아웃되었다. 그리고 하루만에 2군으로 내려갔다. 팬들은 잠깐 보여준 타격 스킬이 망해 별로라는 반응이 대다수. 아무래도 타격 능력을 많이 올릴 필요가 있어 보인다. 2016 시즌 최종성적은 2경기 3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 2017 시즌 ==== 거의 2군에서만 시즌을 보냈다.1군 기록은 1타수 무안타 1삼진이 전부. 2군 성적은 69경기 185타수 51안타 2홈런 타율 .276를 기록하였다.퓨쳐스 마저 시즌 내내 타율이 3할대 타율만 기록 하고 있었다가 2할 중후반대로 줄어들며 팬들의 기대가 하락하였다. ==== 2018 시즌 ==== 6월 2일 [[박헌욱]]을 대신해 1군으로 콜업되었다. 그리고 당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6회 2사 만루 찬스에서 대타로 들어섰으나 삼진으로 물러났다. 하지만 3일 경기에서는 7회 2사 1루에서 초구에 우측 담장을 직격하는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id=435194&gameId=20180603SSNC02018&listType=game&date=20180603|1타점 2루타를 때려냈다]].[* 개인 2번째 2루타] '''데뷔 첫 타점'''. 그러나 팀은 8:7로 패배했다. 6월 6일 다시 2군으로 말소되었다. 7월 3일 다시 1군에 등록되었으나 7월 8일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 10월 2일 [[김종민(야구선수)|김종민]], [[심규범]], [[윤병호(야구)|윤병호]]와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 최종 성적은 4경기 5타수 1안타 타율.200를 기록 하였고,퓨쳐스 성적은 83경기 246 타수 80안타 2홈런 타율 .325를 기록 하였다. === [[LG 트윈스]] 시절 === ==== 2019 시즌 ==== 2019년 1월 14일 [[LG 트윈스]]와 계약을 하였다. 5월 9일 2군에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2군에서만 시즌을 보냈고 퓨쳐스 성적은 66경기 199타수 60안타 3홈런 타율 .302를 기록 하였다. 2019 시즌 후 방출되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13 ||<|6> [[NC 다이노스|NC]] || 2 || 2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2014 ||<-13> 군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15 || 4 || 5 || .200 || 1 || 1 || 0 || 0 || 0 || 0 || 0 || 0 || .200 || .400 || || 2016 || 2 || 3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2017 || 1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2018 || 4 || 5 || .200 || 1 || 1 || 0 || 0 || 1 || 0 || 0 || 0 || .200 || .40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19 || [[LG 트윈스|LG]] ||<-13>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5시즌) || 13 || 16 || .125 || 2 || 2 || 0 || 0 || 1 || 0 || 0 || 0 || .125 || .250 || == 여담 == 2012년 신생팀 특별지명으로 입단한 [[NC 다이노스]]의 '''창단 멤버'''이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안산시 출신 인물]][[분류:1993년 출생]][[분류:외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KBO 리그의 사이클링 히트 달성자]][[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NC 다이노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야탑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