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 TSH)은 [[갑상샘]]을 자극하여 [[트라이아이오도타이로닌]][*참고문헌1 Bowen, R. (2010년 7월 24일). “Physiologic Effects of Thyroid Hormones”. Colorado State University.](''Triiodothyronine, T,,3,,'')과 [[티록신]](''Thyroxine, T,,4,,'')의 분비를 촉진하는 폴리펩타이드 호르몬이다.[*참고문헌2 [[https://www.merckmanuals.com/home/hormonal-and-metabolic-disorders/thyroid-gland-disorders/overview-of-the-thyroid-gland?qt=thyroxine&alt=sh|Merck Manual of Diagnosis and Therapy]], Thyroid gland disorders.] [[시상하부]]에 있는 [[갑상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이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면 갑상샘 세포에서 갑상선자극호르몬을 생성한다. == 작용과정 == 일반적으로 갑상선자극호르몬은 지속적으로 분비되지만 다음 상황에서는 분비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1. [[갑상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이 분비되어 TRH 수용체가 활성화된 경우 *2. [[신체]]가 급격하게 [[성장]]하거나 [[발달]]하는 경우 *3.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성장호르몬 억제 호르몬인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의 경우 갑상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감소시키거나 억제한다. === [[갑상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과의 관계 === '''[[갑상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 은 갑상샘자극호르몬 분비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갑상샘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뇌실 주위핵'''(''Toggle the table of contents Paraventricular nucleus of hypothalamus'')[* 중간 [[시상하부]] 구역에서, 셋째 뇌실 바닥 근처에 있는 신경핵.]의 ''parvocellular 세포''[* 시상 측면 생식 세포핵(''Lateral geniculate nucleus'')의 파보셀 층에 위치한 [[뉴런]]]가 만들어낸 TRH는 정중 융기(''Median eminence'')[* 신경성하수체(神經性下垂體)를 연결하는 중요한 연락장소. 도파민 등의 모노아민이 풍부한 신경섬유(神經纖維)가 많이 존재하며 이들의 모노아민도 문맥계를 통하여 전엽호르몬의 분비조절에 관여한다.] 외부 층[* external layer] 의 안쪽 부분으로 분비된다. 이후 TRH는 뇌하수체 전엽으로 이동하여 뇌하수체 문맥계(''Hypophyseal portal system'')[* ''Venae Portales hypophysiales''.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전엽을 연결하는 혈관계. 시상 하부와 뇌하수체 전엽 사이에서 호르몬을 신속하게 수송하고 교환한다.]를 통해 TRH 수용체에 결합하여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방출을 촉진한다.[*참고문헌3 Bowen R (1998년 9월 20일). [[http://www.vivo.colostate.edu/hbooks/pathphys/endocrine/hypopit/tsh.html|"Thyroid-Stimulating Hormone"]]. ''Pathophysiology of the Endocrine System.'' Colorado State University. 2009년 3월 4일에 갱신됨 ] 이 과정에서의 혈중 TRH 농도의 반감기는 약 6분 이다. === [[음성 피드백]] === 갑상선자극호르몬의 분비량은 체내에서 작동하는 [[음성 피드백]] 시스템에 의하여 정교하게 조절된다. 혈중 티록신(''Thyroxine, T,,4,,'')농도와 트라이아이오도타이로닌(T''riiodothyronine, T,,3,,'')농도는 TSH의 분비량에 영향을 미친다. T,,3,,와 T,,4,,의 혈중 농도가 높으면 TSH의 분비량이 감소하고, T,,3,,와 T,,4,,의 혈중 농도가 낮으면 TSH의 분비량이 증가한다. T,,3,,와 T,,4,,는 [[뇌하수체]] 전엽에 직접 작용한다.[*참고문헌4 Estrada JM, Soldin D, Buckey TM, Burman KD, Soldin OP (Mar 201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49435/|"Thyrotropin isoforms: implications for thyrotropin analysis and clinical practice"]]. ''Thyroid.'' 24 (3): 411–23. doi:[[https://www.liebertpub.com/doi/10.1089/thy.2013.0119|10.1089/thy.2013.0119.]] PMC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49435/|3949435]]. PMID [[https://pubmed.ncbi.nlm.nih.gov/24073798/|24073798]].] == 생리학적 기능 ==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 TSH)은 [[갑상샘]]을 자극하여 [[티록신]](''Thyroxine, T,,4,,'')의 분비를 촉진한다. 이후 티록신은 물질대사를 자극하는 활성 호르몬인 [[트라이아이오도타이로닌]][* 물질대사, 인체의 발생과 생장, [[심박수]], [[체온]] 유지 등 신체의 생리과정 조절](''Triiodothyronine, T,,3,,)''으로 전환된다. T,,4,,가 T,,3,,로 전환되는 과정의 80%는 [[간]]에서 이루어지며 나머지 20%는 갑상샘에서 이루어진다. == 수용체 == === 위치 ===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수용체(''thyrotropin receptor, TSHR'')는 대부분 갑상선 모낭 세포(상피 세포) 표면에 존재하며 일부는 지방 세포나 섬유아세포에서도 발견된다. 뇌하수체의 전엽, 시상하부 및 신장에서도 발견되었으며, 뇌하수체 전엽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음성 피드백|체내 TSH 농도가 높으면 TSH 분비가 억제된다.]][*참고문헌5 Williams GR (April 2011). "Extrathyroidal expression of TSH receptor".'' Annales d'Endocrinologie.'' 54es Journees internationales d'Endocrinologie clinique. 72 (2): 68–73. doi:[[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003426611000333|10.1016/j.ando.2011.03.006.]] PMID [[https://pubmed.ncbi.nlm.nih.gov/21511243/|21511243.]]] 지방 세포와 섬유아세포에서 발견되는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의 경우 [[그레이브스병]]에 걸린 사람의 점액수종(''myxedema'')을 야기시킨다. === 기능 ===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수용체(''thyrotropin receptor, thyrotropin receptor, TSHR'')는 갑상선자극호르몬에 반응하고 트라이아이오딘타이로닌(T,,3,,)과 티록신(T,,4,,)의 생성을 담당하는 수용체이다. TSHR는 [[막 단백질#s-2.1|내재성 막 단백질]]의 G단백질 연결 수용체[*참고문헌6 Farid NR, Szkudlinski MW (Sep 2004). "Minireview: structural and functional evolution of the thyrotropin receptor". ''Endocrinology''. 145 (9): 4048–57. doi:[[https://academic.oup.com/endo/article/145/9/4048/2878029?login=false|10.1210/en.2004-0437]]. PMID [[https://pubmed.ncbi.nlm.nih.gov/15231707/|15231707.]]]의 일종이며, '''G,,s,, 알파 서브유닛(G,,αs,,, G,,s,,α)''' 단백질과 결합한다.[*참고문헌7 Calebiro D, Nikolaev VO, Lohse MJ (Jul 2010). "[[https://jme.bioscientifica.com/view/journals/jme/45/1/1.xml|Imaging of persistent cAMP signaling by internalized G protein-coupled receptors"]].'' Journal of Molecular Endocrinology''. 45 (1): 1–8. doi:[[https://jme.bioscientifica.com/view/journals/jme/45/1/1.xml|10.1677/JME-10-0014]]. PMID [[https://pubmed.ncbi.nlm.nih.gov/20378719/|20378719.]]] == 구조 == ||<-2>
{{{+4 '''갑상샘자극호르몬-α'''}}}[br]{{{#151515,#dddddd '''Thyroid stimulating hormone-Alpha Subuni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Alpha.png |width=75%]]}}} || || {{{#white '''구조'''}}} ||[[당단백질|Glycoprotein]] hormones-alpha polypeptide|| || {{{#white '''3D 모델'''}}} ||[[https://swissmodel.expasy.org/repository/uniprot/P01215|Swiss-model]]|| || {{{#white '''동일 구조''' '''공유 호르몬'''}}}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luteinizing hormon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gonadotropin hormones || || {{{#white '''기호'''}}} ||CGA, hCG-a, GPHa, GPHA1|| || {{{#white '''NCBI'''[*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 '''유전정보'''}}} ||[[https://www.ncbi.nlm.nih.gov/gene?cmd=retrieve&dopt=default&list_uids=1081&rn=1|1081]]|| || {{{#white '''HGNC'''[* 인간 유전자 명명법 위원회]}}} ||[[https://www.genenames.org/data/gene-symbol-report/#!/hgnc_id/HGNC:1885|1885]]|| ||||{{{#!wiki style="text-align:center" '''유전자자리'''}}}|| ||||{{{#!wiki style="text-align:center" '''Chr. 6''' [[https://omim.org/search/?index=geneMap&search=6q14|''q14-q21'']]}}}{{{#!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6번 염색체 -Homo sapiens sapiens.svg.png |width=100%]] {{{#!wiki style="text-align:left" * '''6번 염색체'''[*참고문헌 GRCh38: Ensembl release 89: ENSG00000135346 - Ensembl, May 2017]}}} [[파일:6번 염색체 ideogram-Homo sapiens sapiens.svg.png|width=100%]] {{{#!wiki style="text-align:left" * '''6q14.3 | 87,085,498 bp ~ 87,095,106 bp'''[*참고문헌 GRCh38: Ensembl release 89: ENSG00000135346 - Ensembl, May 2017]}}}}}}}}}|| ||<-2>
{{{+4 '''갑상샘자극호르몬-β'''}}}[br]{{{#151515,#dddddd '''Thyroid stimulating hormone-Beta Subunit'''}}} || || {{{#white '''3D 모델'''}}} ||[[https://swissmodel.expasy.org/repository/uniprot/P01222|Swiss-model]]|| || {{{#white '''기호'''}}} ||TSHB, TSH-B, TSH-BETA|| || {{{#white '''NCBI'''[*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 '''유전정보'''}}} ||[[https://www.ncbi.nlm.nih.gov/gene?cmd=retrieve&dopt=default&list_uids=7252&rn=1|7252]]|| || {{{#white '''HGNC'''[* 인간 유전자 명명법 위원회]}}} ||[[https://www.genenames.org/data/gene-symbol-report/#!/hgnc_id/HGNC:12372|12372]]|| ||||{{{#!wiki style="text-align:center" '''유전자자리'''}}}|| ||||{{{#!wiki style="text-align:center" '''Chr. 1''' [[https://omim.org/search/?index=geneMap&search=1p13|''p13'']]}}}{{{#!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번 염색체-Homo sapiens sapiens.svg.png|width=100%]] {{{#!wiki style="text-align:left" * '''1번 염색체'''[*참고문헌 GRCh38: Ensembl release 89: ENSG00000134200 - Ensembl, May 2017]}}} [[파일:1번 염색체 ideogram-Homo sapiens sapiens.svg.png |width=100%]] {{{#!wiki style="text-align:left" * '''1p13.2 | 115,029,826 bp ~ 115,034,302 bp'''[*참고문헌 GRCh38: Ensembl release 89: ENSG00000135346 - Ensembl, May 2017]}}}}}}}}}|| [clearfix] [[당단백질]]인 TSH는 총 두 개의 하위 단위인 알파와 베타로 구성된다. TSH-α는 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 황체 형성 호르몬, 여포 자극 호르몬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92개의 [[아미노산]] 사슬 서열을 가진다. THS-α는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에서 활성화된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의 자극을 담당하는 효과기 영역이다. TSH-β는 TSH에만 존재하며, 수용체의 특이성을 결정한다. TSH-β는 118개의 아미노산 사슬 서열을 가진다. == 참고 문헌 == *1. Bowen, R. (2010년 7월 24일). “Physiologic Effects of Thyroid Hormones”. Colorado State University. *2. [[https://www.merckmanuals.com/home/hormonal-and-metabolic-disorders/thyroid-gland-disorders/overview-of-the-thyroid-gland?qt=thyroxine&alt=sh|Merck Manual of Diagnosis and Therapy]], Thyroid gland disorders. *3. Bowen R (1998년 9월 20일). [[http://www.vivo.colostate.edu/hbooks/pathphys/endocrine/hypopit/tsh.html|"Thyroid-Stimulating Hormone"]]. ''Pathophysiology of the Endocrine System.'' Colorado State University. 2009년 3월 4일에 갱신됨 *4. Estrada JM, Soldin D, Buckey TM, Burman KD, Soldin OP (Mar 201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49435/|"Thyrotropin isoforms: implications for thyrotropin analysis and clinical practice"]]. ''Thyroid.'' 24 (3): 411–23. doi:[[https://www.liebertpub.com/doi/10.1089/thy.2013.0119|10.1089/thy.2013.0119.]] PMC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49435/|3949435]]. PMID [[https://pubmed.ncbi.nlm.nih.gov/24073798/|24073798]] *5. Williams GR (April 2011). "Extrathyroidal expression of TSH receptor".'' Annales d'Endocrinologie.'' 54es Journees internationales d'Endocrinologie clinique. 72 (2): 68–73. doi:[[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003426611000333|10.1016/j.ando.2011.03.006.]] PMID [[https://pubmed.ncbi.nlm.nih.gov/21511243/|21511243.]] *6. Farid NR, Szkudlinski MW (Sep 2004). "Minireview: structural and functional evolution of the thyrotropin receptor". ''Endocrinology''. 145 (9): 4048–57. doi:[[https://academic.oup.com/endo/article/145/9/4048/2878029?login=false|10.1210/en.2004-0437]]. PMID [[https://pubmed.ncbi.nlm.nih.gov/15231707/|15231707]] [[분류:호르몬]] *7. Calebiro D, Nikolaev VO, Lohse MJ (Jul 2010). "[[https://jme.bioscientifica.com/view/journals/jme/45/1/1.xml|Imaging of persistent cAMP signaling by internalized G protein-coupled receptors"]].'' Journal of Molecular Endocrinology''. 45 (1): 1–8. doi:[[https://jme.bioscientifica.com/view/journals/jme/45/1/1.xml|10.1677/JME-10-0014]]. PMID [[https://pubmed.ncbi.nlm.nih.gov/20378719/|20378719.]] [clearf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