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감은사지 출토 청동풍탁1.jpg]]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청동풍탁-미상/FgEFj18c0qsM5Q?hl=ko|사진 출처 : Google Arts & Culture - 감은사터 청동풍탁]] [목차] == 개요 == [[신라]] [[신문왕]] 2년인 682년, [[감은사]]가 창건될 때 함께 만들어져 건물 모서리에 걸어놓았던 7세기 경 [[신라]]시대 풍탁(風鐸).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감은사지 출토 청동풍탁2.jpg]] [[경상북도]] [[경주시]] [[감은사지]]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풍탁으로, 풍령(風鈴) 또는 풍경(風磬)이라도 부른다. 감은사가 처음 완공된 682년 경부터 사용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풍탁이란 절의 법당(法堂)이나 불탑(佛塔)의 처마 또는 옥개(屋蓋) 부분에 매달아 소리를 내게하는 것으로, 일종의 소형 범종이다. [[궁궐]], [[서원]] 등 [[유교]] 건축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사찰]] 전유물인 풍경은 간간이 불어오는 바람을 타고 금속성 소리를 내는데 맑고 호젓하고 은은한 풍경 소리는 고적한 사찰 분위기를 한층 더 고조시킨다. 이 풍경은 신라 범종의 고유 형태를 축소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윗면에는 고리를 붙였던 흔적이 남아 있고 가운데에 작은 구명이 뚫려 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발견된 [[삼국시대]] 풍경 중에 보존상태가 가장 좋으며, 풍탁의 크기도 기존 가장 크던 [[황룡사]]지 출토 풍경에 버금갈 정도로 커서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지금으로부터 1,400여년 전에 만들어진 [[한국]]의 풍탁으로, 신라시대 금속공예술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아래 링크에서 이 풍탁과 함께 감은사지에서 출토된 유물들의 사진 일부를 볼 수 있다. [[http://gjstory.com/2278|감은사 청동풍탁 당좌세부]], [[http://gjstory.com/2401|감은사 사천왕상 청동품탁 사리함]], [[http://gjstory.com/2363|감은사유물,기와]], [[http://gjstory.com/2371|감은사유물 꽃무늬 막새]], [[http://gjstory.com/2379|감은사유물,겹잎연꽃무늬 막새]], [[http://gjstory.com/2356|감은사유물 사다리꼴 판기와]], [[http://gjstory.com/2348|감은사유물 토기등잔 토기병단지]], [[http://gjstory.com/2340|감은사유물 토기병사발]], [[http://gjstory.com/2304|감은사지 유물 청자상감]], [[http://gjstory.com/2313|감은사유물 청자백자,접시백자사발잔]], [[http://gjstory.com/2296|감은사유물,금동여래입상]], [[http://gjstory.com/2333|감은사유물 백자 뚜껑있는바리]] [[분류:신라의 공예]] [[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 [[분류:경주시의 문화재]][[분류:감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