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건물]] [목차][[파일:SC_FM_infested_command_center.jpg|align=right&width=500]][clearfix] == 개요 == >{{{+1 '''감염된 사령부'''}}}, 感染- 司令部, Infested Command Center, 인페스티드 커맨드 센터 >---- >[[여왕(스타크래프트)|여왕]]의 가장 두려운 능력은 테란의 [[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사령부]]를 감염시켜 거주자들을 [[초월체]]의 종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이다. 여왕은 심하게 손상을 입은 사령부를 기생 생체 독소로 감염시킨다. 일단 감염된 사령부의 거주자들은 초월체의 지령에 따라 움직이는 자살 공격대로 변한다. >- 여왕의 감염 항목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저그]] 건축물. 다른 저그 건물들이 [[드론]]을 변이시켜 만드는 것과는 달리 이 건물은 드론을 변이시켜서 만들지 않고, 또한 남의 건물을 빼앗아오는 독특한 입수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 스타크래프트 1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저그)]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text-align:center" [[파일:SCR_101_Infested_Command_Center.gif]] [br] [*정지_이미지 [[파일:SCR_101_Infested_Command_Center.png]]]}}}{{{#!wiki style="float:left" || 생성 조건 || 사령부 체력 절반 미만 상태에서 사령부 감염[* 상대가 적일 경우는 자동 감염, 그 외에는 (아군, 중립, 동맹) 수동 감염] || 단축키 || I[* 감염] || || 생명력 || [[파일:SC_Icon_HP.png|height=16]] 1500 || 방어력 || 1 || || 특성 || 지상, 공중, 건물, 생체[* 저그 건물 속성이라 자체 회복이 붙어 있고 [[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사령부]]와 달리 건설로봇의 수리가 불가][* 감염되기 전까지는 기계였다가 감염된 이후로는 생체로 변경된다.] || 크기 || 대형 || || 면적 || 4 × 3 || 시야 || 10 ||}}}[clearfix] ||
<:>'''착륙 [br] 시''' ||{{{#!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050_Infested_Terran.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감염된 테란]] 훈련''' (I) [br] Train Infested Terran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zerg=, mineral=100,vespene=50, supply=1, time=4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286_Set_Rally_Point.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집결 지점 설정''' (R) [br] Set Rally Point}}}}}}{{{#!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282_Liftoff.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이륙''' (L) [br] Liftoff}}}}}}}}} || ||<:>'''이륙 [br] 시''' ||{{{#!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228_Move.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이동''' (M) [br] Move}}}}}}{{{#!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229_Stop.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정지''' (S) [br] Stop}}}}}}{{{#!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right:20px" [[파일:SCR_Icon_283_Land.png|width=8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착륙''' (L) [br] Land}}}}}} }}}|| [[테란]]의 [[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커맨드 센터]]의 체력을 50%(750) 미만으로 만든[* 당연하지만 지어지고 있던 와중의 커맨드 센터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반드시 완전히 지어진 후 반파된 경우에만 해당된다.] 뒤, [[여왕(스타크래프트)|퀸]]으로 '사령부 감염(Infest Command Center)' 기술을 쓰면[* 아군이나 중립, 동맹의 건물이라면 여왕을 골라 스킬을 쓰는 것처럼 I를 누르고 사령부를 직접 찍어줘야 하나, 적 건물이고 체력이 749 이하라면 마우스 우클릭(사령부로 이동)을 하거나 근처에 놔두면 [[자동 시전|알아서 들어간다]].] 사령부 상공에서 잠시 사라진 뒤 몇초간의 시간이 요구되는데, 그동안 커맨드 센터가 완파되거나 [[SCV]]의 수리로 체력이 750(50% 이상)으로 복구되어 버리면 감염에 실패하나, 이 상태 그대로라면 사령부가 저그 살덩이로 장악당해 해당 건물이 된다. 사령부 중앙에 두근거리는 거대한 심장처럼 생긴 모양새의 저그 고름집이 생기고 생체 덩굴이 건물 전체를 감싸는 모양새다. 또한 감염을 시도하는 퀸은 감염의 성공 여부에 관계없이 수초 후 다시 사령부의 상공에 나타나게 된다. 메딕의 리스토레이션으로 해제가 가능한 여왕의 다른 기술들과는 달리 이렇게 해서 감염시킨 사령부는 두 번 다시 원래대로 복구할 수 없으며, 다른 저그 세력이 재감염 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 기능 === 장악에 성공하면 소유권이 바뀌면서 장악 전의 커맨드 센터의 손상 정도와 상관없이 체력이 풀로 가득 찬다. 원래 테란의 건물이었던 만큼 이착륙 기능이 남아있어서 건물을 이동시키는게 가능하다. 그리고 저그 건물이 된 만큼, [[점막]] 위에 착지할 수도 있다. 요약하면 SCV와 체력(60)이 같은 근접 자폭형 발업 질럿급 속도의 보병을 뽑아내는 저그판 [[병영(스타크래프트 시리즈)|배럭]]이나 [[게이트웨이]]. 생산 방식도 저그의 부화장 방식이 아닌 테란이나 프로토스처럼 순차적으로 한 마리씩 뽑는다. 실제로 라바에서 변이하는 다른 유닛들은 Morph to XXX(XXX로 변이)라는 표현을 쓰는 반면에 감염된 테란은 Train Infested Terran(감염된 테란 훈련)으로 표현된다. --[[자살공격|뭘]] 훈련시키는건지는 상상에 맡기자-- 랠리 포인트 역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체력이 깎일수록 저그 건물처럼 피가 나지 않고, 테란 건물처럼 불꽃이 치솟지만, 저그의 특징인 '''자가 회복''' 덕분에 불은 알아서 소화된다.(...) 저그의 건물이기 때문에 [[SCV]]가 수리할 수 없다. 그리고 테란 건물의 특징인 빨피로 떨어져도 자체 파괴 카운트다운이 적용되지 않는다. 원래 커맨드 센터의 기능이었던 보급 (인구수) 지원과 자원 수급 기능은 사라진다. 자원 수급 기능이 없는 병력 생산 건물이라 그런지 원래의 커맨드 센터와는 달리 자원 바로 옆에도 위치시킬 수 있다. 만약 감염시킨 사령부가 생전(?)에 부속 건물을 달고 있었다면, 혹은 임자 없는 부속 건물을 발견해서 옆에 착지시키더라도 부속 건물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태생이 테란 건물이나 저그화가 된 탓인지 크립 위에 착륙이 가능하다. 다만 이미 착륙한 상태에서 크립을 퍼뜨리면 감염된 커맨드 센터가 차지하고 있는 만큼의 영역엔 크립이 퍼지지 않는다. 정 마저 퍼뜨리고 싶다면 잠시만 감염된 커맨드 센터를 띄워주고 크립이 퍼지길 기다린 뒤 착지시키면 된다. === 활용 === 저그 건물 중 유일하게 건물 초상화가 [[초월체]]가 아니다. 여기에서 [[감염된 테란(유닛)|감염된 테란]]을 뽑을 수 있지만 기껏 퀸을 뽑는 번거로움과 적 핵심 건물을 장악하는 위험을 감수하고 만든 것치고는 [[감염된 테란(유닛)|감염된 테란]]의 성능이 그저 그런지라 실전에서는 감염된 테란을 활용하려고 감염시킨다기보다 테저전에서 테란의 멀티를 빠르게 무력화하거나 이미 승기를 잡은 저그가 상대방 테란에게 [[마패관광|능욕을 선사해주려는 부분이 크다]]. 그래서 감염된 커맨드 센터는 래더보다는 캠페인이나 [[유즈맵]]에서 더 자주 보인다. [[마패관광]]처럼 리그전에서 상대에게 굴욕을 안겨줄 때나 감염을 시키는 정도로 그 활용 빈도가 매우 낮지만, 멀티나 본진을 털 때 커맨더 센터 체력을 절반 이하로 깎고 주변이나 후방에서 공수해온 퀸으로 빼앗는 전략은 달리 말하면 상대방의 자원 수급과 보급에 모두 지장을 주고 감염된 테란도 생산해 추가 피해도 줄 수 있는 꽤 치명적인 공격이다. 어찌되었든 이 전략에 한번 당하면 정신적 충격도 충격이지만 감염의 진짜 의의는 체력이 절반 이하로 남은 커맨드 센터를 '''일격사'''시키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것이다. 유닛으로 공격해 파괴하기엔 시간도 오래 걸리고 상대 병력의 저항과 수리 신공을 견뎌야 하는데, 유닛으로 공격하면서 퀸을 슬쩍 끼워넣으면 한 방에 테란의 자원줄 하나를 무력화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빠른 무한]]에서는 동맹이 테란이라면 그 동맹에게 커맨드 센터를 보내달라고 요청해서 그걸로 감염시키거나, 프로토스로 플레이 하는 경우 다크 아칸으로 두 종족의 일꾼을 가져와 자기 것을 감염시켜서 활용하기도 한다. [[팀 섬멸전]]에서는 테란+저그 구성인 경우 팀원의 협의 하에 ''커맨드 건설을 포함해서'' 스스로 만들 수 있다. [[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커맨드 센터]], [[부화장|해처리]], [[연결체|넥서스]] 하나라도 파괴되면 패배하는 서든데스 모드에서는 사령부가 감염되어도 파괴로 간주되기에 퀸을 결정타로 꽂아넣는 전술이 꽤나 유용하다.[* 실제 [[2000년]] 초에 서든데스로 펼쳐진 방송 경기들에서도 이렇게 승패가 갈리는 장면이 제법 많았다.] === [[스타크래프트/캠페인|캠페인]] === 저그가 테란을 침략&감염시킨 상징물로 은근히 종종 나온다. 캠페인에서는 꽤 일찍부터 등장하고 심심하면 써먹는 요소다. 오리지날 테란 임무 2번째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난이도 상 해당 맵의 저그 인공지능이 [[감염된 테란(유닛)|유닛]]을 생산하지 않는다.[* 애초에 대군주도 없어서 불가능하지만 만약 생산이 가능했다면 파이어뱃은 사용할 수 조차 없고 잘못하면 마린들은 단체 폭사에, 레이너까지 원턴에 골로 가기 때문에 난이도가 수직상승한다.] 부수면 레이너가 [[에드먼드 듀크]] 장군에게 '''[[기물파손죄|연합의 중요 시설 파괴 혐의]]'''로 잡혀간다. 오리지날 저그 임무 4번째에서는 대놓고 퀸을 초장부터 주면서 레이너의 커맨드 센터를 감염 또는 파괴시키라 간접적으로 지시하고는 있지만 이를 어떻게 하든 레이너는 무사히 빠져 나와 다음을 기약하며 다음 임무로 넘어가기에 그 외의 일반 커맨드 센터를 감염시키지 않는 한 레이너의 커맨드 센터는 운용의 여지가 없다. 이후 저그 캠페인은 테란과의 실내전 1번 이후로 잠깐의 저저전을 빼면 저프전 일변도가 되어 오리지날 저그 캠페인 내내 감염된 커맨드 센터는 운용할 수가 없다. 굳이 따지자면 4번째 미션에 있는 레이너 커맨드 센터 말고 다른 지역 커맨드 센터를 감염시키면 사용은 가능하나 시간만 오래 걸릴뿐이다. 오리지날 프로토스 임무 5번째에도 저그가 운용하는데 간혹 유닛을 생산해 오버로드로 싣고 와 공격을 하는 정도다. 프로토스 임무에서는 [[태사다르]]가 [[제라툴]] 일행을 찾기 위해 저그에 점령당하여 버려진 테란 시설안에 잠입하려는 임무에서도 등장한다. 정확히는 감염된 사령부 뒤편의 지하 시설로 가는건데, 이게 왜곡되어 감염된 사령부 안으로 들어가는 걸로 아는 사람들도 꽤 된다. 브루드워 시점에선 비중이 제법 상승해 테란 8번째 임무에서 초월체 친위대 중 주황 저그가 유닛을 수시로 생산해 히든카드처럼 쓴다. 심지어 건물을 세개나 들고 있다. 이후 시점인 저그 임무에서는 오리지널과는 달리 비중이 높아졌다. 저그 임무 3번째 켈-모리안의 자원을 털러 갈 때에도 케리건이 주변 커맨드 센터들을 감염 또는 파괴하라는 부수적인 임무를 주는데, 감염에 성공한 갯수만큼 다음 4번째 임무 코랄 공습 미션에 그대로 제공되지만[* 실제로는 직전 임무의 결과에 따라 다른 맵을 불러오는 것이다. 즉, 감염된 사령부가 0~5개 있는 맵들이 따로 있다. 하지만 테란 캠페인 분기와 달리 목록에선 '''선택해서 들어갈 수 없다.'''] 일회용인 자폭 유닛 생산에 적잖은 자원이 들기에 큰 효용 가치는 없다.[* 아예 없지는 않은데, 초반에 드론을 째는 상황에서 좌측에 있는 성큰콜로니를 커맨드 센터 4개로 둘러싸 초반에 부담인 적 울트라 1마리를 막는 방법이 있다.] 대신 일대의 모든 커맨드 센터들을 입맛대로 처리하면 보상으로 광물 1만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레 미션도 완료되니 주변에 광물이 별로 없다고 방어적으로만 플레이할 필요는 없다. 스타 1 캠페인 최강의 난이도로 알려진 브루드워 저그 임무 8번째 '야수 죽이기'에서 [[UED]]의 노예 무리도 이 건물을 운용하고 있는데 흰색보다는 주황이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 저그를 조종하는 세력이 지구에서 온 [[지구 집정 연합]] 원정대라는 설정을 생각해 볼 때 감염된 테란을 운용하는 건 섬뜩해 보일 수 있다. 명목상으로 인류를 위한다고 하지만 그 전신인 UPL은 인류의 신성과 순수성을 위해 무수한 범죄자와 기계 장착자(열등분자)들을 숙청한 바 있으며, 그 일부를 [[코프룰루 섹터|코프룰루 식민지 개척]]을 명분으로 유형을 보내기도 했다. 이러한 과거를 갖고 있다 보니 이들의 후손들을 거리낌없이 애완 저그의 제물로 썼을 듯하다. 애초에 브루드워의 오프닝 역시 실험용 저그를 데려다가 자치령의 테란에게 풀어놓는 것을 보면 애초에 UED는 코프룰루 구역에 거주하는 테란을 자신과 동등한 인간으로 보지 않고 정복해야 할 대상이나 실험용 대상으로밖에 생각하지 않는 듯. 실제로 UED가 주인공인 브루드워 테란 캠페인은 3번째, 6번째, 7번째, 8번째 임무를 제외한 4개 모두가 자치령을 상대하는 임무다.] === 여담 === [[뉴클리어 사일로]]나 [[콤샛 스테이션]]과 도킹된 커맨드센터를 감염시키면 도킹이 해제된다. 저그에 고스트는 없으니 핵 격납고야 있어봤자 쓸 수 없겠지만, 만약 스캔이 도킹 해제되지 않고 같이 감염됐다면 제법 유용했을 것이다. [[이성은]]과 --[[마재윤]]--이 [[파이썬(스타크래프트)|파이썬]]에서 1시간 가까이 벌어진 혈투로 유명한 경기에서는 저그가 상대 테란의 사령부를 무려 5번이나 감염된 사령부로 만드는 상황이 연출됐다. [[https://www.youtube.com/watch?v=wREcynY_iUA|해당 경기 영상]]. 다만 초중후반 내내 치열했던 게임 양상 때문에 감염된 사령부에서 [[감염된 테란(유닛)|감염된 테란]]이 나오는 장면은 연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 경기, '''테란이 이겼다!''' 물론 커맨드를 5번이나 먹힌 만큼 수월하게 이긴 것은 전혀 아니고 대역전극이였다. 컴퓨터(AI)는 이 건물을 만들려는 시도조차도 하지 않는다. 만들어주거나 에디터로 두어도 사용을 안 하거나 하는게 극히 드물다. 물론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만드는 것 자체가 관광용이긴 하지만 2의 컴퓨터가 가끔 자신이 아주 우세하면 관광용 빌드로 플레이어를 놀려먹는 행동을 가끔씩 하는 것에 비해선 좀 아쉽다. 예외적으로 이걸 사용하는 건 컴까기에서 흔히 쓰이는 Zerg Insane이 아니라 Zerg Difficult인데, 이것도 공격용으로 절대 사용하지 않고 자신의 건물을 적의 공격으로부터 지키기 위해서 3~4마리씩 뽑아두는 것에 불과하다. 그것도 극후반에 가서야 사용하는게 대부분. == 스타크래프트 2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저그)] [[파일:infested commend center.png ]] 전작과는 달리 저그 여왕이 공중 유닛에서 지상 유닛으로 바뀐 건 물론 사령부 감염 능력도 사라졌기에[* 공허의 유산 캠페인과 협동전에서는 스타크래프트 1 시절 여왕을 볼 수 있고 능력까지 구현되어 있지만 사령부 감염 능력은 없다. 사실 데이터상으로 있긴 하지만 일부러 완성을 하지 않은 듯 보인다.] 현재 래더에서는 감염된 건물을 볼 수 없다. 초창기엔 역병전파자의 모델을 썼던 [[감염충]]이 반파한 테란 건물을 아무거나 감염시키고 [[감염된 테란]]을 거기서 만들었지만 삭제되었다. === [[스타크래프트 2/캠페인|캠페인]] ===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building-terran-commandcenter.png|width=76]]}}}||{{{+1 '''감염된 사령부'''}}} ,,Infested Command Center,, 감염되었으면 파괴해야 합니다. ||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m=400, s=11 제공)] || || 체력 || 1500 || 방어력 || 1 || || 크기 || 5 × 5 || 시야 || 11 || || 특성 ||<-3> 경장갑 - 생체 - 구조물 || ||<-4>{{{#!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파일:btn-upgrade-terran-buildingarmor.png|width=76]]{{{#!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0 20px 0 10px" '''테란 건물 장갑''' [br] ,,Terran Building Plating,,}}}}}}}}}||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zerg-neuralparasite-color.png|width=76]]}}}||'''감염된 테란 생성''' ,,Spawn Infested Terran,,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t=2)] 감염된 테란은 중간 정도의 공격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ffff8a 지상 유닛 공격 가능}}}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infestedmarine.png|width=76]]}}}||'''감염된 해병 생성''' ,,Spawn Infested Marine,,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t=2)] 감염된 해병은 중간 정도의 공격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ffff8a 지상 및 공중 유닛 공격 가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corruptedmass.png|width=76]]}}}||'''변형체 생성''' ,,Spawn Aberration,, ({{{#fff B}}})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t=6)] 강력한 공격력과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유닛입니다. {{{#ffff8a 지상 유닛 공격 가능}}}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ability-terran-setrallypoint_흑.png|width=76]]}}}||'''집결 지점 설정''' ,,Set Rally Point,, ({{{#fff Y}}}) 생산된 유닛을 지정한 지점으로 보냅니다. 자원으로 보낸 일꾼은 자동으로 채취를 시작합니다. || 캠페인에서는 분기에 따라 사령부뿐만 아니라 감염된 [[벙커(스타크래프트 시리즈)|벙커]], 감염된 [[보급고]], 감염된 [[공학 연구소]] 등등 감염된 테란 건물들을 다양하게(?) 볼 수 있다. 참고로 감염된 벙커와 감염된 미사일 포탑의 기능은 유지되고 있기에 '''공격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캠페인의 감염된 사령부는 전작과 달리 자원 수급 기능도 하기 때문에 일벌레가 여기로 자원을 나르기도 한다. 감염된 테란, 감염된 해병, 변형체를 짧은 시간에 공짜로 생산하는데, 트리거에 따라 생산하므로 빨리 잡아주는게 낫다.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협동전 임무|협동전]] === [[스투코프/협동전 임무|협동전 스투코프]]의 본진 건물로 사용되며 [[일꾼]]인 감염된 건설로봇과 대군주를 생산한다. 전작처럼 이동을 할 수는 있지만, 공중으로 부양하는 게 아닌 하부에서 [[가시 촉수|커다란 발]] [[포자 촉수|여섯개가 나와]] [[휴지 허미트|사령부를 들어올린 뒤]] [[하울의 움직이는 성|이동하는 방식이다]]. 지면에 내려앉으면 일대에 '''[[점막]]을 퍼뜨리는데''' 중요 접전이나 방어 지점에 감염된 사령부를 위치시켜 마치 초 거대 점막 종양처럼 활용하는 플레이도 가능은 하다. 이 건물이 퍼트리는 점막 범위가 '''무한'''이다. 본진과 멀티에만 지어놨을 뿐인데도 종국엔 맵 대부분이 점막으로 뒤덮인다.[* [[감염된 테란]]은 점막 위에서 이동 속도가 빨라지는데, 문제는 스투코프 진영은 이 점막을 넓힐 수 있는 [[여왕(스타크래프트 2)|여왕]]을 생산할 수가 없기에 이렇게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점막과 무관한 [[여왕(스타크래프트)|무리 여왕]]은 생산 가능. 스투코프 [[대군주(스타크래프트 시리즈)|대군주]]는 원래 점막 생성 능력도 없었으나 패치로 다시 복원되었다.] 사실 건물 자체에서 점막을 퍼뜨리는게 아닌 트리거로 점막을 퍼뜨리는 식이다. 사령부를 박아 둔 시간이 인게임 타이머로 대략 1분 25초 이상 경과[* 도중에 뿌리를 들어도 사령부가 자체적으로 퍼뜨린 점막 범위에서만 벗어나지 않고 늦지 않게 재빨리 다시 박으면 초기화되지 않아 마저 채울 수 있다.]하면 트리거가 발동되어 맵상에 감염된 사령부가 없어도 사령부가 있던 자리를 중심으로 점막이 계속해서 퍼져나가는데 이 단계에 돌입하면 같은 구역에 여러 사령부를 지어도 퍼뜨리는 속도는 동일하다. 다만 점막이 없는 구역에 트리거 알박기를 하면서 옮겨다니면 점막 확대에 도움이 되긴한다. 그러나 사령관 스투코프는 본진 건물을 여러개 짓는 사령관이 아니므로 이렇게 쓰는 것은 시간과 광물 낭비고, 굳이 점막을 더 빨리퍼뜨려야 겠다면 그냥 속업된 대군주를 끌고와서 점막 접경지에 수동으로 점막을 뿌려주는게 낫다. == 그 외 == 다른 게임에서 비슷한 기술을 찾자면 [[HQ team]]의 RTS 게임 [[임진록 2]]의 [[임진록 2/일본 유닛 및 건물|일본 유닛]]인 [[닌자]]의 건물 점령으로, 체력이 50%인 적 건물을 빼앗는다[* 건물을 빼앗은 뒤 닌자는 두 번 다시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상대가 조선일 경우 건물 내에 주둔한 의병에 의해 최소 1번은 실패한다.]. 같은 회사의 [[천년의 신화]]에서는 각 국 군주 아니면 태자 영웅이 '확장 현혹술'이라는 마법이 있다. 다만 이 둘은 빼앗아도 건물 체력이 그대로여서 해당 기술을 자동 시전해 놓으면 서로의 닌자나 영웅이 한 건물을 두고 피터지게 빼앗아댈 수도 있다.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1편의 [[엔지니어(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엔지니어]]도 시리즈 내의 다른 게임과 달리 빨피상태의 건물만 점령할 수 있다. 왜 1편에서는 사령부 감염이 가능했지만 2편에서는 불가능하냐는 물음에, 블리자드는 1편은 생체 조직이 있는 사이보그 부관이었기에 저그 감염에 취약했지만 2편은 사이보그가 아닌 순수 안드로이드형 부관으로 전면 교체했기에 불가능하다고 대답했다. 사실 이건 2편 정식발매에 맞춰서 넣은 설정이다. 캠페인에서 감염된 테란 건물들은 많다. 굳이 [[설정오류]]를 해결해보자면 블리자드의 답변은 비행 여왕의 감염 능력에 대해서만 답변한 것이고, 저그가 비행 여왕으로는 감염이 어렵게되자 감염을 전담하는 감염충을 창조했다고 보면된다. 스타 1의 저그 인터페이스는 테란 인터페이스를 저그 살점이 뒤덮은 형태인데 마치 감염된 사령부를 연상시킨다. 이 점은 리마스터에서도 변하지 않았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카툰 스킨에서는 사령부에 하트(심장)가 달려 있다. 포켓몬스터XY에서 칼라마네로가 만든 '의미있는 시스템'이 감염된 사령부와 유사한 이미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