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화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15px-In_the_Realm_of_the_Senses.jpg]] 일본어: 愛のコリーダ [* 사랑의 [[투우]](corrida). 일본판 포스터 아랫쪽에 황소의 검은 실루엣으로 확인.] 프랑스어: L'Empire des Sens 영어: In the Realm of the Senses [youtube(vOfOfxZ683w)] [[1976년]] [[일본]]의 [[오시마 나기사]](大島渚)가 연출한 일본-[[프랑스]] 합작 영화이다. 실제 일본에서 1930년대에 일어났던 [[아베 사다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해 프랑스 [[칸 영화제]]의 "감독 주간"에 초청되었으며, [[영국 영화 협회]](BFI)의 서더랜드 트로피(Sutherland Trophy)와 일본 호치 영화상의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작품은 성도착자 커플의 비극을 그린다. 대단히 [[유미주의]]적인 작품으로 예술을 위한 예술인지 아니면 단지 외설인지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오간다. 도덕성·대중성을 따지지 않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소위 '예술을 위한 예술'은, 성문화에 개방적인 일본에서도 받아들여지기 힘들었다. 성기와 실제 정사씬이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더욱 논란이 컸다.[* 여배우의 음모 노출은 예사이고, 성기 안에 계란을 넣었다가 빼는 장면에서는 아예 클로즈업으로 보여준다.][* 정사씬에서는 여성상위 자세에서 여배우의 질에 남배우의 음경이 삽입되는 장면까지 그대로 보여준다. 당시 기술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편집이나 카메라 워크가 아닌 빼박 실제 정사 인증. 포르노와의 차이라면 확대해서 보여주지 않는다는 정도.][* 비교적 성에 개방적인 일본이지만 직접적인 노출은 터부시된다. AV에서 모자이크가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아베 사다 역의 마츠다 에이코(松田暎子,1952)는 논란에 시달려야 했다.[* 그래도 TV에 얼굴을 비춘 적은 있다. [[1977년]] 12월 木枯し紋次郎(코가라시몬지로)라는 도박사의 유랑 이야기라는 주제의 TV 시대극에 출연하는데, 10번째 에피소드인 鴉が三羽の身代金(가라스가미츠하네노미다이킨)에 기쿠노라는 역할이었다. 수요일 9시 드라마였고 해당 회의 시청율은 8%로 준수한 편이었다. 이 때는 예명인 暎子 대신 본명인 英子로 출연했다.] [[1979년]]까지 영화를 몇 편[* 1977년작 聖母観音大菩薩에서는 이후 101번째 프로포즈 여주로 유명한 19살이던 아사노 아츠코까지 체모 모자이크를 한 전라 노출 수준으로 나온다. 당연히 마츠다 에이코도 전라 노출한다.] 찍고 미디어에서 사라졌다가 [[1982년]] 프랑스에서 [* [[오가피]]다. [[칸 영화제]] 고문으로 [[마틴 스콜세지]]와 [[제인 캠피온]]을 발굴한 피에르 라시앵의 두번째 영화. [[http://www.giff.kr/kor/page/movie-view2.php?no=60|강릉국제영화제에서 복원판을 상영한 적이 있다]].]란 작품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사진은 [[1983년]]에 찍은 것이 구글에 돌아다니긴 하는데, 칩거 수준으로 대중들에게서 숨었다가 [[2011년]]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상대 남자 배우인 후지 타츠야(藤竜也,1941)도 극중 실제 정사로 논란의 중심이 돼 2년 근신했다. 게다가 그는 유부남이었다. 그래도 [[1978년]]에 복귀해 그 후로는 계속 활동 중이다.[* 후지 타츠야는 같은 오시마 나기사의 <열정의 제국, 1978>과 [[구로사와 기요시]]의 <アカルイミライ(밝은 미래, Bright Future, 2003)> 두 편으로 [[칸 영화제]]에 섰다. [[2018년]] 현재까지 약 80편에 달하는 필모그라피를 자랑한다. 아내는 아시카와 이즈미(芦川いづみ,1935)라는 6살 연상의 유명 여배우다. 일본판 [[누벨바그]]인 쇼치쿠 뉴웨이브의 중심에 있다가 후지 타츠야와 [[1968년]] 결혼한 뒤 은퇴했다.] 이 영화가 더욱 쇼킹한 이유는 실제 정사씬과 그리고 극의 클라이막스에서 여주인공이 남주의 목을 졸라 죽이고 성기까지 절단하는 장면 때문이다. 이 장면을 본 남자 관객들은 마치 자신의 성기가 잘리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는 말도 있을 정도. 두 사람이 서로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남자가 죽음을 체념하고 눈물로 받아들이는 모습은 단순 치정 살인은 아니라는 메시지를 던지려는 거 같은데, 관객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는 다른 문제다. 이 작품은 앞서 기술한대로 단순 치정극은 아니다. 오시마 나기사 감독은 한국이나 재일교포를 다룬 영화를 만들었을 정도로 좌익 성향이고, 일본은 1930년대 [[파시즘]]을 거치고 45년 패전한 후에도 구 세력이 제대로 청산되지 않았다. 전후 경제 고도 성장 속에 1960년대 [[전공투]]나 학생 운동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사회 변혁에 실패한 일본 지식인들의 무력감은 여러 방향으로 나타났고, 이 작품도 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속 남성의 성기가 일제 [[군국주의]]를 상징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이후 오시마는 성애에 관한 탐미적인 작품들을 계속 만들었다. 70년대는 [[68혁명]]과 히피 문화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으로 오히려 21세기인 현재보다 수위가 높은 파격적인 영화가 만들어지던 시절이고, 정치적으로 극좌와 극우 세력의 정치적 대결이 격렬하던 시기로 본 영화처럼 성과 정치를 결합시킨 영화들이 만들어졌다.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감독의 [[살로 소돔의 120일]]도 70년대 영화이다. 한국에서는 당연히 일본 영화이니 정식 소개가 되지 않다가 2000년 4월 1일에서야 16분이 잘린 채로 정식 수입되어 개봉했다. 서울 관객 14만을 기록했다. 당시 [[씨네21]]에서 이 영화를 다룬 바 있는데, 기자가 1990년대 대학가 상영관에서 이걸 틀어주던 걸 봤을 때 여대생들은 기겁하고 나가버렸다고 회고한 적이 있다.[* 참고로 1998년 즈음 서울대 총잔디에서 야외 상영회를 한 적이 있다.] [[2015년]] [[3월 26일]]에 재개봉했으나 서울 관객 653명으로 알게 모르게 사라졌다. [[2019년]] CGV CAV 기획전에서 무삭제판으로 상영하였다.[* 2000년에는 16분을 잘라내고도 모자이크 투성이였다. ] [[2021년]] [[전장의 크리스마스]]와 함께 4K로 복원되어 일본에서 재개봉했고, [[엔케이컨텐츠]]는 이 버전으로 [[영등위]] 심의를 신청했지만 [[제한상영가]]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는지 일단 신청을 취소했다.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이 뽑은 역대 최고의 영화 10편 중 하나이다.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74102, user=6.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in-the-realm-of-the-senses, user=3.6)] ==== 여담 ==== * [[Ai No Corrida]] 라는 일본어 제목에서 채용된 제목의 디스코곡이 있다. 이 곡은 Chaz Jankel의 원곡을 [[퀸시 존스]]가 리메이크 하면서 널리 알려져 있다. * 당시 무명이던 [[최양일]]이 조감독으로 참여했다. * 무대 배경이 [[1936년]] 일본인데, 남자 주인공 하반신에 삼각 수영복 태닝 자국이 선명하다. * [[2012년]] 영화인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87268|감각의 제국 파이널]]이라는 괴작이 있는데 아베 사다 사건을 대충 써서 만든 그냥 에로물이다. 국내에서도 달랑 서울 관객 10명을 기록했는데 1개 상영관에서 1회 상영하고 IPTV 유료 방영 홍보 겸 개봉했던 거였다. * 영화에 나오는 베드씬은 전부 배우들이 실제로 섹스를 한 것이다.[* 여배우의 질 안으로 남배우의 물건이 삽입되는 모습이 정면으로 나온다.][* 또한 오럴, 여성상위 등을 보면 가짜일 수 없다는 게 확연하다.][* 여배우의 입 안에 사정한 남배우의 정액도 고스란히 촬영되었다.] * 베드신 촬영 당시 현장에는 스탭 없이 두 배우와 감독 3명만으로 촬영했다고 한다. * 유튜브에 올라온 트레일러에 여자 주인공 마츠다 에이코가 [[김선영(배우)|김선영]]과 닮았다는 한국 네티즌들의 댓글들이 종종 보인다. === EBS 교양 프로그램 === [[인문학]] 프로그램. 감각이라는 제왕 밑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을 다룬 프로그램이다. [[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분류:1976년 영화]][[분류:실화 바탕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