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자 표기와 훈과 음 ==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角'''}}} ||<:> {{{+5 '''者'''}}} ||<:> {{{+5 '''無'''}}} ||<:> {{{+5 '''齒'''}}} || ||<:> 뿔 각 ||<:> 사람 자 ||<:> 없을 무 ||<:> 이 치 || == 곁뜻과 속뜻 == 곁뜻은 뿔이 있는 사람(놈)은 이가 없다는 것이지만 실상 속뜻은 일인(一人)이 백복(百福: 모든 복)을 겸하지 못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비슷한 속담으로 '무는 호랑이는 뿔이 없다', '송곳니를 가진 호랑이는 뿔이 없다'가 있다. '[[안분지족]]'과도 유관하며, '[[신은 공평하다]]와도 관련이 깊다. == 출전 == [[회남자]] 지형훈(墬形訓) 상사단락(相似段落) ||...戴角者無上齒(대각자무상치) 無角者膏而無前(무각자고이무전) 有角者指而無後(유각자지이무후)...|| ||...뿔이 있는 짐승은 윗니가 없으며 뿔이 없는 것은 즙이 없고 뿔이 잇는 것은 손가락이 없다....|| [[https://ctext.org/text.pl?node=3092&if=gb&show=parallel출전]] [[분류:한자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