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경영전략]]에서 기업의 핵심역량을 단순한 기능별 능력이 아닌 여러 기능별 능력이 종합된 조직상의 능력으로 이해하기 위한 분석방법. [[마이클 포터]]가 1985년 제창했다. 기업의 생산활동을 주 활동 부문과 보조 활동 부문으로 나누어 분류한다. * 보조 활동 부문 * 인프라 (기획, [[재무]], [[경영정보시스템]], [[법무]]) * [[R&D]]: 연구할 수 있는 기초 능력, 신제품 개발의 속도 * [[인사(직무)|인사]] * [[구매]] * 주 활동 부문 * [[재고관리|재고/원자재 관리]] * [[생산관리]]: 생산 효율성, 제조 공정의 지속적 향상능력, 민첩한 반응 속도 * [[물류]] * [[마케팅(직무)|마케팅]] 및 디자인 * [[영업]] * 애프터서비스 가치사슬 분석을 하려면 먼저 기업의 활동을 세부 활동 분야로 나누어야 한다. 그리고 각 세부 활동 분야에서 뛰어난 경쟁기업을 찾고, 경쟁 기업들과 분석대상 기업을 [[벤치마킹]]하여 경쟁우위/열위 여부를 파악한다. 가치사슬 분석을 이용하려면 분석대상기업이 결과물을 바탕으로 '열심히 잘' 해야 한다. [* 우위에 있는 분야는 발전시키고 열위에 있는 분야를 만회하기 위해 학습해야 한다. 양쪽 중 어디에 집중할지는 각자의 선택.] 또 조직상의 능력도 중요하다. 어떤 조직은 조직간 핵심역량의 공유가 미흡하고, 새로운 핵심역량에 대한 학습이 느리고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월마트]]를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다. * 인프라: 본사가 소규모이고 기업문화가 검소하다. * 기술: 인공위성을 통해 즉각적인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소비자 정보 활용에 많은 비용을 투자했다. POS 시스템도 최첨단이다. * 구매: 대량으로 구매한다. * 인적자원관리: 임금이 낮다. * 운영: 창고형 매장이 도시 외곽에 위치하고 있어 땅값이 싸다. * 마케팅, 서비스: 비용을 들이지 않는다. [[분류:경영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