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후여조 황제)] |||| [[파일:레 가종.jpg|width=300]] || || '''[[묘호]]''' ||'''[[가종]](嘉宗)''' || || '''[[시호]]''' ||관명민달인과휘유극인독의미황제[br](寬明敏達因果徽柔克仁篤義美皇帝) || || '''[[성씨|성]]''' ||레(Lê, 黎/여) || || '''[[휘]]''' ||주이 꼬이(Duy Cối, 維禬/유회) || || '''생몰기간''' ||1661년 ~ 1675년 || || '''재위기간''' ||1672년 ~ 1675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트남]] [[후 레 왕조]]의 20대 황제. 묘호는 가종(嘉宗)이며, 시호는 관명민달인과휘유극인독의미황제(寬明敏達因果徽柔克仁篤義美皇帝), 이름은 레 주이 꼬이(Lê Duy Cối, 黎維禬/여유회)이다. 제18대 황제인 [[레 신종|신종]](神宗, Lê Duy Kỳ, 黎維祺/여유기)의 셋째 아들. 어머니는 소의(昭儀)[* 사람 이름이 아닌 궁녀의 품계.]인데 정씨옥롱(鄭氏玉瓏)에게 입양되어 자랐다. == 생애 == 1672년, 형 현종이 후사없이 사망하자, 여유회는 뒤를 이어서 황제로 즉위하였다. 가종의 재위기간이 짧기에 별 다른 행적은 없으며, 가종이 사용했던 연호는 양덕(陽德, 1672년 ~ 1674년)과 덕원(德元, 1674년 ~ 1675년)이다. 1672년, [[찐씨 정권]]의 왕 정근(鄭根)은 군사를 거느리고, 남쪽의 [[응우옌씨 정권]]을 공격하였다. 1674년, 가종은 정근을 정남왕(定南王)으로 책봉하였다. 1675년, 가종은 14살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그의 후사가 없었기에 동생 [[희종(레)|여유협]]이 뒤를 이었다. 시신은 복안릉(húc An Lăng/福安陵)에 안장되었다. 그 외에 베트남의 대표 역사서인 대월사기전서가 가종의 재위기까지 포함하여 1697년 완성되었다. == 가계도 == * 부 : [[레신종|신종]](神宗) 여유기 * 형 : [[레진종|진종]](眞宗) 여유우 * 형 : 현종(玄宗) 여유우 * '''가종(嘉宗) 여유회''' * 동생 : 희종(熙宗) 여유협 [[분류:대월 황제]][[분류:1661년 출생]][[분류:1675년 사망]][[분류:하노이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