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족오락관/역대 게임)] [목차] == 개요 == 노래방 코너도 빼 놓을 수 없는 코너로, 주부 방청객이 맹활약하는 코너다. == 역대 방식 == === 뮤직박스 === * 1990년대에 진행된 방식으로, 상자 속에 있는 어떤 물건을 보여주면 그 물건에 해당하는 노래를 릴레이로 부른다. * 1993년에는 다함께 차차차라는 코너로 나왔다. 차이점은 노래가 나옴과 동시에 리듬이 나왔다는 점이다. === 만화 === * 1996~1997년에는 그림을 보고 어떤 노래 제목인지 맞히는 형식으로 진행했으며 1000회 특집에서도 선보인 바 있다.[* 중간에는 어떤 글자를 제시하면 그 글자로 시작하는 노래를 불러야 했다.] * 2004년(1004회~1018회)에는 알song달song 노래방이라는 제목으로 진행되었으며 플래시 애니메이션 형태로 보여주었다.[* 이 때엔 홈페이지에서 시청자 의견을 받아서 문제 출제를 한 바 있다.] * 연상되는 노래가 무엇인지 맞힌다. * 1008회에서는 남성팀이 모두 성공해서 점수를 다 가져갔다.[* 중간점수가 390:450에서 노래방 코너 활약으로 530:470으로 남성팀이 여성팀을 이겼다.] === 퍼즐 === * 노래방 코너 중 많은 사랑을 받았던 문제 형식. ==== 글자 조합 ==== * 여러 개의 선택판 중 하나를 선택하면 글자를 공개한다. 중간에 꽝이 하나 있다. * 선택할 수 있는 기회는 3번, 공개되는 글자를 조합해 제목을 맞힌다. * 초기에는 무반주로 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키보드 반주에 따라 부르는 방식으로 바뀌어 진행. * 1992년 하반기의 경우 노래점수와 문제점수를 따로 나왔는데, 노래 점수의 경우 댄서 1명[*댄서 당시 [[현진영]] 2집 메인댄서였던 김철진.]이 나와 춤을 추며 원형에 적힌 점수를 보였다. 점수는 0점에서 50점 사이. ==== 머리로 글자 쓰기 ==== * 1992년 12월~1993년에 등장한 방식으로 한 명 당 한 글자를 쓴다. * 이를 확인하며 제목을 맞힌다. 문제당 30점.[* 1993년에는 50점에서 30점까지.] * 이 코너 역시 노래점수와 문제점수를 따로 나왔는데, 노래 점수의 경우 댄서 1명[*댄서 당시 [[현진영]] 2집 메인댄서였던 김철진.]이 나와 춤을 추며 원형에 적힌 점수를 보였다. 점수는 0점에서 50점 사이. ==== 징검다리 ==== * 1994년에 진행한 노래방 게임. * 각 팀에 한 명이 나와 사회자가 보여준 제목을 본 후, 이를 본 출연자는 자음과 모음이 적힌 카드를 순서대로 밟는다. * 이를 바탕으로 출연자가 제목을 맞힌다. ==== 가나다라 ==== * 1995년경에 진행된 방식 * 1기 형식: 빙고 게임으로 어떤 글자로 시작하는 노래 제목을 맞혀야 하며, 한 문제당 20점씩, 빙고 완성 시 보너스 30점 추가와 동시에 종료. * 2기 형식: 자음 중 하나를 선택해 맞히는 방식이다. 자음이 많이 공개될수록 배점이 낮아진다. 시작은 100점, 2개 공개될 시 80점, 3개 공개될 시 50점, 4개 공개될 시 40점, 5개 공개될 시 30점 순으로 부여. ==== 텔레파시 ==== * 1995~1996년에 했던 형식으로 [[퍼즐특급]]의 쌍쌍퍼즐을 차용한 형식으로 24조각으로 구성된 퍼즐판 가운데 같은 그림 두 조각씩 찾는다. * 같은 그림을 찾으면 그 뒤에 숨겨진 가사를 보여주며, 한 번 더 기회를 갖는다. * 한 칸에는 0~3글자의 가사가 들어있다. ==== 문장 채우기 ==== * 90년대 중반에 진행되었던 방식이었으며, 어떤 노래가사의 글자 일부를 보고 어떤 노래인지 맞힌다. 가사가 드러날 때마다 20점씩 까여서 나온다. ==== 쥐돌이 ==== * 590~599회에 했던 방식 * 쥐돌이가 움직이는 부분에 뒤집혀진 제목의 일부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제목을 맞힌다. * 여기서 쥐돌이 노래방은 [[퍼즐특급|퍼즐특급]]의 쥐돌이 퍼즐과 관련이 없고, 카멜레온의 그림자와 유사하다. 뒤에 후술할 공룡알과 월드컵이 관련있다. ==== 자음,모음 조합퍼즐 ==== * 3D로 자음과 모음이 흩어져 돌아다니는데, 노래제목을 맞힌다. ==== 초성 ==== * 691~724회에 했던 형식으로 초성으로 어떤 노래 가사인지 맞힌다. * 배점: 50~30점으로 10점씩 내려갈 때마다 중성, 종성 글자가 차례대로 공개된다. ==== 공룡알 ==== * 763~777회에 했던 '퍼즐특급열차'에 쥐돌이 퍼즐을 차용한 형식으로 각 팀 두 명씩 조를 이뤄 구호를 외치면 해당하는 자리에 글자를 보여준다. * 노래 제목 맞히면 50점, 노래 가사에 맞게 부르면 30점을 얻는다. * 각 조당 기회는 3번, 771회부터는 중간에 보너스 및 페널티 점수도 들어있다. * 771회에는 남성팀의 맹활약으로 인해 엄청난 점수를 가져갔다.[* 가족노래방 이전에 점수가 120:220이었는데, 보너스 점수 30점과 문제, 노래를 완벽하게 성공해 390:320으로 뒤집혀졌다.] ==== 엉킨 글자 ==== * 778~779회에 했던 형식으로 어떤 노래 제목을 한 곳으로 모아놨다. * 보여지는 글자를 하나씩 정확히 말할 때마다 글자가 사라진다. ==== 주사위 ==== * 784회에 했던 일회성 형식으로 노래가사가 적힌 주사위 4개를 이리저리 돌린다. ==== 월드컵 ====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기간 중이던 902 ~ 907회에 했던 형식이며, 역시 쥐돌이 퍼즐을 차용한 형식으로 태극전사들이 왔다갔다 하다가 팀원들이 자체적으로 정한 구호[* 예를 들어 906회의 남성팀 구호 "헤딩~슛!" 과 같은 방식.]를 외치면 해당하는 자리의 두 글자를 보여준다. 중간에 꽝도 있다.[* 꽝이 나오면 10점이 차감된다.] * 기회는 5번, 배점은 50~10점으로 10점씩 차감. 만약에 열린 자리에 멈추면 점수 차감 없이 다시 한 번 기회를 갖는다. * 10점에서도 못 맞히면 상대팀에게 기회가 넘어간다. * 906회에서는 남성팀이 순전히 외래어인 "헤딩~슛!"[* 구호는 헤딩 슛이지만 머리로 슛을 않고 발로 슛을 한다. 프로그램이 고정된 특성 때문인 듯.]을 구호로 쓴다는 이유로 여성팀은 순전히 우리말인 "발로~차!"를 구호로 내걸었다. ==== 숨은 제목 찾기 ==== * 1997년에 했던 형식으로 25칸의 글자판 가운데 숨겨진 제목을 찾는 문제. * 2009년(1231회~1233회)에는 9칸의 빙고판 중 숨은 제목을 찾는 형식으로 정답 제목을 번호 순대로 부르는 문제. ==== 다트 ==== * 785~792회에 했던 형식으로, 각 팀 대표 두 명씩 나와 다트를 던져 36개의 풍선을 터트린다. * 한 사람당 기회는 세 번씩이며, 풍선을 터트리면 글자가 나타난다. * 785회에는 남성팀이 하나밖에 터트리지 못하자 참다못한 MC 허참이 시범을 보였는데, 풍선은 터지지 않고 순간포착으로 글자를 보여줬다. 그리고 여성팀의 최란이 두 개를 터트렸는데 둘 다 함정이었다. > 다트 던지는 최란, 두 개의 풍선이 터졌는데 둘 다 함정이 나옴 > 손미나: 두 개를 터트렸는데 둘 다 함정이예요! 정말 이것도 아무나 하는게 아니죠! > 허참: 정말 쌍둥이 엄마 답네! ==== 가사 조합 ==== * 793~799회에 했던 형식으로 어떤 노래의 첫 소절 18글자가 섞여있다. * 앞 줄, 가운뎃 줄, 뒷 줄 순서대로 6글자씩 보여주면 어떤 노래의 가사인지 맞힌다(반대로 뒷 줄부터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 배점 : 50점~30점으로 10점씩 내려감 ==== 공 속 글자 ==== * 925, 926, 1181~1225회에 했던 형식으로 공 속에 글자를 조합해 어떤 노래의 가사인지 맞힌다. === 거꾸로 읽는 가사 === * 626~654회에 했던 형식으로 [[성우]] [[박기량(성우)|박기량]][* 이 분 역시 남성팀 게스트로 918회(2002년 9월 28일)에 출연한 적이 있다.]이 노래 가사를 거꾸로 읽어준다.[* 2003년 EBS [[퀴즈 천하통일]] 7기 전반기에서 이 방식을 차용해 '요까일엇무' 게임이 진행되었다. 이때도 역시 성우가 출연하였으며, 출연한 성우는 [[이철용(성우)|이철용]].] === 피아노 1 === * 781~783회에 했던 형식으로, 각 팀 대표가 나와 발로 밟는 피아노를 이용해 해당 노래를 연주한다. === 피아노 2 === * 1019회 ~ 1044회에 했던 형식이며, [[MC]] [[허참]]이 피아노를 조금씩 늘려가며 연주한다. 박자는 전혀 신경쓰지 않고 음으로 판단해서 맞힌다. === 외국어 === * 625회까지 했던 형식으로 어떤 외국인이 노래가사를 외국어로 설명한 후 출연자들이 질문을 통해 가사를 물어볼 수 있으며, 어떤 노래인지 추측해서 맞힌다. === 타임머신 노래방 === * 1173, 1176회에 했던 형식으로 가족오락관 예전 노래방 문제를 다시 풀어보는 형식. === 헤드폰 1 === * 시민[* 2000년에는 서울시 안의 시장 상인들에게 협조를 요청했다.], 외국인이 정답 노래가 흘러나오는 헤드폰을 쓰고 '랄랄라~' 또는 '빰빰빠'[* 2000년에는 이걸로 많이 했다.]로 부르는 노래가 무엇인지 맞힌다. === 헤드폰 2 === * 927~941회에 했던 형식으로, 주부 방청객이 대표로 나와 지정된 글자로 노래를 부르는데, 헤드폰에 나오는 노래를 부르는 게 아닌 지정곡을 부른다. === 스타 노래방 === * 영상 속 스타가 인사한 뒤에 노래하는데, 다른 노래가 흘러나온다. 즉, 입모양을 보며 맞히는 방식이다. * 2003년에는 어떤 노래에다 엉뚱한 가사를 넣고 부르는데 그 가사의 제목이 무엇인지 맞히는 방식으로도 했다. === 숨은 노래 찾기 === * 1994년에는 각종 스포츠 영상 재생 중에 가려진 가사나 노래제목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 1998년에는 영화 재생 도중 순식간에 4줄 가사가 적힌판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 이를 바탕으로 가사가 들어가는 노래제목을 맞추는 문제. * 734회 출연자 중 [[현숙]]이 출연했는데 자신의 노래인 '정말로' 노래 문제가 나왔다. === 도전! 30곡! === * 859회부터 879회까지 했던 형식으로, 일요큰잔치 코너를 차용한 형식. * 859회부터 870회까지는 최대 5곡, 871회부터 879회까지는 최대 3곡까지 도전 가능하다. * 한 곡당 30점이다. * 초창기에는 [[가수]]로 보여줬으며, 후에는 번호로 선택했다.[* 고정되어 있는 판을 돌리거나 붙어있는 스티커지를 떼내는 형식이다.][* 876회에서 다시 가수로 보여준 기록이 있는데, 붙어 있는 스티커지를 떼어내는 형식이었으며, 이 당시 [[태진아]]를 고르면 꽝이 나와 스팀이 폭발했다.][* 가수로 보여줬을 당시 출연자가 가수일 경우 30개의 판 안에 본인의 이름이 있을 시, 본인 노래는 선곡을 금지하는 규칙이 있었다.] * 선택판에는 꽝 2개[* 2002 설 특집 왕건오락관은 3개이며, 5번, 15번, 17번이다.], 무조건 성공 1개[* 876회 가수특집은 [[신승훈]].][* 862회 출연자 중 [[김한국]]이 이걸 고르고도 얼떨떨한 표정을 지었는데, 알고 보니 무조건 성공이 노래 제목인 줄로 오해했던 것이다. 그리고 863회 출연자인 [[김학래]]와 866회 출연자인 윤지숙이 첫번째 곡을 도전할 때 이것이 나온 덕분에 첫 번째 관문은 곧바로 통과했으나, 두번째 곡을 도전할 때 김학래는 [[산토끼]], [[윤지숙(배우)|윤지숙]]은 고기잡이를 골랐는데, 아주 쉬운 [[동요]]들임에도 불구하고 둘 다 어이없게 실패하면서 두 번째에서 멈췄다.], 흑기사 1개[* 물론 실패한 경우가 있다. 탈락자는 873회 출연자 [[김을동]]과 874회 출연자 [[곽진영]]이다. 각각 [[이연경]]과 [[선우용녀]]가 대신 불렀다.], 상대팀 선수 한 명 업고 부르기[* 대표적인 예시로 861회에서 [[주영훈]]이 [[이진]]을 업고 [[윤수일]]의 [[아파트(노래)|아파트]]를 불렀다.], 특정 글자로 바꿔 부르기[* 예를 들면 '콩'과 같은 한 글자로만 가사를 다 메워서 부르는 것이다.], 특정 창법으로 부르기[* 예를 들어 동요를 트로트 창법으로 부르는 것과 같다. 다만 877회에서는 원곡 가수 창법(성대모사)으로 부르기로 쓰여 있었다.]가 들어있다. * 꽝이 나올 경우, 스팀이 저절로 폭발해서 더 이상 도전을 할 수 없다. * 2002 설 특집 왕건오락관에서는 삼진아웃제로 진행되었다. * 859회 출연자인 [[이경실]]은 마지막 곡에서 16번을 골랐지만 아깝게 꽝이 나왔다. 그래도 4곡을 통과했기 때문에 그만큼 점수를 많이 가져갔다. 그리고 같은 회차에 [[샤크라]]의 멤버 [[황보(가수)|황보]]도 출연했는데, 무난하게 5곡을 모두 통과했다. --초록빛 바닷물에 두 손을 담그면X2-- * 860회 출연자인 [[김성희(1968)|김성희]]는 두번째 곡을 고를 때 무조건 성공이 나왔으나, 그 다음 곡을 고를 때 하필이면 꽝이 나와 버리는 바람에... 그리고 [[김지선(코미디언)|김지선]]은 두번째로 도전하는 곡이 [[투투(가수)|투투]]의 '[[일과 이분의 일]]'이었는데, 가사 한 글자 차이로 틀리는 바람에 안타깝게도 1곡밖에 성공을 못했다. 이후 868회에서 재출연했을 때는 5곡 모두 통과해 860회의 부진을 만회했다. * 861회 출연자 중 [[옥주현]]은 [[흔들린 우정]]을 부르다가 틀렸는데, 이후에 옆에 있었던 [[홍경민]]은 이 노래는 원곡 가수인 본인도 헷갈린다며 이해해 줘야 되는 부분이라 말했다.[* 원곡 가수인 [[홍경민]] 또한 헷갈렸다고 한 이유로는 아무래도 곡이 나온지 1년밖에 안 되었던 시점이라 그러했을 수도 있다.] * 861회 출연자 [[이진]]과 868회 출연자 [[장미화]]가 이 번호를 고르다가 꽝이 나와버렸는데, 그 숫자가 [[15]]번이었다.[* 그나마 [[이진]]은 1곡, [[장미화]]는 2곡이라도 불러서 성공했다.] * 862회 출연자 [[류시현]]과 866회 출연자 [[조은숙]]이 번호를 고르다가 꽝이 나와버렸는데, 그 숫자가 다름 아닌 행운의 [[7]]번이었다.[* 그나마 [[조은숙]]은 1곡이라도 불러서 성공했지만, [[류시현]]은 아예 초장부터 노래도 한 곡도 부르지 못하고 내려와야 했다.] * 863회 출연자인 [[채은정]]도 노래를 도전했는데, TV에는 3곡까지 성공해서 꽝이 걸렸다고 나왔지만, [[허참]]이 '16번 마지막 하나 둘 셋 꽝'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4곡까지 성공해서 꽝이 나왔을 수도 있다. 아무래도 [[PD(방송)|PD]]가 편집한 것으로 보인다. * 865회 출연자 중 [[방실이]]는 두번째 곡을 고를 때 23번을 골랐지만 꽝이 나왔다. 또한 [[김형곤]]이 혀가 짧아서 11번을 외쳤는데 [[허참]]이 12번으로 잘못 골라서 어이없이 꽝이 나왔다. 그러나 남성팀은 10곡, 여성팀은 9곡을 성공했다. * 866회 출연자인 [[임현식]]은 마지막으로 도전하는 곡이 이 시스터즈의 '울릉도 트위스트'였는데, 트위스트로 춤추다가 아깝게 틀렸다. * 869회 출연자인 [[전원주]]는 세번째 곡을 고를 때 22번을 고르려 하다가 남성팀 주부들이 13번을 고르라고 해서 골랐더니 꽝이 나와 버렸다. 사실 22번 노래는 [[박미경]]의 '이유같지 않은 이유'였는데, 젊은 층에게 익숙한 노래라서 어차피 결과는 같았을 것이다. * 875회에서는 최고 기록을 세웠다. 그것도 3곡 모두 통과한 출연자가 '''5명씩'''이나 있었다. 5명의 출연자는 바로 [[이상벽]], [[김정균(배우)|김정균]], [[노사연]][* 특히 마지막으로 나온 [[노래]]는 마침 운 좋게도 [[이무송|남편]]의 곡인 '사는 게 뭔지'. 여기서 퀘스트는 흑기사 고르기였는데, 익숙한 노래여서 그런지 흑기사를 쓰지 않았고, 그러고도 퍼펙트로 성공했다. 참고로 875회 출연자 중에서 [[가수]]는 노사연이 유일했다.], [[김민희(1972)|김민희]], [[최상학]]이다. * 877회 출연자인 [[이매리]]는 마지막으로 도전하는 곡은 박진영의 '[[그녀는 예뻤다]]'였는데 춤을 연주하면서 노래를 부르다가 틀렸다. 대신 춤을 열심히 춰 보너스 점수 10점을 얻었다. 그리고 탄야는 두번째로 도전하는 곡이 5번 노래는 [[이민규]]의 '[[아가씨]]'였는데, 가사 두 글자 차이로 틀리는 바람에 안타깝게도 1곡밖에 성공하지 않았다. 3곡 모두 통과한 4명의 출연자는 [[오승근]][* [[오승근]]과 [[김자옥]] 부분은 편집했지만, 최종 점수로 볼 때 오승근은 3곡 모두 성공했고, 김자옥은 한 곡도 성공하지 못했다.], [[김흥국]], [[소찬휘]], [[로티플스카이|하늘]]이다. * 879회 출연자인 [[송옥숙]]은 두번째 곡을 고를 때 20번을 골랐더니 꽝이 나왔고, [[심신]]은 마지막 곡에서 8번을 골랐지만 꽝이 나왔다. 3곡 모두 통과한 출연자는 [[심형래]]뿐이다. ~~그럼에도 여성팀 최종승리~~ * 이 코너에서도 졸전이 나온 적이 있었다. 861회에서는 여성팀이 4곡, 876회에서는 여성팀이 3곡[* 방송에서는 [[김현정]]만 혼자 2곡만 성공한 걸로 나왔지만, 1곡 성공한 [[디바(가수)|디바]][* UN과 디바 부분은 편집했다.]는 편집했다. 여성팀의 중간 점수가 290점인 걸로 볼 때, 액션 스피드 게임 1라운드 13문제, 2라운드 13문제 총 26문제 맞혀서 260점이므로 550점을 얻었다. 최종 점수 640점으로 볼 때, 그러니까 도전 가족노래방에서 640-550=90점을 얻었다는 뜻인데, 한 곡당 30점이므로 결국 3곡밖에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이다.]밖에 성공하지 못했다.[* 특히 랩 부분이 나오면 틀렸다. 잘못된 만남은 예외다.] 그것도 두 회차 모두 가수 특집이었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참고로 861회에서는 여성팀 전 출연자가 모두 [[핑클]]이었다. ~~자기들 노래 준비하느라 바빴던 모양들이다.~~ * 노래를 부르는 사람 개인 혹은 다른 팀원들이 개별적으로 내려진 [[퀘스트]]도 (노래를 부르면서) 같이 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일례로, 가사를 거꾸로 부른다거나, 다른 팀원들끼리 [[기차놀이]]를 한다던가...[* 이 기차놀이 퀘스트가 나왔을 때 곡이 다름 아닌 [[은하철도 999]]였다.][* 874회에서는 누군가 헬륨가스 먹고 노래부르기 미션이 있었는데 마무리할 무렵에 허참이 코주부 안경을 쓰자마자 손미나는 '너무 잘 어울린다'며 웃음과 칭찬을 주었고 클로징에서 허참이 헬륨가스를 먹고 마무리를 했다.] * 다른 종류들과는 달리 주부 방청객이 수고할 필요가 없는 유형이었다. * 노래 반주는 태진미디어(이후 [[TJ미디어]]) WOW 시리즈로 추정된다. * 흑기사가 나오는 경우는 의도치 않게 출연자 중 한 사람을 노리고 삽입한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861회의 '''[[사랑이 떠나가네]]''', 865회의 '''[[첫차]]'''와 877회의 '''[[공주는 외로워]]'''가 대표적이다. === 불협화음 노래방 === * 불협화음 밴드가 엉뚱한 멜로디에 [[가사]]를 붙여서 [[노래]]를 부르는데, 그 노래의 제목을 맞히고 노래를 부르는 형식이다. * 언젠가부터는 '업그레이드 불협화음 노래방'이라는 [[타이틀]]로 진행하기 시작했다. * 불협화음 밴드는 [[코미디언]]들이 나와서 문제를 출제했는데[* 출제 도중에 가글을 하거나 트럭 노점상으로 변신해 행상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출제 중에 두 사람(주로 윤선희, 김기수, 김시덕 중 두 사람)이 춤을 출 때도 있다. 노래를 부르는 와중에도 세 명이서 앞에서 춤을 춘다. 대부분 왔다갔다 춤이다.], 한 번도 교체된 적이 없는 사람은 [[이재훈(KBS 개그맨)|이재훈]], [[윤선희]].[* 윤선희는 김시덕 체제 때에는 왼쪽이었는데, 김기수 또는 허승재 체제 때에 오른쪽으로 자리가 바뀌었다.] 유일하게 교체 경험이 전혀 없는 이재훈 외에도 역대 출제 위원들로는 [[김시덕]], [[김기수(코미디언)|김기수]], [[허태희]](舊 허승재), [[윤선희]] 등이 있다. 특이사항으로는 당시 모두 방송계의 [[신인]]들이었다는 것이다. 더불어서, 문제 출제위원들 전부가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16기 [[개그맨]]들이었다는 특징도 있다. * 892회, 896회, 917회[* 이때는 추석특집이라 허승재는 노비, 이재훈은 양반, 윤선희는 기생 차림으로 등장했다. 다만 920회에서도 비슷하게 등장했으나, 허승재는 약간 업그레이드 되게 등장했다.]는 첫 문제로 나온 엉뚱한 멜로디가 [[몽키매직]][* 892회는 정답이 "흙에 살리라"였다.]이었다. * 894회에서는 김시덕이 문제 출제 중 안무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메고 있던 장난감 기타를 떨어뜨렸다. 그리고 양옆에서 풍선 불었다가 터뜨리기가 삽입되었고[* 그러자 안계범이 '''아직 터뜨리지 마'''라고 했다.], 바로 그 다음에 김시덕은 빨간 확성기를 들고 계란 장수로 변신했다. >(확성기를 마이크에 대자)애애애애애애앵~! >계란! >굵고 싱싱한 계란이 왔습니다! >산지 직송! >한 판에 2천원! >오늘 계란을 구입하신 분들께는! >특별히! >세숫대야를 드립니다! >------ >894회에서 김시덕의 계란장수 멘트 * 895회 출연자 중 [[설운도]]는 불협화음 밴드가 가글을 하는 틈을 타 잠시 컨닝했다. * 896회에서는 문제를 내는 중에 이재훈과 김시덕이 잡담을 했다. * 914회에서는 소개할 때 [[김기수(코미디언)|김기수]]가 앞으로 숙이다가 마이크에 머리를 박았다. * 919회에서는 허승재가 커다란 가발[* 자세히 보면 [[펑키]] 스타일의 가발과 비슷하다.]을 쓰고 [[색소폰]]을 들고 연주하며 엉뚱한 멜로디에 가사를 붙여 부르며 출제했는데, 옆에서 윤선희가 강아지 짖는 소리를 내며 같이 문제를 내자, 여성팀 측에 있던 [[김보화]]는 [[불어]]냐고 하기까지 했다. * 920회에서는 '''[[산할아버지]]'''를 엉뚱한 멜로디에 붙일 때 영어로 떡밥이 제시되었다. * 여기에서 자주 나오는 멜로디가 존재하는데, 윤선희 이재훈 김시덕 체제 때에는 '''몽키매직'''[* 몽키매직은 윤선희 허승재 이재훈 체제에서도 종종 등장했다.] 이었지만 윤선희 허승재 이재훈 체제 때에는 '''세상은 요지경''' 이 자주 나왔다. * 윤선희, 이재훈, 김시덕 체제 때에는 물을 입에 넣고 가글을 하며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도 있었다.[* 894회에서 김시덕은 뚜껑을 열자마자 뚜껑을 위로 휙 던졌다.][* 이때 이재훈은 노래를 불러야 되기에 가글을 하지 않고, 윤선희와 김시덕이 가글을 한다. 게다가 가글을 할 때 마이크를 대고 가글을 한다.] ==== 역대 문제 출제 밴드 ==== * 888~924회: 불협화음 밴드 (이재훈, 김시덕[* 888~901회까지 나왔다.], 김기수[* 908~914회까지 나왔다.], 윤선희, 허승재[* 915 ~ 924회까지 나왔다.], 이대박[* 888~889회에 옆에서 봉고를 치는 역할로 잠시 나왔으며, 2019년 1월 31일 사망했다.]) * 942~950회: 시끄러 시스터즈 ([[양혜승]]) * 969~1003회: 룰루랄라 시스터즈 ([[신고은(코미디언)|신고은]], [[강주희]], [[하지영]](舊 서지영)) * 1048~1079회: [[래퍼]] 겸 [[DJ]] 본킴, [[스케줄원]], [[원썬]] * 1082~1099회: 후다닥 시스터즈 ([[서성금]], [[박나래]], [[장효인]]) 역대 문제 출제 밴드 가운데 흑역사. 출연자가 노래하는 도중에 엽기적인 행위를 펼치거나, 목을 조르는 등 이상한 행위로 출연자를 곤혹스럽게 만들어 쓸쓸히 퇴장. * 1100~1116회: [[화니지니]] (오승환, 최현진) * 1169~1180회: [[미녀들의 수다]]들이 출연자가 허밍을 듣다. * 1226~1231회: 비바보체 합창단 (1227회는 제외) === 윷놀이 노래방 === * 특집 방송 시에 한 것으로, 특정 표시가 있는 곳에 노래가 숨어져 있는데, 만일 윷을 던져서 그 특정 표시가 걸리면 거기에 있는 노래를 부르는 형식이다. * 1129회(2007 설 특집)에서 여성팀의 말이 도착점에 머물렀을 때 남성팀이 윷이나 모가 나와야 역전의 기회를 잡을 수 있었는데 던진 윷이 1/8[* 1/16(윷이 나올 확률) + 1/16(모가 나올 확률) = 2/16(1/8)]의 확률을 뚫지 못하고 걸이 나오는 바람에 그대로 여성팀이 승리했다. === 도전 릴레이 노래방 === * 1181회부터 1233회까지 진행된 방식으로 [[쟁반노래방]]처럼 팀원 전원이 릴레이로 노래를 부르며, 한 사람이라도 틀리면 바람 벌칙을 받는다. * 예외적으로 인원이 많은 팀이 유리한 코너인데, 멤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1200회 출연자 중에서 여성팀의 [[오영실]]은 '당시 남성팀의 출연자는 6명이기에 불리하다며 별도의 점수를 달라'고 요청한 적이 있다. * 1190회 출연자 중에서 남성팀의 [[윤철형]]과 [[빽가]]가 노래 문제를 다 맞혔고, 결국 남성팀은 점수를 모두 다 가져갔다. [* 최종점수가 910:490으로 남성팀이 여성팀을 크게 이겼다.] * 1205회 출연자 중 [[염경환]]이 '바다에 누워'를 '저 바다에 누워'라고 오답을 댄 적이 있다. 그리고 남성팀에서 시도할 때 [[조원석]]이 전부 다 맞혔다.[* 염경환도 한 차례 도전했지만 전자와 같이 틀렸다.] * 1208회에서는 남성팀이 [[진이#s-3|진이]] 노래 제목을 맞혔는데 마지막 도전자 [[김흥국]]이 영어 가사까지 잘 불렀는데도 틀려서 결국엔 여성팀이 노래를 성공했다.[* 양팀 점수 반반씩 득점했다.] * 1211회에서는 여성팀 출연자들이 남성팀이 노래 부르는데 방해공작을 했다. * 1221회에는 마지막 문제 노래 제목이 [[땡벌#s-2|땡벌]]인데 남성팀이 '땡볕'으로 말하는 바람에 틀렸고, 여성팀이 겨우 맞혔지만, 노래에서 여성팀이 두 번 장난친 바람에 남성팀이 노래를 겨우 성공했다.[* 중간점수 160:300에서 여성팀이 노래방 이전까지는 정상적으로 활약했지만, 마지막에 자만심과 장난으로 인해 780:750으로 남성팀이 여성팀을 30점 차로 승리했다.] * 1223회 출연자 중 [[하춘화]]가 출연했는데 자신의 노래인 '날 버린 남자'가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팀이 더블점수를 받았다.] * 1232회에서는 정답은 여성팀이 다 맞혔는데 중간에 한 번 틀렸다가 남성팀이 또 한 번 틀려서 여성팀이 점수를 다 가져갔다.[* 이때는 여성팀 출연자가 [[소녀시대]] 멤버들이 출연해서 더블점수까지 모두 다 가져가버린 바람에 남성팀은 이 코너에서 점수조차 획득하지 못했다.] * 이 유형은 [[여걸 시리즈]]에서 했던 3,2,1 노래방과 비슷하다. 차이점이 있다면, 이 쪽은 순서대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 절대 음감 박자의 달인 === * 1234회부터 1236회까지 진행한 방식으로, 노래를 들은 다음 출연자가 다른 노래가 나오는 헤드폰을 쓰고 노래와 율동을 정확히 해야 하는 형식이다. == 담당 연주자 == *1990년대 초: 김창권[* 1992년에 담당], 공석춘[* 1993년부터 맡았다.] *1994년 하반기~1997년 상반기: 공석춘, 정우진, 손경태 [* 1995년 3월 2일 방영분에 따르면 공석춘, 정우진 2명으로 하다가 추후 1명 추가되었다.] *1997년 상반기~2000년대: 정우진, 최인산, 손경태 *2000년대 초중반: 작곡가 심수천[* 당시 아침마당 토요이벤트(가족노래자랑)에서 반주도 담당했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반주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됨. == 여담 == * 1995~1997년에 했던 노래방 코너의 로고송은 [[서수남]]이 불렀다. * 1998~1999년 경에는 부르는 사람의 이름과 나이, OO엄마라는 자막이 나온 적이 있다. * 797회에서 [[조형기]]는 [[밤이면 밤마다#s-1|밤이면 밤마다]] 노래를 부르다가 빵터진데다 음정까지 틀려서 실패했다. * 827회에 어떤 주부방청객은 [[네박자#s-1|네박자]]를 '세상은 요지경'으로 잘못 불러 실패했다. * 830회에선 MC를 대타 찬스로 기용했으며 양 팀 모두 대타 찬스에 성공했다. --허참: 한 곡만 더 하면 안돼?-- * 831회에선 오랜만에 출연한 [[조오련]]이 분위기 적응을 못해 MC 허참이 문제의 노래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s-1|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에 대해서 우회적으로 알려줬는데, 그 문제를 --억지로-- 맞혔다. * 834회에선 여성팀이 노래에 성공하자 [[이계인]]이 출연자와 합심하는 게 어딨냐며 항의했다. --[[혜은이]]: 억울하면 가수해요!-- * 837회에 [[신지(가수)|신지]]가 노래로 문제의 가사[* 문제의 가사는 바로 [[양수경]]의 '당신은 어디있나요'다.]를 넣고 불렀는데, [[주현]]이 one way ticket라는 곡을 부르는 일이 벌어져 막간으로 부르게 되었다. 그런데 동시에 주부 방청객 쪽에서 [[날 보러 와요#s-5.1|날 보러 와요]]라는 곡이 나오는 일이 벌어졌다.[* [[방미]]가 부른 날 보러와요라는 곡의 원곡이 [[닐 세다카]]가 불렀던 One way ticket이다.] * 841회에서 [[배기성]]이 카멜레온 노래를 부르는데 디바가 방해공작을 했는데도 간신히 성공했다. * 방청객이 노래 부르는 차례에 참여하지 못하면 실패 처리한다. 842회에는 [[배동성]]이 얼렁뚱땅 넘어가려다 실패했고, 891회에는 [[이용식]]이 목도리로 아줌마 분장을 하다 걸려 실격처리했다. * 906회 출연자 중 [[정재윤]]은 [[십오야(노래)|십오야]]의 마지막 부분을 틀리게 부른 뒤, 얼렁뚱땅 딩동댕 처리했는데, [[조형기]]는 '두근두근 이쁜이 마음이 맞는데, 이쁜이 마음 두근두근'이라고 불러서 항의했지만, 정재윤은 다시 정확한 가사로 불러 판정을 그대로 성공 처리[* 어찌보면 틀리게 부르고 그렇게 불렀다며 억지를 부린 것이다. 만약에 얼렁뚱땅 딩동댕 처리가 안 되고 그 파트에서 바로 땡을 쳤다면 기회가 남성팀에 넘어감과 동시에 조형기가 마이크를 잡았을 수도 있다.]했다. --죄송합니다. 조형기씨, 딩동댕을 너무 일찍 쳤습니다. -가족오락관 제작진 일동- -- 이 코너가 끝나고 조형기는 "형~좀만 더 하다 가자~" 라고 하며 허참에게 어리광을 부렸다.[* 참고로 [[허참]]이 [[조형기]]보다 9살 형이다.] * 974회 출연자 중 문제의 노래 [[빙글빙글]]에서 최형만이 노래를 부르고, [[김상태(코미디언)|김상태]], 양배추(現 [[조세호]])가 백댄서로 무대를 장악해 노래에 성공했다. 성공 후 [[박주아(아나운서)|박주아]]는 순간 [[뮤직뱅크]]로 착각했다. * 983회 출연자 중 [[최병서]]는 '마음 약해서'를 부르는데 중간에 '무너진 사랑탑'으로 이어불러 실패했다. * 985회 출연자 중 [[신문선]]이 [[배반의 장미(노래)|배반의 장미]]를 부르다가 실패했는데, 신문선이 편집 해달라고 요청했다. > 신문선: 근데요! 그 부분 편집해주면 안되나요? > 허참: 편집 안하고 그냥 갈게요! 나중에 집에서 보세요! > 신문선: 제가 학교에서 강의도 하는데 이 프로가 모두가 좋아하는 프로그램 아닙니까! 편집해서 빼주세요! > 허참: 안달복달이네요! > 신문선: 어서 편집해주세요! > 박주아: 그렇게 계속 말씀하시면요! 별표쳐가지고 다 나가요! * 1004회 출연자 중 [[김범룡]]은 [[서울 대전 대구 부산]]을 부르는데, 박자를 틀려 실패하는 굴욕을 안겼다. --허참: (김범룡에게) 가수 맞아?-- * 1015회 출연자 중 [[이용식]]은 [[혜은이]]의 [[열정(혜은이)|열정]]을 부르려는데, 춤만 추다가 실패했다. * 1036회 출연자 중 [[고영욱|남성 출연자]]는 [[최 진사댁 셋째 딸]]을 부르려는데 엉뚱하게 '가지마'를 불러 실패했다.[* 최 진사댁 셋째 딸과 '가지마'는 도입부 멜로디가 비슷하다.] * 1052회 출연자 중 [[손종범]]은 [[오빠#s-2.4|오빠]]의 마지막 부분을 얼버무려 부른 뒤, 얼렁뚱땅 딩동댕 처리했는데 손종범은 '아까 제작진에게 커피 뽑아드렸다'며 아부를 했지만 무효 처리했다. * 1087회에서는 남성팀에 [[황승환]]과 여성팀에 깍두기로 나온 정재윤이 서로 자리 이동을 했고, 여성팀 주장 [[전원주]]가 노래 도전을 하는 중에 후다닥 시스터즈 등장으로 인해 마이크를 2번이나 뺏겨서 실패한 뒤 그 다음 도전에서 남성팀의 정재윤이 여성팀과 후다닥 시스터즈의 방해 작전에도 불구하고 아슬아슬하게 성공했다 * 간혹 본인이 불렀던 노래를 못 맞히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790회에서 [[조영남]]이 [[화개장터#s-2|화개장터]] 문제를 못 맞힌 뒤 노래도 화음까지 불렀는데도 틀렸다. 841회에서 [[박영규]]가 문제에서 자신의 노래인 [[카멜레온(동음이의어)#s-3.1|카멜레온]] 노래가 나와 본인이 직접 불렀는데도 틀렸다. 특히 [[송대관]]이 [[차표 한 장]]을 882회에는 '어린이가 차표 한 장을 부르니 동요같이 들린다'는 핑계로 틀렸고, 950회에는 랩으로 들려준 가사를 못 맞혔고, 1053회에는 여성팀에서 정답을 제시하자 어리둥절한 표정을 지었다. 581회에는 [[혜은이]]가 '싣고', '나는'이라는 힌트에서 정답은 [[제3 한강교#s-1|제3 한강교]]였는데 '울어라 기타줄아'라는 오답을 제시했다. 본인 문제를 못 맞혔지만 여성팀에서 노래 성공한 뒤 아들에게 자랑을 했다. * 판정은 가사, 음정, 박자 중 하나라도 틀리면 바로 실패로 이어져 기회는 상대팀에게 넘어간다. 두 팀 중 한 팀이 성공할 때까지 노래가 계속된다. * 판정 중 많이 틀리는 곡 중 '안녕하세요([[장미화(가수)|장미화]] 노래)'가 대표적이다. [[분류:가족오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