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佳亭 / Gajeong(Lu1 City) }}} ||<-3> {{{+2 '''가 정'''}}}'''(루원시티)''' || ||<-3> [[인천 도시철도 2호선|[[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31]]]]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1]]]] || || [[검단오류역|{{{#!html
검단오류 방면}}}]][[서구청역|서구청]][br]← 2.2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html
인천 2호선
(I211)
}}}]] || [[운연역|{{{#!html
운연 방면}}}]][[가정중앙시장역|가정중앙시장]][br]0.8 ㎞ →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신현역(도시철도)|신 현]][br]← 1.1 ㎞ || [[서울 지하철 7호선#s-3.2.1|{{{#!html
7호선
(763)
}}}]] || {{{#585858,#a7a7a7 {{{#!html
시종착
}}}}}}[* [[청라국제도시역]] 방향으로 2027년 [[심곡천역]] 개통 예정] || ||<-3> [include(틀:지도, 장소=가정(루원시티)역, 너비=100%, 높이=225px)]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Gajeong(Lu1 City) || || [[한자]] ||<-2> 佳亭 || || [[중국어]] ||<-2> 佳亭 || || [[일본어]] ||<-2> カジョン || ||<-3> '''주소''' || ||<-3> [[인천광역시]] [[서구(인천)|서구]] [[봉오대로]] 234 ([[가정동(인천)|가정동]] 210번지) || ||<-3> '''운영 기관'''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ffffff 인천 2호선}}}]] ||<-2> [[인천교통공사|[[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width=110]]]]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ffffff 인천 2호선}}}]] ||<-2> 2016년 7월 30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2021년 5월 22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인천 2호선)[br]지하 5층(7호선)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br]([[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I211번. [[서울 지하철 7호선]] 763번. [[인천광역시]] [[서구(인천)|서구]] [[봉오대로]] 234 ([[가정동(인천)|가정동]] 210번지) 소재. 인천2호선은 [[인천교통공사]]가 운행 중. 서울7호선은 [[서울교통공사]].. 부역명은 이 역이 위치한 '''[[루원시티]]'''. == 역 정보 == 지하역으로 3층 구조이다. 지상인 1층에서 대합실인 지하 2층을 지나 지하 3층에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의 경우 [[2014년]] [[10월 30]]일 기공식을 열고 착공에 들어갔으며 2021년 5월 22일에 개통되었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 이후 약 5년만에 환승역이 되었다. 평일에는 장암행 50회, 도봉산행 52회,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장암행 26회, 도봉산행 62회다. 역 위치는 가정2동주민센터에서 서쪽으로 200m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남동쪽 600m 지점에는 [[경인고속도로]]가 살짝 지나간다. [[2027년]]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연장#s-2.3.1|청라 연장 구간]]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청라국제도시]] 중심 상권과 주거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이 이 역이다. [[인천광역시]]에서 [[원종홍대선]]을 이 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현재 추진 중에 있다. 승강장이 평범하게 좁은데도 이 역의 출구는 가운데에 모여있는 형태가 아닌 끝부분으로 확산하는 형태다[* 해당 노선에서 이 구조를 가진 역은 이 역 뿐이며, 승강장 한 쪽 끝부분에만 계단이 있는 역은 현재 환승역이나 환승역이 예정된 인천시청역과 석남역뿐이다.]. 그리고 3, 4번 출구만 있고, 1, 2번 출구가 없다.[* 다만 지하에는 1, 2번 출구로 나갈 수 있는 개찰구와 통로가 일부 만들어져 있다. 지하에서 지상으로 나가는 출구만 파면 된다.] 다시 말해 가정1동과 [[청라국제도시]] 쪽으로만 출구가 있고 가정2동 쪽인 1, 2번 출구는 아직 개방하지 않았다. 1, 2번 출구 입지로 예정된 부분이 [[서곶로]]의 일부였기 때문이다. 다만 [[루원시티]] 개발에 따라 2019년 11월 말 [[서곶로]]가 기존보다 100m 동쪽으로 확장 이전됐고 옛 도로 자리는 상업지역 개발이 예정된 만큼 개발 스케줄에 맞춰 1, 2번 출구 신설 공사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 역과 [[가정중앙시장역]] 사이에 '''2연속 급커브 구간'''이 존재한다. == 역 주변 정보 == 봉수초등학교, 가현초등학교가 있고, [[루원시티|루원시티도시개발구역]]이 있어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4번 출구에 [[청라국제도시]]로 가는 버스가 많이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다음은 가정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인천 도시철도 2호선|[[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25]]]]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6,750명 || 7,868명 || 10,490명 || 12,393명 || '''10,446명''' || *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7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s://www.ictr.or.kr/main/board/data.jsp|인천교통공사 자료실]] 역 주변이 온통 [[루원시티]]를 만들기 위해 공사판인 상황인데도 하루 평균 8,000명 가까운 사람이 이곳을 이용한다. 가장 가까운 거주지가 걸어서 7~8분 거리에 있고, 그나마도 2018년 3월에 입주하여 통계가 뜰 때에는 아직 공사중인 곳이었으니 사실상 걸어서 갈만한 목적지가 아무 데도 없는 상황에서 이 정도의 수요가 나온 것은 이 역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대다수가 버스로 갈아탄다는 뜻이다. 역 앞을 지나가는 수많은 버스들의 목적지는 [[청라국제도시]] 및 가정역 이남의 가정로/염곡로 일대이다. 먼저 청라의 경우, 청라를 관통하는 설계를 가진 서울지하철 7호선 일대[* 청라국제도시역 7호선 연장역, 청라국제금융단지역, 청라시티타워역, 커낼웨이역]가 아직 완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버스를 통해 가정역 앞으로 이동한 후 가정역을 통해 [[인천광역시]] 곳곳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가장 많다.[* 서울으로 이동하는 수요는 [[청라국제도시역]]의 공항철도가 흡수한다.] 다음으로는 가정역 이남의 가정로 일대로 이동하는 수요 또한 많다. 인천2호선이 인천대로(구 경인고속도로) 밑으로 지어져 가정로/염곡로 일대에서 이용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그래서 가정역에서 하차한 후 1/12/42/47/103번(가정로), 13/80번(염곡로) 버스를 이용해 서구 각지로 향하는 승객들 또한 많은 편이다. 서부여성회관역/석남역의 경우는 버스환승을 하기 위해서는 도보로 꽤 걸어야 하고 역 깊이가 깊어 이용하기 까다롭기 때문에 이들 역 대신 가정역을 이용하는 수요 또한 많다.[* 그나마 가정중앙시장역은 47번이 다니기는 하지만 이 노선은 가정로 일대밖에 커버하지 못한다. 배차간격이 12번보다 길어서 이용하기 까다로운 것은 덤.] 2018년이 되어서야 주변 가정지구의 입주가 시작되는 상황에서 아직 역 주변이 개발 중인 관계로, 입주가 거의 끝나는 2023년이 되어야 가정역의 수요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그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버스 환승객만으로도 하루 평균 8,000명에 육박하는 수요를 보이고 있으니, 직접 역세권이 완성되면 인천 2호선에서 가장 많은 수요가 나올 가능성이 아주 높다. 또한 2027년 개통 예정인 서울 7호선의 '심곡천역'이 가정역과 가까이 개통될 예정이므로 인천 2호선-서울 7호선-공항철도의 연계가 가능해진다. == 승강장 == ||[[파일:가정역이용안내도.png|width=100%]]|| || 역이용안내도 [[https://namu.wiki/w/%ED%8C%8C%EC%9D%BC:%EA%B0%80%EC%A0%95%EC%97%AD%EC%9D%B4%EC%9A%A9%EC%95%88%EB%82%B4%EB%8F%84.png|크게보기]]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4> [[서구청역|서구청]]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가정중앙시장역|가정중앙시장]] || || {{{#ffffff 상}}} ||<|2>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서구청역|서구청]]·[[검암역|검암]]·[[검단사거리역|검단사거리]]·[[검단오류역|검단오류]] 방면|| || {{{#ffffff 하}}} ||[[석남역|석남]]·[[주안역|주안]]·[[인천시청역|인천시청]]·[[운연역|운연]] 방면|| 가정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었다. 지하 5층. 깊이가 50.4m. 70m의 [[여의나루역]], [[마포역]]과 거의 맞먹는 수준.. ||<-4> [[신현역(도시철도)|신현]]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종착역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역|온수]]·[[이수역|이수]]·[[건대입구역|건대입구]]·[[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 당역종착 || 이 역과 [[신현역(도시철도)|신현역]] 스크린도어는 다른 역의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개폐될 때 매우 낮은 톤의 목소리로 안전문이 열립니다(닫힙니다)라고만 나오고, 열차의 출입문이 열리고 난 다음 스크린도어가 열린다. [[분류:201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인천 도시철도 2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인천광역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