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식용 해조류)] ||<-2><#00cc00,#007700> '''{{{#FFF {{{+1 가시파래}}}(감태)[br]Green La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시파래김(감태김).jpg|width=100%]]}}} || ||<#abf200,#456105> '''학명''' || ''' ''Ulva prolifera'' '''[br]O.F.Müller || ||<-2><#dbff12,#5b6b01> '''분류'''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식물계]](Plantae)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녹조식물문(Chlorophyta)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갈파래강(Ulvophyceae)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갈파래목(Ulva Lactuca)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갈파래과(Ulvaceae)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갈파래속(''Ulva'')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가시파래(''U. prolifera'')''' || [목차] [clearfix] == 개요 == 갈파래목 갈파래과 갈파래속의 식용 [[녹조류]]. "감태"라는 비표준어 이름으로 많이 유통된다. 분명 김은 아닌데 [[김(음식)|김]]처럼 네모지게 생겨 가지고 김과 묘하게 다른 맛을 내는 녹색 실 같은 음식을 본 적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가시파래다. == 설명 == 주로 생으로 무치거나 [[김(음식)|김]]처럼 말려서 밑반찬으로 먹는다. 12월에서 3월 사이의 겨울이 제철이며, 성장 조건이 까다로워 양식을 하지 않았으나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생산량이 줄어들며 양식을 시작하였다. "감태"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이 생물의 이름은 '''가시파래'''이고 진짜 감태(표준어)는 따로 있다.[* 표준명 "감태(''Ecklonia cava'')"는 [[갈조류]]에 속하는 바닷말이다. [[쓴맛]]이 강해 직접 식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식품공업이나 화장품의 원료로 가공하여 쓰는 것이 보통이다. 같은 갈조류 생물인 [[미역]]이나 [[다시마]]와 흡사하게 생겼다. [[전복]]이 좋아라 하는 먹이라서 전복 양식에도 많이 사용된다.] 문제는 갈조류 감태(표준어)도 나름의 쓰임새가 있어 웹 상에서 비교적 자주 언급된다는 것. 이렇게 이름에서 오는 혼란이 크기 때문에 [[인터넷]]에 "감태"를 쳐보면 지독하게 얽히고설킨 서로 다른 두 개의 "감태"가 세계관 충돌을 일으켜(...) 온갖 잘못된 정보를 양산하는 현장을 목격할 수 있다. 녹조류(김 맛 나는 녹색 실)를 갈조류(쓴맛 나는 다시마 사촌)라고 잘못 소개한다든가 하는 식. 가시파래의 성분인 플로로탄닌 덕분에 수면유도효과가 있으나 감태만으로 3끼를 채울게 아닌 이상 효과를 보긴 어렵다. [[분류:녹조식물문]][[분류:수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