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림프계]] [목차] == 개요 == {{{+1 [[胸]][[腺]] / Thymus}}} [[가슴]], [[갑상선]] 아래 [[심장]] 위쪽에 위치한 신체기관. 같은 말로는 '흉선'이 있다. 내분비기관처럼 '선(샘)'이라는 이름이 붙어있으나 실제 내분기기관으로서의 역할은 크지 않고, 면역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면역조절작용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T림프구를 성숙시키는 기관이다. == 상세 == [[골수]]에서 분화된 미성숙 T림프구는 흉선으로 이동하여 성숙과정을 거치고, 제대로 기능하는 T림프구만 남기고 제거된다. 기능은 크게 두가지로, 먼저 흉선 피질에서는 일반세포가 면역에 관여하는 표면단백질인 MHC/HLA와 잘 결합하는 CD4수용체를 갖고 있는지 테스트해서 잘 결합하지 않는 T림프구는 파괴된다. 이어서 흉선 수질에서는 신체 내에서 정상세포가 자연적으로 만드는 분자들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T림프구가 파괴된다.[* 이런 제한을 회피한 T림프구는 자기 몸을 스스로 파괴하는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류머티즘]] 등.] 이렇게 해서 미성숙 T림프구 중 75%정도가 파괴되고, 나머지가 완전히 작동하는 T림프구로서 면역계에 배치되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면역세포의 성숙#s-3.2.1|]] 을 참고. 흉선은 신생아~청소년기까지는 커지다가, 성인기에는 차츰 작아지기 시작한다. 소아기에는 새로운 T림프구의 생산이 활발하나, 성인기가 되면서 T림프구는 '''웬만큼 다 만들었기 때문에''' 기능적 필요성이 작아진다. == 여담 == * 사람뿐 아니라 [[소]]나 [[양(동물)|양]]등의 어린 개체에도 흉선이 발달하는데, 갈아서 소시지 등을 만드는 것 외에 내장요리를 많이 먹지 않는 서양에서도 [[송아지 고기]]나 어린 [[양고기]]의 흉선을 별미로 요리해먹는다. 성체가 되면 쪼그라들어 섬유질이 많아져 그 부드러움이 없어지므로 어린 송아지의 흉선만 요리하는데, 영어로 '''Sweetbread'''라고 한다.[* 국내에선 송아지의 도축을 피하다보니 생소한 부위로, 2015년 개봉한 [[아메리칸 셰프]]에서 Sweetbread를 [[꿀빵]]으로 오역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서양의 Sweetbread 요리는 주로 송아지 흉선을 뜻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비슷한 식감의 [[췌장]]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흉선 Sweetbread가 아닌 췌장 Sweetbread의 경우는 성체 소의 것도 먹는다] * [[한니발 렉터 시리즈]] 원작소설에서 [[버팔로 빌|버팔로 빌(한니발 렉터 시리즈)]]의 애인 벤자민 라스펠트가 렉터에 의해 살해당하고 한니발 렉터는 그의 흉선과 췌장으로 Sweetbread 요리를 한다. == 관련 문서 == * [[면역세포의 성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