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샤콘 웨폰)]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Gashacon_Bugvisor_Pad.png]] [목차] == 개요 == '''{{{+1 변신패드 가샤콘 버그바이저 (変身パッド ガシャコンバグヴァイザー / Gashacon Bugvisor)}}}''' ||'''"규-잉!(ギュ·イーン!)"''' - 체인소 모드 변형 음성 [* 더빙판은 덜컹.] '''"츄-동!(チュ·ドーン!)"''' - 빔 건 모드 변형 음성 [* 더빙판은 철컹.] '''"INFECTION-! Let's Game! Bad Game! Dead Game! What's your name? THE [[버그스터|BUGSTER]]!"''' - [[버그스터]] 변신 음성|| 성우는 [[게이머 드라이버]]와 같은 [[카게야마 히로노부]](日)/ [[서반석]](韓)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의 [[가면라이더 시리즈/5호 라이더|5호 라이더]] 및 [[다크 라이더]]인 [[가면라이더 겐무]]가 사용하는 주력 무장이자 '''[[버그스터]] 측 변신기'''. 본편 1화에서 [[그라파이트|그라파이트 버그스터]]가 이것을 들고 나타나는 것으로 첫 등장했다. 가변형의 무기로, 기본 모드인 패드 모드 외에 그립부분의 장착 위치에 따라 빔 건 모드 그리고 체인소 모드 3종류의 타입으로 변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여러 떡밥이 많은 무장인데, 기본 형태의 패드 모드에서는 무려 [[바이러스]]를 살포하여 사람들을 게임병에 걸리게 만들며, 단독으로도 변신음이 나온다.[* 5화에서 처음 나오는데, 직접 들어 보자. [[게이머 드라이버]]와 달리 상당한 저음이다.] 문제의 변신 기능은 [[그라파이트]]와 [[아마가사키 렌|러블리카]]가 사용했었다. 전투시에 각각 근거리, 원거리 무기로 사용할수 있다는 것과 동시에 괴인측에서 변신기로 사용한다는 점 때문에 [[마진 체이서]]의 [[브레이크 건너]]와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식명칭은 가샤콘 버그바이저이지만 작중인물은 편하게 버그바이저라고 부른다. 그리고 12화에서 소멸된 버그스터의 데이터를 회수해 버그바이저 속에 갇히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 32화에서 [[그라파이트]]와 [[아마가사키 렌|러블리카]]가 동시변신을 행하고 후속기 [[가샤콘 버그바이저 II]]가 두 개 존재하는 걸로 보아 애초부터 라이더들의 가샤콘 웨폰처럼 모든 완전체들은 하나씩 주는 걸지도 모른다. 뽀삐는 원인 불명.[* 겐무가 쓰던 게 뽀삐의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뽀삐는 기본적으로 괴인체와 인간체의 변신이 자유로워서 버그바이저가 없어도 상관없기 때문. 파라드는 애초에 완전체가 아니므로 논외.] 이후 러블리카가 [[가면라이더 크로노스]]에 의해 컨티뉴 불가 상태로 사망하면서 러블리카의 버그바이저는 소실된다. 41화에서 그라파이트가 사망하면서 남긴 버그바이저는 [[죠니 마키시마]]가 손에 넣는다. 그리고 극장판 트루 엔딩에서 죠니의 부하인 [[나구모 카게나리]]가 자신의 딸 호시 마도카를 허리케인 닌자[* 마키나 비전에서 가면라이더 크로니클의 데이터를 훔쳐서 만든 가상 현실 게임. [[가면라이더 후마]]가 생성시키는 [[닌자 플레이어]]가 던지는 표창으로 사람의 의식을 이 게임 세계에 강제로 입장시킨다.]의 플레이어로 선정할 때 사용되었으며 이 게임에서 생성된 가샤트로피를 통해 죠니 마키시마는 [[게무데우스]]의 힘을 손에 넣는다. 이후 CR에서 회수한 것으로 보이며 V 시네마에서 단 쿠로토 신이 프로토 가샤트와 버그바이저를 훔쳐냈다. [[가면라이더 겐무즈 - 더 프레지던츠 -]]에서는 아크에 의해 부활한 단 쿠로토가 아크가 새로 제작한 버그바이저를 사용해 린을 일시적으로 해킹시켰다. 이후 [[가면라이더 겐무즈 스마트 브레인과 1000%의 크라이시스]]에선 사우전드 아크에 담겨있는 아크의 악의를 흡수한 후 그것을 러닝해 겐무 무쌍 가샤트를 제작할 수 있게 했다. [[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에서 [[재단 X]] 측에서 흑백의 버그바이저를 가지고 있었으며, [[사이바 니코]]가 리부트한 [[가면라이더 크로니클]] 가샤트를 이용해 오르페녹이나 미러 월드의 힘 이외에도 원하는 가면라이더의 힘을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3화에서 [[반노 텐쥬로]]와 [[브렌(가면라이더 드라이브)|브렌]]을 [[휴머기어]]의 몸으로 부활시켰다.] 전체적인 외형을 봤을때, [[게이머 드라이버]]가 '''콘솔 게임'''기라면 버그바이저의 모티브 기종은 '''휴대용 게임기'''[* 정확히는 [[게임보이 어드밴스]]. 그리고 단순히 버튼 2개짜리 게임기로 치자면 [[게임 & 워치]].]로 보여진다. 후속 기종으로 [[가샤콘 버그바이저 II]]가 존재한다. 작중에서는 체인소 부분이 길게 나왔지만 완구에서는 그다지 길지 않다.정확히는 버글 드라이버에 맞춰서 나왔다. == 버글 드라이버 == [include(틀:헤이세이 라이더 벨트)]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uggle_Driver.png|width=400]] {{{+1 バグルドライバー / Buggle Driver}}} >'''Gotcha-'''(버그바이저 장착 시) >'''Gashoon-'''(버그바이저 탈착 시) >'''BUGGLE UP! GENOCIDE! Woooo!'''(변신 음성)[* 트리거를 누르면 '버글 업'이 들리고, 이후 장착 가샤트의 Lv3 음성이 재생되면서 '제노사이드'와 'Woooo'가 일정 간격으로 재생된다.] >'''크리티컬 엔드!'''(A버튼 필살기 발동)[*A A+B버튼을 동시에 누른 뒤에 발동] >'''크리티컬 데드!'''(B버튼 필살기 발동)[*A] 버그스터 버클이라는 신규 벨트에 가샤콘 버그바이저를 장착해서 만들어지는 신규 변신벨트. 이 상태에서 '''데인저러스 좀비''' 가샤트를 세트하는 것으로 좀비 게이머로 폼 체인지한다. 게이머 드라이버가 라이더의 벨트라면 이 버글 드라이버는 괴인의 벨트라는 이미지. 본래 변신할때 버그스터 버클을 먼저 차고난 다음 버그바이저를 장착했지만 13화이후 부터는 미리 버그바이저와 버클을 합친 상태에서 장착했다. 13화에서 버그바이저를 버그스터 버클에서 분리해도 변신이 풀리지 않는게 확인되었다.[* 알랭브라 버그스터 레벨 5가 쓰러지자 버그바이저를 버클에서 분리해 알랭브라를 버그바이저 안에 가뒀다. ] 분리하고 다시 무기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는 불명 23화에서 가샤콘 버그바이저는 파라드가 [[단 쿠로토|겐무의 장착자]]에게 죽음의 데이터를 살포하는 용도로 쓴 뒤 가져갔으며, 버그스터 버클은 겐무의 장착자가 버클을 찬 상태로 게임 오버되어서 소멸할때 같이 소멸했다. == 각 부위 설명 == === 패드 모드 === [[파일:external/7add0f0379848a6af402fa64354d2ea815a2834cb85ac8a49cfd57e58dc41659.png|width=500]] * 01. 가샤트 슬롯: 필살기 발동 시에 사용하는 [[라이더 가샤트]]의 슬롯. 삽입된 라이더 가샤트의 데이터를 순식간에 읽어들여, 언제라도 필살기를 발동할 수 있도록 전신 각부에 지시를 보낸다. * 02. 하이 플래시 모니터: 가샤콘 버그바이저 중앙에 배치된 발광 패널. 버그스터 바이러스 감염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증강현실|커맨드 메뉴나 공격 시의 이펙트 등을 공중에 투여하는 기능]]도 갖고 있으며, 장전된 라이더 가샤트의 이미지화 한 그래픽도 이 부분에 표시된다. === 빔 건 모드 === [[파일:external/1e4325920adc0eb30c1a99fda1a07b5480a1514773ec68ef245a23253330b729.png|width=500]] * 03. 어택 러시 패드: 가샤콘 버그바이저의 컨트롤 패널. 빔 건 모드와 체인소 모드 때는 A버튼을 누르면 일반 공격, B버튼을 누르면 특수 공격이 발동한다. 패드 모드에서 B버튼을 누르면 버그스터 바이러스를 살포하는 것도 가능. 또한 패드 모드에서 A버튼을 누르고 그립 부분에 장착하여 버그스터로의 변신이 실행된다. * 04. 빔 건 엘리미네이터: 가샤콘 버그버이저 빔 건 모드의 총구. 고출력의 에너지 탄을 날려 버그스터 바이러스 등을 증발시켜 무력화 할 수 있다. * 05. EXP 그립: 가샤콘 버그바이저의 그립. 빔 건 모드의 조준을 보정시키고, 체인소 모드의 완력을 강화한다. 또한 사용자의 전투 능력에 따라 시스템 데이터를 갱신하여 무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갖추고 있으며, 모드 전환 시 본체와 손잡이 부분을 제거하고 180도로 돌려서 다시 장착한다. === 체인소 모드 === [[파일:external/28af25f6d45b4d61c451b6b6c2e4a7a59706d44f8880cc8888a8ac1891018a8d.png|width=500]] * 06. 체인소 엘리미네이터: 가샤콘 버그바이저 체인소 모드의 날. 최대 회전 수 60000RPM의 강화 체인소로 버그스터 바이러스 등을 분해하고 무력화 할 수 있다. === 버글 드라이버 / 버그스터 버클 === [[파일:external/179087790dac23c12fad56c574c90a585cbd7eb5bf0b2386bc86a78a426a9fa1.png|width=400]] [[파일:external/72a6168658036e84c8e906610e0cfeb63982a43ad0527e92b815b94eed5d7608.png|width=400]] * 01. 가샤트 슬롯: 라이더 가샤트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 삽입된 라이더 가샤트의 데이터를 순식간에 읽어들여, 그 능력을 발동 할 수 있도록 전신 각부에 지시를 보낸다. * 02. 버글 업 트리거: 변신 시 사용하는 스위치. 스위치를 누르면 삽입된 라이더 가샤트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변신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 03. 하이 플래시 모니터: 버글 드라이버 중앙에 배치된 발광 패널. 장전 중인 라이더 가샤트를 표현한 그래픽이 표시된다. 또한 [[증강현실|커맨드 메뉴나 공격 시의 이펙트 등을 공중에 투여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 04. 어택 러시 패드: 버글 드라이버의 컨트롤 패널. 버튼 조작으로 강력한 필살기를 발동 할 수 있다. A버튼과 B버튼을 동시에 누른 후 A버튼을 누르면 필살 킥이 발동하고, B버튼을 누르면 좀비 같은 괴물이 소환된다. * 05. GD 하이퍼 모듈: 버글 드라이버에 탑재된 데이터 실체화 장치. 라이더 가샤트에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트나 무기 등을 게임 에리어에 실체화 시킬 수 있다. 내부는 블랙박스로 되어 있으며, 개발자만이 시스템의 근간을 파악하고 있다. * 06. 바이탈 커넥터: 드라이버 장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적합자의 판별 기능을 갖추고 있어 장착자가 적합자와 인정되는 경우에만 드라이버의 각종 기능을 실행시킨다. 또한 장착자의 신체 데이터를 측정하고 수트의 크기 등을 자동 조정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 07. 피팅 바인드: 버글 드라이버의 벨트 부분. 벨트의 길이는 장착자의 체형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된다. * 08. 버그스터 버클: 버글 드라이버의 버클 부분. 가샤콘 버그바이저를 버그스터 버클에 세트하는 것으로, 변신벨트 「버글 드라이버」가 된다. 드라이버의 각 시스템을 가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는 버클 내부에 충전된 [[버그스터 바이러스]]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 기타 == 버글 드라이버에 가샤트를 삽입하여 변신하면 [[게이머 드라이버]]의 두번째 슬롯(드라이버 장착자 입장에서 왼쪽 슬롯)에 가샤트를 삽입해 변신하는 것과 같은 음성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버글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다른 라이더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좀비 게이머 전용 변신 벨트. 그 때문에 DX 완구의 모니터에도 좀비 게이머가 그려져 있어 데인져러스 좀비 가샤트 이외의 가샤트를 꽂으면 가샤트의 그림과 버글 드라이버의 모니터에 뜨는 겐무가 서로 따로 논다. --폭주 바이크를 꽂으면 오토바이로 좀비를 치는 모양새가 된다--[* 이는 게이머 드라이버와 버글 드라이버의 가샤트를 꽂는 방식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거울에 의한 좌우 반전 유무와 가샤트의 꽂는 각도). 여담이지만 버글 드라이버의 모티브 중 하나인 [[게임 & 워치]]의 특징 중 하나가 '고정 오브젝트는 사실 따로 오려붙인 것'이었다. 반대로 생각해서, 게임 & 워치가 카트리지식으로 진화했으면 대략 요런 식이었을지도.][* 덧붙여서 취소선의 드립은 42화에서 레이저를 탄 레이저 터보가 겐무를 뺑소니를 치면서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비스무리하게 실현되었다]]] 버글 드라이버 II까지 나오면서 버그바이저 및 버글 드라이버는 '''플레이어가 통상적으로 선택할 수 없는 캐릭터'''로의 변신 수단임이 밝혀졌다. 이하 예시. * 완전체 버그스터 : 애초에 모든 버그스터들은 특정 게임의 적 캐릭터, 정확히는 '''플레이어가 게임 클리어를 위해 넘어서야 할 장애물에 해당하는 캐릭터'''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유일한 예외는 '''2P 플레이어'''가 모티브인 파라드.[* 기본적으로는 [[가면라이더 패러독스|서로 대전하는 2P 플레이어]]의 포지션이었지만 나중엔 [[더블 액션 게이머|함께 협력하는 2P 플레이어]]가 된다(완전체가 아니라서 버그바이저로 변신하지는 않는다).] * 데인저러스 좀비 : 호러 계열 게임에서 좀비 캐릭터가 플레이어로 등장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이 가샤트를 게이머 드라이버에 사용했을 때는 라이더 게이지가 급속히 감소하는데 이는 호러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적에게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적을 막지 못하면 그 즉시 게임 오버 당하는 걸 반영한다. 하지만 버글 드라이버로는 좀비 게이머로 변신할 수 있다. 자세한 건 [[가면라이더 겐무/게이머#s-3|좀비 게이머]] 참조. 최근에는 게이머 드라이버로도 좀비 게이머로 변신하는데, 이는 시간 경과에 의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써의 해금과 그로 인한 너프(불사 능력 소실)를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 가면라이더 크로니클 : 본래는 [[라이드 플레이어]]로밖에 변신할 수 없지만 특정 조건을 만족했을 경우, '''[[가면라이더 크로노스]]'''로 변신할 수 있게 된다.[* 그 특정 조건만 만족하면 변신 자체는 가샤트나 게이머 드라이버로도 가능하나 버글 드라이버 II로 변신했을 때보다 전투력이 낮다.] 여담이지만 크로노스는 본래 [[게무데우스|최종보스]]를 쓰러트리고 가면라이더 크로니클을 클리어할 '''주인공''' 캐릭터지만 작 중에선 [[단 마사무네|장착자]]의 의도에 의해 오히려 게임의 '''클리어를 방해하는 적'''으로써 등장하며 나중엔 아예 '''게임의 진 최종보스'''가 되어버렸다. * 두근두근 크라이시스 : 미연시는 플레이어가 히로인과의 호감도를 올려서 맺어지는 게 목적인 게임이므로 당연히 히로인으로 플레이하는 경우는 거의 없거나 아예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버글 드라이버 II를 사용하는 [[가면라이더 뽀삐]]는 가샤트 라벨에 그려진 히로인 캐릭터로 변신한다. 또 한 가지로, 버글 드라이버의 변신에 사용되는 게임들은 '시간'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일부는 버글 드라이버로 영향을 줄 수 있다. * 버그스터 * 버그스터 탄생의 원인은 시간과 관련된 밀레니엄 버그. * 버그바이저를 통해 처치된 버그스터를 재생하거나, 인간체 이전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 있다. * 데인저러스 좀비 * '죽음'에서 다시 '삶'으로 돌아온 좀비. * 라이프가 0인 상태에서의 강제 소생.[* 타 매체에서 유사한 예시를 찾자면, 산 채로 HP가 0이 되었기에 이게 통상적으로 0이 되었을 때의 사망 판정이 발생하지 않는 스타크래프트의 좀비 드론 버그가 있으며, 인생의 끝인 주마등을 편집해 사체가 아직 자신이 살아있는 것으로 인식시켜 움직이게 하는 흑집사의 비자르 돌이 있다.] * 두근두근 크라이시스 * 단순한 호감도작 노가다 게임이 아닌 한, 미연시에 시간의 개념은 거의 필수적인 요소다. * 작중에서 관련 능력은 없음. 다만 뽀삐가 CR에 오기 전의 본모습으로 되돌아갔다는 묘사는 있었다. * 가면라이더 크로니클 * 가면라이더 크로니클은 전 세계 리얼타임으로 행해지는 서바이벌 게임.(사실상의 온라인 게임) * 크로노스의 능력인 시간정지. 참고로 이건 버글 드라이버 II가 정말로 사용 조건이다. * 덤으로 나중에 크로노스의 장착자와 반응하여 리셋 능력도 생긴다. 국내 더빙판 음성이 원판과 매우 유사하게 더빙되었다. ~~덜컹, 철컹, 버그스터 변신음만 빼면~~ [[분류:가면라이더 겐무]][[분류: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무장]][[분류: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변신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