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면라이더 목록/고스트)] ||<-2> '''{{{#white [[가면라이더 고스트|{{{#white 가면라이더 고스트}}}]]의 등장 [[가면라이더|{{{#white 가면라이더}}}]]}}}''' || ||<-2> [[파일:zerospecter.png|width=70%]] || || '''명칭''' || 가면라이더 제로 스펙터[br](仮面ライダーゼロスペクター)[br]KAMEN RIDER ZERO SPECTOR || || '''장착자''' || [[후카미 다이고]] || ||<-2> {{{#!folding 【 기본 스펙 보기/접기 】 || '''[[변신벨트|{{{#black 변신벨트}}}]]''' || [[고스트 드라이버]] || || '''키''' || 204cm || || '''무게''' || 97kg || || '''펀치력''' || 11.2t || || '''킥력''' || 15.1t || || '''도약력''' || 49m || || '''질주력''' || 100m / 4.9초 || || '''주요 아이템''' || [[고스트 아이콘]] || || '''[[슈트 액터|{{{#black 슈트 액터}}}]]''' || 후지이 유고 || }}} || [목차] [clearfix] == 소개 == [[가면라이더 고스트]]의 [[가면라이더 시리즈/서브 라이더|서브 라이더]]로 [[극장판 가면라이더 고스트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의 [[가면라이더 시리즈/극장판 라이더|극장판 라이더]]. [[가면라이더 스펙터]]의 [[프로토타입]]. 디자인은 기존의 [[가면라이더 스펙터]]와는 다르게 뿔이 3개이며, 얼굴도 보면 심박수와 같은 것도 2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링은 보라색으로 되어 있다. == 다마시 == === 트래지언트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Zero_Specter_Transient.png]] トランジェント / Transient (일시적인, 순간적인) 가면라이더 제로 스펙터의 소체 형태인 트래지언트이다. [[고스트 드라이버]]에 [[고스트 아이콘]]을 장전해 작동시키면 변신하거나 아이콘을 교환하여 고스트 체인지를 할 때, [[파카 고스트]]가 소환되었지만 가면라이더 제로 스펙터에 들러붙기 직전의 형태이다. === 제로 스펙터 === || [[파일:ZERO_SPECTER.png|width=100%]] || [[파일:제펙터 후드.png|width=100%]] || || 통상 형태 || 후드 || [[고스트 드라이버]]에 제로 스펙터 아이콘을 세트해 변신한 제로 스펙터의 기본 폼. 프로토 드라이브나 제로 드라이브 포지션이라 변신 음성 자체는 [[가면라이더 스펙터|스펙터]]와 동일하다. 전투 경력이 아주 많아서인지[* 정확히 몇 년인지는 알 수 없으나 현재 20살인 마코토가 10살일 때 아르고스를 막기 위해 떠났으니 최소한 '''10년은 싸웠다.'''] 스펙터를 압도적으로 몰아붙이지만, 딥 스펙터의 강력한 힘은 이기지 못하고 패배. 이후 다크 고스트를 막으려 하지만 그를 이기지 못하고 [[후카미 마코토(가면라이더 고스트)|자식]][[후카미 카논|들]]의 품 속에서 사망했다. * 변신음 || '''개안! {{{#4b0080 스펙터!}}} READY {{{#4b0080 GO!}}} 각오! {{{#4b0080 두}}} · 근 · {{{#4b0080 두}}} · 근! {{{#4b0080 고스트!}}}''' || * 필살기 - '''{{{#4b0080 오메가 드라이브 스펙터}}}''' : 문장을 통해 보라색 에너지를 발에 휘감아 라이더 킥을 날린다. == 각 신체 부위 == === 페르소나 레이징 === [[파일:ec9ba0ea-388d-4f70-96cf-43fc95af1a05.png]] *01. 페이스 레이징: 제로 스펙터 고스트 아이콘을 사용했을 때 배리어스 바이저에 나타나는 모양. 배리어스 바이저 내부에 충전된 유체 시각 센서가 드라이버에 장전된 스펙터 아이콘의 영향으로 변색·이동해 보라색 마스크 모양이 나타난다. *02. 배리어스 바이저: 시각 센서 겸 페이스 실드. 안면을 덮는 두꺼운 클리어 파츠는 충격에 잘 견디며, 모든 물리 공격을 막을 수 있다. 또 바이저 안에는 유체 시각 센서가 충전돼 있어 안면 전체를 눈으로 한 넓은 시야로 주위 상황을 파악한다. *03. 소울 오너먼트: 에너지 조정장치. 온몸의 상태나 손상 부분을 확인하고 에너지의 흐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 위스프 혼이 발하는 경보 신호에 반응해 신속하게 각 시스템을 전투 태세로 이행시킨다. *04. 위스프 혼 : 두부에 장착된 3개의 안테나 블레이드. 반경 10km 이내에 출현한 안마 등의 기미를 감지하고 경보 신호를 보내 경계를 촉구한다. 무기로 이용할 수 있는 강도를 갖추고 있어 박치기로 적의 장갑을 파괴할 수도 있다. *05. 레이징 리플렉터: 두부를 보호하는 장갑. 유선형 아머에 의해 물리공격을 튕겨낸다. 또, 표면에는 특수 입자가 코팅돼 있어 에너지 공격을 반사할 수 있다. *06. 플랜지 크리스탈: 측두부에 설치된 실드 발생장치. 에너지 실드로 전신을 덮어 방어력을 크게 올린다. 또한 약한 소리조차 정확히 포착하는 청각 센서가 내장돼 있어 소리만으로 색적을 행할 수 있다. *07. 아트모스 덕터: 두부에 설치된 흡기장치. 기류와 바람의 힘을 이용해서 내부 장치의 냉각 등을 실시한다. 주위의 열을 흡수해 에너지로 재이용할 수도 있다. === 각 부위 설명 === [[파일:bd13370a-f1cb-4b96-b43a-88b52fab379b.png]] *01. 페르소나 레이징: 가면라이더 제로 스펙터의 두부. *02. 이펙터 후드: 파카의 후드. 특수한 필드로 전신을 덮고, 잔상 등을 발생시켜 적을 교란시킨다. *03. 브레스트 크레스트: 흉부에 새겨진 문장. 강한 의지를 신비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이 있다. *04. 아머 인비지블: 전신 각부를 덮고 있는 투명한 프로텍터. 온몸을 투명화해 반(反)실체화시키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물체의 통과나 공중 부양 등 물리 질량의 법칙을 무시한 행동도 가능케 한다. *05. 리바이버 암: 팔 부분. 방어력을 높인 다중장갑과 완력을 강화하는 내부 기능을 갖추고 있다. 금속체 「퀀텀 솔리드」로 형성돼 있으며 드라이버에 장전된 아이콘에 반응해 완력과 방어력이 변화한다. *06. 페이탈 글러브: 양손을 감싼 강화 글러브. 안마 등의 보통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존재에 닿을 수 있다. 또 글러브 표면에 전개된 에너지를 펀치와 함께 주입하여 적을 내부로부터 파괴할 수 있다. *07. 셰이드 스매셔: 무릎 아머. 낙하나 충돌로 인한 충격 손상을 완전히 흡수하는 구조다. 또한 다리의 운동을 고속화하는 기능이 있다. *08. 리바이버 레그: 다리 부분. 방어력을 높이는 다중 장갑과 각력을 강화하는 내부 기능을 갖추고 있다. 금속체 「퀀텀 솔리드」로 형성돼 있으며 드라이버에 장전된 아이콘에 반응하여 각력과 방어력이 변화한다. *09. 모탈 부츠: 장갑 부츠. 고속 풋워크를 발생시키며, 부유 시에는 자세를 컨트롤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 부츠 표면에 전개된 에너지를 킥과 동시에 때려넣어 적을 내부로부터 파괴할 수 있다. *10. 레이징 코트: 파카의 옷감. 튼튼하고 유연한 형상에 의해 물리 공격을 받아내며 표면에 코팅된 특수 입자가 에너지 공격을 받아넘긴다. *11. 레이징 숄더: 파카의 어깨. 주위를 둘러싼 에너지의 흐름을 읽고 소맷부리에서 흡수해 재이용할 수 있다. *12. 인비지블 슈트: 몸 표면을 덮고 있는 방호 슈트. 통상시에는 유연하게 움직이기 쉬우며, 방어 시에는 슈트를 딱딱하게 해 피해를 줄인다. 전신 각부는 미세 금속체 「퀀텀 솔리드」로 형성돼 있어, 에너지를 줌으로써 그 상태나 성질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13. [[고스트 드라이버]]: 가면라이더 제로 스펙터의 변신벨트. 초기형 출력증폭장치가 내장돼 있어 체력적・정신적 부담이 크지만 변신자의 역량에 반응해 기본성능 이상의 힘을 발휘할 수 있다. *14. 에너지 베셀: 전신에 깔린 보라색의 에너지 공급 라인. 필살기 발동 시 등 에너지의 흐름이 활발해질 때 발광한다. *15. 포스 섀클: 손목과 발목에 장착된 파워 증폭 링. 링 내에 저장된 대량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각부의 파워 밸런스를 조정한다. 또, 필살기 발동시 주먹과 발을 에너지 오라로 감싸 기술의 파괴력을 끌어올린다. == 기타 == 공개된 장착자는 [[후카미 마코토(가면라이더 고스트)|후카미]] [[후카미 카논|남매]]의 아버지인 [[후카미 다이고]]라고한다. [[후카미 마코토(가면라이더 고스트)|아들]]과 싸우는 스틸컷이 공개되었다. 본편 39화에서 언급되었는데, 아직 아이였던 마코토와 카논 남매를 대천공사에 남겨두고 떠났고,[* 이 당시 마코토는 대략 10살, 카논은 '''4살'''이었다.] '''남매의 어머니, 즉 자기 아내의 장례식에도 오지 않았다고 한다. 와 준 건 [[텐쿠지 류]]였다고.''' 40화에서 선인의 말에 따르면 이미 [[안마 울티마]]에게 죽었다고 한다. 카논 남매를 대천공사에 남겨두고 떠난 일이 안마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극장판에서 죽기 전 남매에게 대천공사에 남긴 이유를 털어놓았는데 바로 당시 어린 나이였던 남매를 안마와의 싸움에 휘말리게 하지 않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후카미 남매는 아버지가 죽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으로 보인다. 처음 공개 당시에는 [[다크 라이더]], 그것도 [[2호 라이더]]의 [[다크 라이더]] 버전으로 예상되었지만 막상 공개 이후에는 실질적인 [[가면라이더|선의 라이더]]로 [[가면라이더 스펙터]]와의 격투 역시 비중이 짧았으며 그 이후 완전히 조력자가 되어준다. 변신에 사용한 아이템인 'DX 제로 스펙터 고스트 아이콘'은 극장판 한정으로 배포되었다. 기존 스펙터 아이콘과는 달리 뒷면에 전면 보라색 메탈릭 처리가 되어 있어 꽤 멋있는 편이다. 현재 수요가 크지는 않지만 매물 자체가 씨가 말라버려 중고시장에서의 공급이 없다시피 한 상태다. [[분류:가면라이더 고스트/등장 가면라이더]][[분류:아머형 가면라이더]][[분류:가공의 존재가 모티브인 가면라이더]][[분류:서브 라이더/헤이세이 라이더]][[분류:극장판 라이더/헤이세이 라이더]][[분류:가면라이더 스펙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