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가면라이더 시리즈)]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면라이더 시리즈/법칙)] [목차] == 개요 ==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극장판]]에서 등장하는 법칙 모음. 엄밀히 말하자면 2001년부터 매년 개봉한 [[헤이세이 라이더]]들의 극장판 한정이다. 다만, 모든 법칙에는 예외가 있음을 명심할 것.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의 방영 이후 기존 법칙들 중 일부가 깨지고 새 법칙이 등장하고 있다. == 기존 법칙 == === 극장판 한정 폼의 등장 === [[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이 몸, 탄생!]]을 시발점으로 극장판에서만 볼 수 있는 오리지널 폼이 등장한다. * [[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이 몸, 탄생!]] - 덴오 윙 폼[* TV판에도 잠깐 등장. 그 외 극장판3, 4기에도 등장한다.] * [[극장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올 라이더 대 대쇼커]] - 점보 디케이드 컴플리트 폼 * [[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 - 더블 사이클론조커GX(골드 엑스트림)[* 이후 무비대전 Core 에서도 등장.] *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더블&디케이드 MOVIE 대전 2010]] - 디케이드 격정태 * [[극장판 가면라이더 오즈 WONDERFUL 장군과 21개의 코어 메달]] - 오즈 [[브라카와니 콤보]] *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포제&오즈 MOVIE 대전 MEGAMAX]] - 오즈 [[슈퍼 타토바 콤보]][* 슈퍼 타토바 콤보는 이후 포제&위자드 무비대전에서 잠깐 등장]/포제 로켓스테이츠[* 로켓스테이츠는 이후 포제 본편 41화에서 재등장.] * [[가면라이더 포제 THE MOVIE 다 함께 우주 왔다!]] - 포제 메테오 퓨전 스테이츠 *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위자드&포제 MOVIE 대전 얼티메이텀]] - 포제 메테오 나데시코 퓨전 스테이츠, 위자드 스페셜 러시 * [[극장판 가면라이더 위자드 IN MAGIC LAND]] - 위자드 인피니티 드래곤 *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가이무&위자드 천하를 겨루는 전국 MOVIE 대합전]] - 위자드 인피니티 골드 드래곤, 가이무 위자드 암즈 * [[극장판 가면라이더 가이무 사커 대결전! 황금의 열매 쟁탈배!]] - [[가면라이더 가이무 야미]] * [[헤이세이 라이더 대 쇼와 라이더 가면라이더 대전 feat 슈퍼전대]] - 가이무 1호 암즈 *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드라이브&가이무 MOVIE 대전 풀 스로틀]] - 가이무 드라이브 암즈, 드라이브 타입 후르츠 * [[극장판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서프라이즈 퓨처]] - 초 데드히트 드라이브, 드라이브 타입 스페셜 * [[극장판 가면라이더 고스트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 - 고스트 다윈 다마시 * [[극장판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트루 엔딩]] - 에그제이드 크리에이터 게이머 * [[극장판 가면라이더 빌드 Be The One]] - 빌드 크로즈빌드폼 * [[극장판 가면라이더 지오 Over Quartzer]] - 지오 오마 폼 * [[극장판 가면라이더 제로원 REAL × TIME]] - 제로원 헬라이징 호퍼 폼 === 극장판 오리지널 라이더들은 극장판에서 사망한다. === 아기토의 [[가면라이더 G4]]를 필두로 극장판의 오리지널 라이더들은 작중에서 모두 사망했다.[* 대부분 적으로 등장하거나, 아군이지만 주인공을 보호하다가 죽었다.] 다만 2005년 이후로 예외 사례가 많이 나오는 편.[* 이미 죽은 라이더도 있지만.] 아래는 예외사례. * [[극장판 가면라이더 히비키와 7인의 전귀]]의 [[카부키]]를 제외한 전국시대의 오니 4인 [[가면라이더 니시키]]&[[가면라이더 토우키]]&[[가면라이더 하바타키]]&[[가면라이더 키라메키]] * [[가면라이더 NEW 덴오]] [[극장판 안녕히 가면라이더 덴오 파이널 카운트다운]] 등장. 덴오의 극장판 시리즈가 계속 전개되면서 그 후의 작품에서도 계속 등장하고 있으며, [[가면라이더X3 THE MOVIE - 초덴오 트릴로지]] 에피소드 블루 [[파견 이매진은 NEW트럴]]에서는 주인공 라이더로 등장한다. * [[가면라이더 키바라]]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완결편]] 등장. 히로인 보정으로 가면라이더 시리즈 [[사망 플래그]] 2개[* 극장판 라이더는 죽는다/자신의 오리지널 슈트를 지닌 여성 라이더는 죽는다.]를 한 번에 분쇄. * [[가면라이더 아쿠아]]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포제&오즈 MOVIE 대전 MEGAMAX]]등장. [[미나토 미하루|변신자]]의 [[가면라이더 포세이돈|다른 변신체]]는 죽었지만.[*대스포일러 가면라이더 지오 46화에서 [[미나토 미하루|변신자]]가 '''진짜로''' 사망하고 만다. 다만 세계를 리셋했으니 부활한 것으로 추정된다.] * [[가면라이더 나데시코]]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포제&오즈 MOVIE 대전 MEGAMAX]]와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위자드&포제 MOVIE 대전 얼티메이텀]]에 등장. [[사망 플래그]]가 세워졌음에도 살았다. 일종의 히로인 보정. * [[가면라이더 쿠로카게 신]] [[극장판 가면라이더 가이무 사커 대결전! 황금의 열매 쟁탈배!]]등장. 한번 죽었지만 최종 결전에서 다시 살아났다. * [[가면라이더 피프틴]] [[헤이세이 라이더 대 쇼와 라이더 가면라이더 대전 feat 슈퍼전대]]에서 등장 사실상 극장판 메인 악역라이더 중 최초로 생존한 라이더다. 라이더의 힘은 사라졌지만 나중에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아들과 아내를 안아준다. * [[가면라이더 3호]] [[슈퍼 히어로 대전 GP 가면라이더 3호]]에서 등장 원래 3호는 존재하지 않았던 라이더였지만 쇼커의 역사 왜곡으로 인해 탄생된 라이더이다. 역사 왜곡을 다시 고쳐 가면라이더 3호는 사라졌지만 [[쿠로이 쿄이치로|장착자]]는 F1 레이서로 살아가고 있다. * [[가면라이더 트루 브레이브]]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초 슈퍼 히어로 대전]]에서 등장 천재 프로그래머 소년인 에이토가 만들어낸 초 슈퍼 히어로 대전 게임 세계를 다스리는 지배자. [[카가미 히이로]]를 본떠 만들어진 게임 캐릭터여서 모습도 히이로와 똑같다. 나중에 현실 세계의 히이로에게 패배해 잠시 사라지지만 최종결전 이후 마지막 장면에 에이토가 들고 있는 게임기 속에서 우츠세미마루와 함께 웃으면서 손을 흔들어 게임 세계의 다른 히어로들과 아직 살아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가면라이더 후마]] [[극장판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트루 엔딩]]에 등장. 극장판의 메인 악역 라이더 중 3번째로 사망 법칙을 피하고 갱생하여 해피 엔딩을 맞이했다. 그리고 피프틴과는 달리 라이더의 힘은 아직 갖고 있는 모양이지만 겐무 코퍼레이션으로 반납했을 가능성도 있다. * [[가면라이더 아바돈]], [[가면라이더 루시퍼]] [[극장판 가면라이더 제로원 REAL × TIME]]에서 등장. 일단 라이더로 변신하는 건 본인이 아닌 아바타라 파괴되었지만 그걸 조종하는 본체들은 죽지 않고 체포되었다. * [[가면라이더 센츄리]] [[가면라이더 비욘드 제네레이션즈]]에서 등장. [[모모세 류노스케|장착자가]] [[모모세 히데오|2명인데]], 1명은 소멸했고, 1명은 생존했다. * [[가면라이더 키마이라]] [[극장판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배틀 패밀리아]]에서 등장. 다만 외전에 나온 [[무카이 류|1대 장착자]]는 죽었다. * [[가면라이더 시커]] [[가면라이더 기츠 X 리바이스 MOVIE 배틀로얄]]에서 등장. 해당 극장판의 최종 보스임에도 일단은 생존했다. === 전작의 주역 배우가 카메오로 출연한다. === 첫 극장판인 아기토에서 초대 라이더인 [[혼고 타케시]]역의 [[후지오카 히로시]]를 필두로 이후 극장판에는 전작에 등장한 배우들이 카메오로 출연한다. 류우키에서는 [[아시하라 료]] 역의 배우를 비롯 경시청의 G3 삼인방이 불고기를 먹고 있고, 식당은 츠가미 쇼이치의 식당..... 블레이드에서는 [[키바 유지]], [[무라카미 쿄지]], [[카이도 나오야]] 역의 배우가 출연. [[극장판 가면라이더 키바 마계성의 왕]]의 경우는 전작 덴오의 주역 이매진들의 성우가 배우로서 출연했다. [[극장판 안녕히 가면라이더 덴오 파이널 카운트다운]]의 경우는 당시 방영작이던 [[가면라이더 키바]]의 주역 캐릭터의 성우인 [[스기타 토모카즈]]가 카메오로 성우로 출연하는 특이한 사례도 있었다. [[슈퍼전대 시리즈]]의 출연배우들이 카메오 출연하는 사례도 있다. 극장판 덴오의 경우, [[굉굉전대 보우켄저]]의 보우켄 블랙=[[이노우 마스미]] 역의 사이토 아스카가 성우로 출연. 그리고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완결편]]에는 [[염신전대 고온저]]의 [[케가레시아]] 역 [[나오 오이카와]]가 출연. 또, [[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에서 [[굉굉전대 보우켄저]]의 보우켄 실버=[[타카오카 에이지]]역으로 출연했던 데아이 마사유키가 출연.[* 이 배우는 이후 V 시네마 [[가면라이더 W RETURNS/가면라이더 이터널|가면라이더 이터널]]에서도 출연한다.] 또, MOVIE 대전 MEGAMAX에 [[마법전대 마지레인저]]의 [[오즈 미유키]] 역의 배우도 출연했다. 포제 극장판에서는 [[특수전대 데카레인저]]의 [[레이몬 마리카]]역의 [[키노시타 아유미]]도 출연. 극장판 더블 비긴즈나이트에는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드라마|미소녀 전사 세일러문 실사판]]에서 세일러문 역으로 출연했던 배우가 카메오 출연하기도 했다. === 극장판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패러렐 월드]]이다. === 극장판의 내용은 TV판의 번외편이 되거나 멀티 엔딩격 작품, 그리고 TV판의 설정 일부를 유용해서 전혀 다른 세계관의 이야기로 만든다. [[극장판 가면라이더 카부토 GOD SPEED LOVE]]는 TV판 에피소드 제로로 가려다가 각본가인 [[요네무라 쇼지]] 본인이 설정을 말아먹었다. 다만 덴오 이후에는 예외 사례가 늘고 있고 방영주기 변화로 TV판의 클라이맥스 등을 극장판으로 연결하기도 쉬워진 편. 다만 아직까지 이런 사례는 더블이나 덴오 정도밖에 없고 오즈의 경우 극장판이 모두 패러렐이라 차후 지켜봐야 할 듯. 하지만 디케이드~2기 헤이세이 이후로는 극장판 따로의 세계관이 이어지는 듯하다.[* 포제 극장판에서 위자드가 도와준 것을 무비대전에서 되갚거나 디케이드 극장판에서 카메오 출연한 더블이 무비대전에서 디케이드를 알아본다거나.] 이하 패러렐 월드가 아닌, 그 예시 * [[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이 몸, 탄생!]], [[극장판 안녕히 가면라이더 덴오 파이널 카운트다운]] TV판의 몇 편을 할애해 극장판의 복선을 제시하고 극장판과 TV판을 훌륭히 이었다. 극장판의 사건이 TV판 사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파이널 카운트다운의 경우는 덴오 본편 이후의 이야기를 비추고 있다. * [[가면라이더X3 THE MOVIE - 초덴오 트릴로지]] 기본적으로 레드와 블루편은 기존 TV판과 극장판 스토리에서 이어지는 후일담이다. 사실 덴오 극장판은 [[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 키바 클라이맥스 형사]] 빼고는 사실상 스토리가 이어진다.~~물론 갈수록 코여사는 설정을 안드로메다로 보내고 있지만...~~ *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더블&디케이드 MOVIE 대전 2010]]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파트는 TV판의 완결편이다.~~하지만 막장엔딩.~~ [[가면라이더 W]] 파트는 본편의 에피소드 제로다. 위의 사례처럼 설정을 말아먹지도 않고 있다. * [[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 최종 결전 '''직전'''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TV판으로 극장판의 프롤로그 적 내용을 다루는 건 덴오와 같다. 이후 [[가면라이더 W RETURNS]]에서 이 작품의 악역 라이더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W RETURNS/가면라이더 이터널|가면라이더 이터널]]이 나온다. *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오즈&더블 feat.스컬 MOVIE 대전 CORE]] 더블편이 이후 나온 V 시네마 가면라이더 W RETURNS 액셀 편과 연계되고 있다. 단, 오즈편은 페러렐 월드 취급하고 있다. *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위자드&포제 MOVIE 대전 얼티메이텀]]과 그 이후 작품들 전작의 내용은 본편의 후일담으로 이루어지며, 현재 방영작의 내용은 페러렐 월드로 이루어진다. 단, 드라이브 & 가이무의 경우 드라이브 편은 본편에도 영향을 미치며[* 루팡 최후의 도전에서 루팡이 마지막으로 등장하고 본편 최종화에서 루팡 거너가 잠시 보인다.] 고스트 극장판도 본편에 영향을 미친다.[* 본편에서 이디스가 다크 고스트로 변신해 등장하자 아르고스?!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기 때문] * [[극장판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트루 엔딩]] 본편의 시점은 에그제이드 최종화로부터 1년후의 일이다. * [[극장판 가면라이더 빌드 Be The One]] 시점이 45화와 46화 사이다. * [[극장판 가면라이더 제로원 REAL × TIME]] 원랜 본편 사이의 내용이었으나 [[코로나19]]사태로 개봉이 연기되면서 재촬영에 들어가 본편 이후의 시점으로 개봉되었다. * [[극장단편 가면라이더 세이버 불사조의 검사와 파멸의 책]] Tv판 9화에서 11화 사이에 내용이기 때문에 본편에 본 극장판에 적인 팔시온이 재등장한다 == 새로 만들어 지거나 변경된 법칙 == === 주역 라이더들의 신폼 선행공개. === 과거에는 일종의 예고적 성격으로 향후 TV판에 등장하게 되는 주인공 라이더들의 최종형태를 극장판으로 미리 볼 수 있었다. 다만, 디케이드-더블로 이어지는 방영주기 변화로 이 법칙은 사장되었고 현재는 이 대신 극장판에서 극중에 등장하는 중간폼이 겨울 무비대전에서 선행공개 되는것으로 바뀌었다. 더블의 팡 조커나 오즈의 타쟈도르가 대표적인 예. 단, 포제의 마그넷스테이츠는 TV판에서 먼저 나왔고 무비대전에서 나오지 않았다.[* 대신 무비대전에 나온 로켓 스테이츠가 TV판에도 등장한다.] === 차기작 라이더 최초 영상 공개 === [[극장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올 라이더 대 대쇼커]] 때 가면라이더 W이 등장한 것이 시발점. 주로 8월에 슈퍼전대 극장판과 동시 개봉하는 가면라이더 단독 극장판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위자드 극장판에서 가이무는 얼굴을 비추지 않고 특별편에서 나왔으며 이후 가이무의 차기작인 드라이브도 극장판에 선행 출연하지 않았다. 허나 드라이브 극장판에서 차기작 라이더인 고스트가 등장, 다시 이 전통이 부활했다. 제로원 극장판은 [[코로나19]]로 인해 개봉이 늦어지면서 개봉 당시에는 차기작인 세이버가 이미 본편이 방영되고 있는 상태라 출연하지 못했다. === [[가면라이더 시리즈/2호 라이더|2호 라이더]] 공개 === 무비대전에서 더블의 2호 라이더 액셀[* 변신 전의 모습만 나왔다.]과 오즈의 2호 라이더 버스, 포제의 2호 라이더 메테오, 드라이브의 마하가 공개된 바 있으며 여름 극장판에서 차기작 라이더가 공개된다면 겨울 극장판에서는 2호 라이더가 공개되는 식으로 패턴이 정립되고 있다. 2호 라이더가 초반부터 등장한 작품일 경우, 무비대전보다 나중에 등장하는 가면라이더가 공개된다. 가이무는 차세대 라이더의 변신자들, 고스트와 빌드는 3호 라이더인 네크롬과 그리스가 등장했으며 에그제이드는 직접적인 등장은 없는 대신 패러독스의 등장을 암시했다. 제로원은 마지막에 사우저가 등장했다. [[분류:가면라이더 시리즈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