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면라이더 목록/기츠)] [include(틀:레이와 라이더/1호 라이더)] ||<-2> '''[[가면라이더 기츠|{{{#white 가면라이더 기츠}}}]]{{{#white 의 등장 가면라이더}}}''' || ||<-2> [[파일:기본기츠.png|width=200]] || || '''{{{#black 명칭}}}''' || 가면라이더 기츠[br](仮面ライダーギーツ)[br]KAMEN RIDER GEATS || || '''{{{#black 장착자}}}''' || [[우키요 에이스]] || ||<-2> {{{#!folding 【 기본 스펙(매그넘 부스트 폼 기준) 보기/접기 】 || '''{{{#black [[변신벨트|{{{#black 변신벨트}}}]]}}}''' || [[디자이어 드라이버]] || || '''{{{#black 키}}}''' || 205.2cm || || '''{{{#black 무게}}}''' || 88.7kg || || '''{{{#black 펀치력}}}''' || 2.4t || || '''{{{#black 킥력}}}''' || 58.5t || || '''{{{#black 도약력}}}''' || 한 번에 78.0m || || '''{{{#black 질주력}}}''' || 100m 2.7초 || || '''{{{#black 주요 아이템}}}''' || [[레이즈 버클]] || || '''{{{#black 주무장}}}''' || [[매그넘 슈터 40X]][br]아머드 건 || || '''{{{#black 전용 비클}}}''' || [[부스트라이커]] || || '''{{{#black 테마곡}}}''' || || || '''{{{#black [[슈트 액터|{{{#black 슈트 액터}}}]]}}}''' || [[나카타 유지(슈트 액터)|나카타 유지]][* [[가면라이더 겐무/게이머#s-4|겐무 레벨 0과 X-0]], [[가면라이더 빌드(가면라이더)|빌드]](가면라이더 빌드 41화 ~ 최종화까지. 슈트 액터 스텝롤은 빌드 46화부터.), [[가면라이더 에스파다|에스파다]], [[가면라이더 이블|이블]], [[가면라이더 라이브|라이브]]의 슈트액터.]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자, 여기서부터가 하이라이트다."'''[br]'''(さあ、ここからがハイライトだ.)''' [[가면라이더 기츠]]의 [[1호 라이더]]. == [[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폼|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폼)] == [[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신체 부위|신체 부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신체 부위)] == 기타 == * 공식에서 밝힌 모티브는 '하얀 여우(白いキツネ)'.[[https://www.tv-asahi.co.jp/geats/|#]] 여우 모티브는 이시노모리 프로 쪽에서 요청한 디자인으로 이름도 여우의 일본명 "키츠네"를 비틀어 지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다만 오프닝을 보면 기츠의 영어인 GEATS가 얻는다의 3인칭 단수인 gets와 [[우키요 에이스]]의 이니셜인 a를 합쳐서 생기는 장면이 나와 그것도 모티브일 가능성이 있다.]길흉을 운운하는 것도 [[신사(신토)|신사]]에서 사람의 길흉을 점칠 수 있는 [[오미쿠지]]에서 따온 것. * 절반으로 분리되는 디자이어 드라이버의 우측은 리볼버 권총, 좌측은 오토바이를 상징한다. 이 때문에 상반신과 하반신의 색이 다르며 상반신은 여우 가면과 리볼버 실린더 및 실린더에 장전된 곡옥+머플러, 하반신은 종아리의 배기구로 그 모티브를 표현했다. * [[가면라이더 기츠 X 리바이스(가제)]]의 포스터 중 하나에서 기츠의 전신이 공개되었으며 외형이 여우 가면[* 일본의 여우 가면은 크게 얼굴 전체를 가리는 형태와 하관이 드러나는 형태의 두 종류가 있는데, 기츠의 머리 실루엣 자체는 전자에 가깝지만 검은 색의 하관부가 드러나 있는 부분에서 후자와도 비슷한 부분이 있다. 특히 상체 아머 미장착 시 하관부의 라인이 검은색으로 변할 때 이러한 느낌이 도드라지게 된다.]을 연상케 하는 얼굴 디자인에 아머나 벨트의 곡옥 몰드, 여우의 꼬리같은 머플러가 특징. * 이전까지 참격 계열 무기가 주력인 레이와 주역 라이더[* 그 대신 참격 계열 무기를 소유한 라이더는 [[가면라이더 타이쿤]]이 계승했다.] 중에서 사격 계열 무기를 주무장으로 하는 최초의 레이와 주역 라이더이다. 그와 동시에 사격 계열 무기만을 '''단독으로''' 쓰는 가면라이더 시리즈 최초의 [[1호 라이더]]이다.[* 이전에 총을 쓰는 주역 라이더들은 전부 총검이거나 총 모드와 검 모드가 있는 식이었다. [[라이드 북커]]나 [[위자소드건]], [[가샤콘 키 슬래셔]]가 그 예시.][* 그나마 [[도어 총]] 같이 별개의 사격 무기를 기본폼에도 사용하는 1호 라이더는 있었지만 검 류 무기에 비해서 비중이 매우 떨어졌다.] 이는 [[배틀로얄 게임]]의 주무기가 총인 것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사격 계열 무기가 주 무장인 점 때문인지 총을 묘기 부리듯이 다루며 싸우는 방식이 특징이다. 특히 선행 출연이나 예고편에 나온 전투를 봐도 총의 트리거 부분을 검지 손가락으로 고정해 돌리면서 총을 회전상태로 만들고 사격을 하는 특이한 사격법을 구사한다.[* 라이더 시리즈에선 이전까진 기츠같은 방식을 보인적은 없었고 옆동네 슈퍼전대의 [[루팡패트]]에서 [[야노 카이리|루팡 레드]]가 이러한 총기 액션을 보였었다. 이는 두 작품 다 [[스기하라 테루아키]]가 연출을 맡아서 그런 듯.] * 또한, 같은 이유 때문인지 펀치력이 기존 레이와 라이더들과 비교했을 때 대략 1/4 정도밖에 안 될 정도로 낮다. 그 대신 하반신을 담당하는 부스트의 경우 듀얼 온 시의 다른 버클의 스펙을 증폭시켜주기에 킥력은 58.5t으로 매우 높으며 이는 제로원의 킥력을 능가한다. 일단 부스트 폼 단독 사용시에는 펀치력도 23.4t으로 상승하는지라 큰 문제는 없긴 하다. * [[가면라이더 오즈]]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했던 음악을 동반한 하이텐션의 변신음이 사라지고[* 그나마 오즈는 '노래'''처럼''' 들리는 현상', 위자드는 '주문'이라고 설명되었고, 포제는 스위치 작동 음성은 간결한 편이었지만, [[센고쿠 료마|제작자가 자기 취향으로 변신음을 넣은]] 가이무가 나온 뒤로는 그냥 하이텐션 변신음이 디폴트가 되었다(...). 한국 국내에서도 더빙판들의 아쉬운 점이 오죽하면 일본판 원본보다 약을 덜 빤 것 같아서 아쉽다는 평이 나올 정도이니.] 헤이세이 1기를 떠올리게 하는 간결하고 깔끔한 음성으로 돌아왔다. 대기음 또한 이전까지의 화려한 음악이 아니라 간결한 기믹음으로 나온 것도 특징. [[분류:가면라이더 기츠(가면라이더)]][[분류:육상동물이 모티브인 가면라이더]][[분류:아머형 가면라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