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넷플릭스|{{{#ffffff 넷플릭스 오리지널}}}]]'''[br]{{{#40e0d0,#40e0d0 '''{{{+1 가메라: 부활}}}''' (2023)[br]GAMERA -Rebirth-[br]ガメラ リバース}}}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가메라 리버스 포스터.jpg|width=100%]]}}} || ||<-2> {{{#40e0d0,#40e0d0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40e0d0,#40e0d0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괴수물]] || || '''{{{#40e0d0,#40e0d0 원작}}}''' ||[[KADOKAWA]] || || '''{{{#40e0d0,#40e0d0 감독}}}''' ||[[세시타 히로유키]] || || '''{{{#40e0d0,#40e0d0 부감독}}}''' ||이데 케이스케(井手恵介) || || '''{{{#40e0d0,#40e0d0 시리즈 구성}}}''' ||이하라 켄타(猪原健太)[br][[세코 히로시]][br][[세시타 히로유키]] || || '''{{{#40e0d0,#40e0d0 각본}}}''' ||이하라 켄타[br][[세코 히로시]][br]야마다 테츠야(山田哲弥)[br][[세시타 히로유키]] || || '''{{{#40e0d0,#40e0d0 캐릭터 디자인}}}''' ||[[타무라 아츠시(애니메이터)|타무라 아츠시]] || || '''{{{#40e0d0,#40e0d0 괴수 디자인}}}''' ||타카하마 칸(髙濵 幹) || || '''{{{#40e0d0,#40e0d0 프로덕션 디자인}}}''' ||타나카 나오야(田中直哉)[br]{{{-2 페르디난드 바툴리(フェルディナンド・パトゥリ)}}} || || '''{{{#40e0d0,#40e0d0 메카닉 디자인}}}''' ||호아시 타케히코(帆足タケヒコ) || || '''{{{#40e0d0,#40e0d0 애니메이션 디렉터}}}''' ||코지(こうじ) || || '''{{{#40e0d0,#40e0d0 조형 감독}}}''' ||<|2>카타아마 미츠노리(片塰満則) || || '''{{{#40e0d0,#40e0d0 사진 감독}}}''' || || '''{{{#40e0d0,#40e0d0 치프 엔지니어}}}''' ||타나카 미츠루(田中 満) || || '''{{{#40e0d0,#40e0d0 연출}}}''' ||이시마 유이치(石間祐一) || || '''{{{#40e0d0,#40e0d0 CG 슈퍼바이저}}}''' ||호리 쇼타로(堀 正太郎)[br]아시다 타카유키(戶田貴之)[br]모토기 파울로(元木パウロ) || || '''{{{#40e0d0,#40e0d0 리깅 슈퍼바이저}}}''' ||스나무라 요헤이(砂村洋平) || || '''{{{#40e0d0,#40e0d0 환경 슈퍼바이저}}}''' ||나카무라 하즈키(中村葉月) || || '''{{{#40e0d0,#40e0d0 애니메이션 슈퍼바이저}}}''' ||세키네 마사시(関根雅史)[br]코지[br]히키 카즈히로(比嘉一博) || || '''{{{#40e0d0,#40e0d0 이펙트 슈퍼바이저}}}''' ||미야다이 나오야(宮台直也) || || '''{{{#40e0d0,#40e0d0 테크니컬 슈퍼바이저}}}''' ||호가리 사토시(帆苅 哲) || || '''{{{#40e0d0,#40e0d0 편집}}}''' ||히다 아야(肥田 文) || || '''{{{#40e0d0,#40e0d0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 || '''{{{#40e0d0,#40e0d0 음악}}}''' ||카타야마 슈지(片山修志) || || '''{{{#40e0d0,#40e0d0 애니메이션 슈퍼바이저}}}''' ||세키네 마사시(関根雅史)[br]코지(こうじ)[br]히가 카즈히로(比嘉一博) || || '''{{{#40e0d0,#40e0d0 라인 프로듀서}}}''' ||마츠쿠마 쿄헤이(松隈喬平) || || '''{{{#40e0d0,#40e0d0 제작 프로듀서}}}''' ||이이지마 사토시(飯島 哲) || || '''{{{#40e0d0,#40e0d0 애니메이션 제작}}}''' ||[[ENGI]] || || '''{{{#40e0d0,#40e0d0 제작}}}''' ||GAMERA Rebirth Production committee[* [[KADOKAWA]] 外] || || '''{{{#40e0d0,#40e0d0 공개 시기}}}''' ||[[애니메이션/2023년 7월 |2023. 09. 07.]] || || '''{{{#40e0d0,#40e0d0 스트리밍}}}'''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title/81087387|▶]]^^독점^^ || || '''{{{#40e0d0,#40e0d0 편당 러닝타임}}}''' ||43~47분 || || '''{{{#40e0d0,#40e0d0 화수}}}''' ||6화 || || '''{{{#40e0d0,#40e0d0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25]]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 '''{{{#40e0d0,#40e0d0 관련 사이트}}}''' ||[[https://gamera-rebirth.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amera_rebirth)]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버스 메인 이미지.jpg|width=100%]]}}} || 가메라: 작은 용사들 이후 오랜만에 제작이 결정된 신작 [[가메라 시리즈]] WEB 애니메이션. 감독은 [[세시타 히로유키]], 공개 시기는 [[애니메이션/2023년 7월|2023년 9월 7일]]. [[KADOKAWA]]가 제작의 주축을 맡았으며, [[넷플릭스]]를 통해 전세계로 공개가 확정됐다. ==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KRJkYWXRj6Q, width=100%)]}}} || || '''제작 결정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IN06AFa2jBA, width=100%)]}}} || || '''티저 무비'''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pinY8YbIPYU, width=100%)]}}} || ||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gto7geREbxU, width=100%)]}}} || || '''공식 예고편 #2'''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4OALbZEgeEQ, width=100%)]}}} || || '''15초 CM'''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9c1CEfAd_o0, width=100%)]}}} || || '''공개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hIGrzAzuqf4, width=100%)]}}} || || '''스토리 PV''' || === 그외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xY_F1ndGmvU,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Lwqb8mhknI8, width=100%)]}}}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hwmO-8q2vbs,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gr8dENIFMyU, width=100%)]}}}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g7gr_fwtyGo,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4XSN66YuhBw, width=100%)]}}} || ||<-2> '''메이킹 영상'''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nIj-08QpOJE, width=100%)]}}} || || '''시부야 옥외 광고 영상'''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WDdYbn4Qmew,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9vvXObPUgG4, width=100%)]}}}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qIzv8HJwoHs,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JEiw_7NcayU, width=100%)]}}} || ||<-2> '''인터뷰 영상''' || == 등장인물 == * '''보코'''(ボコ)[[https://gamera-rebirth.com/chara/|#]] {{{-1 - 성우: [[카네모토 히사코]] / [[라이언 바틀리]]}}} 본명은 와타 히로키(和多弘樹).[* 홈페이지에는 와타 다이키로 나와 있지만 본편에서는 이름이 바뀌었다.] 11살. 남을 내버려 둘 수 없는 상냥한 성격의 소유자이지만, 본인이 가장 미덥지 못해 주위를 걱정끼치는 일이 많다. 카피라이터의 엄마와 둘이서 생활한다. 사실 오릴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서 괴수들의 주 타깃이 되나 가메라의 도움으로 살아난다. 이후 5화에서 괴수 바이라스를 피해 우주로 달아나다가 친구 죠를 잃지만 강한 마음으로 꿋꿋이 일어선다. * '''죠'''(ジョー)[[https://gamera-rebirth.com/chara/joe.html|#]] {{{-1 - 성우: [[마츠오카 요시츠구]] / [[로비 데이먼드]]}}} 본명은 마츠다 사토루(松田悟).[* 보코와 마찬가지로 홈페이지에서는 마츠다 료였으나 본편에서는 사토루가 되었다.] 12살.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보코와 친구. 아빠랑 단지에서 둘이서 생활한다. 보코와는 가장 친한 사이로 강한 마음을 가진 친구. 넷 중에서도 가장 먼저 유스타스 기관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그 때문에 보코와 다투기도 했으나 화해하지만 바이라스를 피해 우주로 가던 도중 바이라스의 공격을 받아 부서진 우주선에서 탈출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해 보코 일행을 지키고 사망한다.[* 다만 6화 에필로그에서는 무전기에서 죠의 목소리가 들린다.] * '''준이치'''(ジュンイチ)[[https://gamera-rebirth.com/chara/junichi.html|#]] {{{-1 - 성우: [[토요사키 아키]] / [[애비 트롯]]}}} 본명은 이치하라 준(市原純). 12살. SF와 밀리터리와 오컬트를 좋아하는 오타쿠로, 월간 무(ムー)를 매호 빠짐없이 구매하고 있다. 학급에서 떠 있지만 본인은 신경쓰지 않는다. 그리고 여자아이다. * '''브로디'''(ブロディ)[[https://gamera-rebirth.com/chara/brody.html|#]] {{{-1 - 성우: [[키무라 스바루]] / [[숀 칩록]]}}} 본명은 더글러스 켄 오스본(ダグラス・ケン・オズボーン). 12살. 주일미군 사령관 아빠와 일본인 엄마의 혼혈. 인터내셔널 스쿨 미식축구 클럽의 에이스이지만, 최근에는 불량배 같은 행동이 많다.[* 아버지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나 뜻대로 되지 않아서 삐뚤어진 듯. 그래도 은근히 넉살도 좋고 함께 위험을 겪어서 그런지 금세 보코 일당과도 친해진다.] * '''타자키'''(タザキ)[[https://gamera-rebirth.com/chara/tazaki.html|#]] {{{-1 - 성우: [[미야노 마모루]] / [[케이지 탕]]}}} 일본계 미국인 3세. 유스타스 재단의 에이전트... 지만 진실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몰랐던 듯하며 진실을 알고 나서는 양심 때문에 고민하다가 결국 보코 일행을 돕는 선택을 한다. * '''에미코'''(エミコ)[[https://gamera-rebirth.com/chara/emiko.html|#]] {{{-1 - 성우: [[하야미 사오리]] / [[수지 영]]}}} 유스타스 재단의 에이전트. 타자키의 조수. 아이들과 잘 어울리는 듯한 모습을 보였지만 사실은 본작의 흑막 2. 이모인 노라 멜키오리에게 원한을 품고 있어서[* 자신의 어머니를 노라가 죽였다고 믿고 있다. 노라는 사고였다고 주장 중.] 아이들을 바이라스에게 먹여 정화를 실행하고 유스타스 재단에 대해 반란을 꾀하지만 가메라의 활약으로 따르던 이들은 전원 사망한다. 사실 굉장히 비정한 인물이라 아이들은 물론이고 동료들도 가망이 없다고 하면 죽이거나 버리는 데 일말의 망설임이 없다. 결국 마지막에는 하나 남은 갸오스의 새끼한테 잡아먹혀 죽는다. * '''평의회''' 유스타스 재단을 조종하는 흑막으로 지구 정화[* 괴수들을 조종해서 지구 인구 중 50억을 줄이겠다는 정신나간 계획. 괴수들은 약 2주 정도면 알아서 소멸한다는 듯하다.]를 꾀하는 빌런들.[* 에미코의 이모 노라도 여기에 속해 있다. 사실상 두목.] 과거 정화를 꾀했던 자들의 후예들로 다시 한번 지구 정화를 실행하기 위해 자기들은 미리 달에 세워놓은 기지에 피한 상태에서 괴수들을 조종해 풀어놓았다. 그러나 그들이 세워놓은 계획들은 가메라가 괴수들을 전부 죽이면서 실패하였고 이 틈을 타 에미코가 이들을 전부 죽이기 위해 바이라스에게 보코 일행을 먹여서 반란을 꾀하지만 이 역시 가메라의 분전으로 실패하고 바이라스를 죽이느라 가메라가 사실상 빈사 상태에 빠지고 마지막 남은 갸오스가 거대화하면서 다시 한번 이들의 계획이 성공하는 듯 싶었으나 보코가 용기를 내서 갸오스를 유인하고 그 사이 미군의 치료를 받은 가메라가 회복하면서 갸오스를 처치한다. 그러나 갸오스에 의해 가메라가 감염되면서 가메라가 이들의 통제에 빠질 위험에 처하지만 보코의 목소리를 듣고 제정신을 차린 가메라가 달에 있던 유스타스 재단의 비밀 기지에 하전입자포를 쐈고 지구 정화를 기대하던 이들 평의회는 아무 것도 모른 채로 와인을 마시면서 자신들의 성공을 기뻐하다가 전원 사망한다. == 등장 괴수 ==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리버스 일러스트.jpg|width=100%]]}}} || * '''[[가메라(가메라: 부활)|가메라]]''' (ガメラ) * '''[[갸오스]]''' (ギャオス) * S-갸오스 * '''[[쟈이가]]''' (ジャイガー ) * '''[[지그라]]''' (ジグラ) * '''[[기론(가메라 시리즈)|기론]]''' (ギロン) * '''[[바이라스(가메라 시리즈)|바이라스]]''' (バイラス) == 설정 == * 오릴륨 * 유스터스 재단 == 주제가 == === OP === ||<-2>
'''{{{#40e0d0,#40e0d0 OP[br]夏暁[br]여름새벽[b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dFGYI-g4WY, width=100%)]}}} || ||<-2> '''{{{#40e0d0,#40e0d0 WEB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DnweFQ2ydA, width=100%)]}}} || ||<-2> '''{{{#40e0d0,#40e0d0 Full ver.}}}''' || || '''노래''' ||<|2> [[WANIMA]] || || '''편곡''' || || '''작사''' ||<|2> KENTA || || '''작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40e0d0,#40e0d0 ED[br]FLY & DIV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AmWvwt5xfU, width=100%)]}}} || ||<-2> '''{{{#40e0d0,#40e0d0 WEB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a_QU3C5-1Y, width=100%)]}}} || ||<-2> '''{{{#40e0d0,#40e0d0 Full ver.}}}''' || || '''노래''' ||<|2> [[WANIMA]] || || '''편곡''' || || '''작사''' ||<|2> KENTA || || '''작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연출: 이시마 유이치(石間祐一)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넷플릭스]]판을 기준으로 한다.] || || 제1화 || 東京上空[br][[갸오스|도쿄 상공]] || || 제2화 || 地下水道[* [[바르샤바 봉기]]를 소재로 한 [[안제이 바이다]] 감독의 1957년작 폴란드 영화 카날의 일어제목. 해당 화의 영어제목인 Under Current는 46년작 미국 느와르 영화에서 따온듯.][br][[쟈이가|지하수도]] || || 제3화 || 深く静かに潜航せよ[* 잠수함을 소재로 하는 1958년작 미국 전쟁영화.][br][[지그라|깊고 고요히 잠항하라]] || || 제4화 || 斬る[* 영제가 KILL 이라는 것까지 1968년작 동명의 일본영화에서 따온것으로 보인다.][br][[기론(가메라 시리즈)|베다]] || || 제5화 || 月は無慈悲な夜の女王[br][[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 || 제6화 || 幼少期の終わり[br][[유년기의 끝]] || == 평가 == 평소에 태생적 한계인 먼저 나온 거대 파충류 괴수인 [[고질라]]에게 밀려 아류 몬스터라는 그림자 때문에 흥행에서 많이 저조했지만 이 애니메이션을 통해 가메라만의 개성을 보이는 서사를 보였으며 박진감 넘치는 괴수 싸움이 잘 조화를 이루어 큰 인기를 끌었다.[* 구글에 검색을 하면 '''82%의 사용자가 이 TV 프로그램을 좋아합니다'''라고 나오는 것을 보면 제대로 된 괴수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한 시즌 내에서는 가메라와 소년들간의 교감 보다는 괴수사태에 휘말린 소년들간의 우정이야기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경향이 강한 편이다. 마지막화의 쿠키를 보면 시즌2를 염두에 두고 만든 작품이니 만큼 시즌2가 나오면 이야기가 더 보강이 된 작품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는 팬들도 있다. 작품 내적으로 왜 제목 부제가 [[부활]]인지 보여주었으며 작품 외적으로 사실상 2015년을 마지막으로 추가 제작 소식도 없고 심지어 고질라는 [[몬스터버스]]로 시대를 풍미하는 동안 묻히다가 '''가메라는 [[넷플릭스]]로 되살아났고''' 2017년 일이기는 하지만 같은 3D 애니메이션인 [[GODZILLA 시리즈]]가 어이가 없는 내용으로 욕먹을 것을 비교하면 작품 외적으로 부활을 보여준 셈이다. 후속작을 원하는 팬들이 있고 실제로 마지막 화에서 여운과 떡밥도 남겨주었기 때문에 만약에 나온다면 [[바루곤]], [[레기온(가메라 시리즈)|레기온]], [[이리스(가메라 시리즈)|이리스]] 등 아직 나오지 않은 원작 괴수들이 있어 기대해 볼 수 있다. == 기타 == * 헤이세이 가메라 3부작의 감독이었던 카네코 슈스케가 나름대로 레이와 가메라의 구상을 만들어서 [[KADOKAWA]]에 제안했으나, KADOKAWA에서 이미 먼저 새로운 가메라의 기획을 진행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 작품의 내용을 보고 이런 식으로 나갈 거구나라는 기대가 들었고 응원한다는 소감을 밝혔다. * 이번 시리즈의 괴수 디자인은 2015년 단편 영화 [[GAMERA]]에서 괴수 디자인을 맡았던 타카하마 칸이 다시 맡았다. 그래서 해당 작품의 가메라와 갸오스는 2015년에 등장했던 디자인에서 약간의 수정만 거치고 다시 사용됐다. * 2분 2초 분량의 예고편을 보고 3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는 건 나쁘지 않다는 반응이나, 감독 특유의 물체나 기계, 괴수등은 프레임이 풍부한데 사람이 움직이는 부분만 15프레임 이하로 유지하는 눈 아픈 연출을 고집하는 부분은 호평이 많은 사이에서 불만이 적지않게 나온다. * [youtube(4y_X5lRWTec)] 게임 고지라 배틀 라인에서 '''53년 만에 [[고지라]]와의 콜라보가 확정됐다.''' * 본편의 [[https://comic-walker.com/contents/detail/KDCW_TS01204348010000_68|만화판]], [[https://gamera-rebirth.com/books/|소설판, 프리퀄 만화]]로 미디어 믹스가 전개된다. [[분류:가메라 시리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3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일본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