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카시와모치는 여기로 리다이렉트됩니다. 동명의 게임, rd1=사랑과 용기와 카시와모치)] [include(틀:떡/종류)]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랍떡.jpg|width=100%]]}}}|| || '''{{{+1 {{{#FFF 가랍떡}}}}}}'''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랍떡은 [[떡갈나무]]의 잎사귀로 싸서 찐 [[떡]]이다. == 역사 == [[함경도]]에서 해먹던 떡으로 이름이 가랍이라고 붙어진 이유는 떡갈나무는 [[동북 방언|함북 사투리]]로 가랍나무라고 불리기 때문에 가랍나무의 잎사귀로 만들었다고 하여 가랍떡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먹을 것이 없어 떡갈나무 잎이 구황음식이였는데, 떡갈나무 잎에 떡을 싸 먹으면 찰지고, 떡갈나무 잎이 두꺼워서 무언갈 싸기 좋은 모양이다. 또 여름에도 잘 쉬지 않았기 때문에 함경도 사람들이 자주 먹었다. 그래서 예전 [[백두산]] 근처에 살던 [[나무꾼]]이나 백성들은 밥을 가지고 다닐 때 떡갈나무 잎에다가 싸서 다니기도 했다. 단오날에 이것을 쪄먹는 풍습이 있었는데, 중국과 일본에서도 단오날에 떡갈나무 잎에 떡을 싸 쪄먹는 풍습이 있어, 이렇게 떡갈나무 잎에 싼 떡을 중국에선 박라병(薄羅餠)이라 불렀고 일본에서는 가시와모찌(柏餠) 라고 불렀다. 떡갈나무 대신 청미래덩굴 잎으로 싸면 [[망개떡]]이 된다. == 요리법 == 1.수수를 여러 번 깨끗하게 씻은 후에 물에 담갔다가 소쿠리에 건진다. 1.물기를 빼고 [[소금]]을 넣는다. 넣은 후에 가루로 빻아서 수수가루로 만든다. 1.수수 가루에 끓는 물을 넣고 반죽하고 떡갈나무 잎으로 싼 다음 찐다. == 맛 == 함경도에서는 [[쌀]]이 귀했기 때문에 [[수수]]와 같은 여러 잡곡들을 이용해서 떡을 쪘는데 가랍떡 역시 수수가루로 만든 떡이다. 가랍떡은 떡갈나무 잎에 싼 것이라 오랜 기간 동안 쉬지 않고, 갈잎 향이 베어서 먹기에 좋다. 가랍떡을 먹을 때 수수의 씁쓰레한 맛과 [[떡갈나무]] 잎 특유의 향긋한 맛이 조화를 이루어진 고유의 풍미는 맛을 두 배가 되게 한다. 또한 [[콩]]을 넣어서 반죽을 하기도 한다. [[분류:한국의 떡]][[분류:함경도의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