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나미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가나가와현 제7구}}}}}}'''[br]{{{-1 {{{#ffffff 神奈川県第7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Kanagawa7.svg|width=100%]]}}}|| ||<-2><:>'''선거인 수'''||<-2><:>449,449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가나가와현]]|| ||<-2><:>'''하위 행정구역'''||<-2><:>[[요코하마시]] [[코호쿠구]] ||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스즈키 게이스케]]||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나가와현]]의 [[요코하마시]] [[코호쿠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스즈키 게이스케]]. == 상세 == [[닛산 스타디움]]과 [[신요코하마역]] 등이 위치하고 있다. 요코하마시의 북쪽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라, [[도쿄]]에 출퇴근하는 시민들도 꽤 많이 거주하고 있다. 무당층이 많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자민당이 우세한 선거구이다. 하지만 2021년 49회 중원선에서는 1.8% 차이로 자민당 스즈키 게이스케 후보가 신승했고, 향후 의원들의 활동에 따라 박빙 혹인 입헌민주당 접전 선거구로 변모할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자민당 스즈키 의원과 입헌민주당 나가타니 의원이 젊은 정치인이라, 앞으로 20-30년동안 이 선거구는 두 의원간의 대결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지역구에서 처음 당선되었던 스즈키 쓰네오 의원과 현직 스즈키 게이스케 의원은 성만 같지, 가족 관계는 아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가나가와현 제7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2> 스즈키 츠네오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스토 노부히코[*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의 측근으로 현재는 [[공화당(일본)|공화당]]에서 한국으로 치면 당 사무총장 격인 간사장을 맡고 있다.]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스즈키 츠네오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스토 노부히코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스즈키 게이스케]]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7구}}}}}}'''[br]{{{#fff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미도리구, 츠즈키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츠네오''' || '''75,59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3.84%'''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스즈키 데루미치 || 54,275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24.29%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스토 노부히코 || 50,365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22.5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타카하시 카즈토 || 28,81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89% || 낙선 || ||<|2><#808080> {{{+3 {{{#fff 無}}}}}} || 하카리야 게이코 || 12,258표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5.49% || 낙선 || ||<|2><#ffffff>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미야카와 다카시 || 2,120표 || 6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0.9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3,428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7구}}}}}}'''[br]{{{#fff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미도리구, 츠즈키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츠네오''' || '''85,34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2.2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스토 노부히코 || 80,18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0.31% || 비례당선 || ||<|2><#ffffff>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히다카 다케시 || 37,827표 || 3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14.30% || 비례당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이시하라 모리 || 29,620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1.2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토 구니오 || 26,861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15%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하야카와 히로토 || 4,697표 || 6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7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4,534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7구}}}}}}'''[br]{{{#fff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츠즈키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스토 노부히코''' || '''96,479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6.58%'''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츠네오 || 93,857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5.31%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마츠자카 마사코 || 16,79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1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7,132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7구}}}}}}'''[br]{{{#fff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츠즈키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츠네오''' || '''145,37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7.0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스토 노부히코 || 92,72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6.3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히가 츠네카즈 || 16,68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5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4,781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7구}}}}}}'''[br]{{{#fff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츠즈키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스토 노부히코''' || '''157,070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7.1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게이스케]] || 109,844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9.99%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이시이 사토시 || 7,731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2.8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4,645표 ||<|2> '''투표율'''[br]68.50% || || 선거인 수 ||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7구}}}}}}'''[br]{{{#fff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츠즈키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게이스케]]''' || '''105,92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2.13%''' || '''당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다나카 아사코 || 58,380표 || 2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 23.22%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스토 노부히코 || 53,958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1.46%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야마자키 마코토 || 20,74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8.2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히가 츠네카 || 12,422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9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1,423표 ||<|2> '''투표율'''[br]60.80% || || 선거인 수 ||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7구}}}}}}'''[br]{{{#fff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츠즈키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게이스케]]''' || '''101,08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4.3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타니 가즈마 || 50,51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2.17% || 낙선 || ||<|2>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도요다 유키 || 39,964표 || 3위 || || [include(틀:유신당)] || 17.5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야마 나나코 || 26,15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48% || 낙선 || ||<|2><#0091d6> [[일본의 마음|[[파일:차세대당_투명.png|width=50]]]] || [[마쓰다 마나부]] || 10,073표 || 5위 || || [include(틀:차세대당)] || 4.4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7,787표 ||<|2> '''투표율'''[br]53.88% || || 선거인 수 || 433,936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7구}}}}}}'''[br]{{{#fff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츠즈키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게이스케]]''' || '''103,32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7.00%'''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17년)|[[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나카타니 가즈마 || 87,819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9.95% || 비례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가와노 안 || 28,685표 || 3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추천] || 13.0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9,828표 ||<|2> '''투표율'''[br]51.59% || || 선거인 수 || 434,882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7구}}}}}}'''[br]{{{#fff 요코하마시 코호쿠구, 츠즈키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스즈키 게이스케]]''' || '''128,87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0.86%'''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나카타니 가즈마 || 124,524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추천] || 49.14%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53,394표 ||<|2> '''투표율'''[br]57.58% || || 선거인 수 || 449,449인 || || [youtube(ZQJ5f8BHXIs)] || || 선거 당시 가나가와 7구 관련 뉴스 영상 || 현역 자민당 스즈키 게이스케 의원과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나카타니 가즈마 의원이 재대결한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이외의 정당 및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두 현역의원간의 1대1 승부가 치러진다. 언론에서는 자민당과 입헌민주당의 박빙 승부를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개표 결과는 초박빙이었다. 자민당 스즈키 게이스케 후보가 1.8% 차이로 입헌민주당 나카타니 가즈마 후보를 꺾었다. 나카타니 후보는 비례대표로 부활해 당선되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가나가와현의 중의원 선거구가 2개 늘어나면서 [[츠즈키구]]를 19구에 넘겨 분할을 해소했고 고호쿠구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스즈키 게이스케]] 의원이 5선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도 나카타니 가즈마 의원이 다시 후보로 공인되었다. [[일본 유신회(2016년)|유신회]]에서는 [[2020 도쿄 올림픽]] 당시 일본 서핑 국가대표 감독을 역임했던 무나카타 도미지로 전 가나가와현의원을 지부장으로 선임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가나가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