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나미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1 {{{#ffffff 神奈川県第10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Kanagawa10.svg|width=100%]]}}}|| ||<-2><:>'''선거인 수'''||<-2><:>470,746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가나가와현]]|| ||<-2><:>'''하위 행정구역'''||<-2><:>[[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 ||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다나카 가즈노리]]||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나가와현]]의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다나카 카즈노리. == 상세 == 전형적인 도쿄 베드타운이다. 전반적으로 자민당이 우세한데, 민주당이나 [[일본 공산당]] 후보가 석패율제로 부활하기도 한다.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노다 요시히코]] 내각의 재무장관이었던 조지마 고리키가 [[도쿄도 제13구]]에서 옮겨와 당선된 적이 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가나가와현 제10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나가이 에이지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3> 다나카 카즈노리 ||<|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조지마 고리키]]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다나카 카즈노리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fff 요코하마시 츠루미구, 가나가와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나가이 에이지''' || '''70,276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31.21%'''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가즈노리 || 68,892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0.60%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나카지 마사히로 || 48,48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1.53% || 비례당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시바타 히사시 || 35,101표 || 4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15.59%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이와키 노부아키 || 2,406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0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5,16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fff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 나카하라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가즈노리''' || '''94,18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9.5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가이 에이지 || 87,77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6.89%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카사키 다카시 || 48,81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0.51%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카네히라 겐고 || 7,180표 || 4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3.0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7,95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fff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 나카하라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가즈노리''' || '''114,76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8.1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카리야 게이코 || 89,75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7.63%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카사키 다카시 || 34,00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4.2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8,521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fff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 나카하라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가즈노리''' || '''160,66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6.44%'''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카리야 게이코 || 89,02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1.2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카사키 다카시 || 34,97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2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4,665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fff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 나카하라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조지마 고리키]]''' || '''152,921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9.26%'''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가즈노리 || 118,64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8.22%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카사키 다카시 || 33,13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67%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시마자키 류이치 || 5,746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8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310,442표 ||<|2> '''투표율'''[br]65.46% || || 선거인 수 || 484,482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fff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 나카하라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가즈노리''' || '''104,99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7.4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조지마 고리키]] || 61,25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1.86% || 낙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쿠메 에이이치로 || 44,493표 || 3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 15.88% || 낙선 || ||<|2><#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이시카와 테루히사 || 44,185표 || 4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15.7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나카노 도모히로 || 25,310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0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0,237표 ||<|2> '''투표율'''[br]58.52% || || 선거인 수 || 492,394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fff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 나카하라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가즈노리''' || '''114,56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2.20%'''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조지마 고리키]] || 66,89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0.4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나카노 도모히로 || 38,02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7.3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9,486표 ||<|2> '''투표율'''[br]51.88% || || 선거인 수 || 440,652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fff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 나카하라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가즈노리''' || '''113,82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1.46%'''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이치카와 요시코 || 58,053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26.2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타노 키미에 || 49,30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가나가와현 연합 지지] || 22.29%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21,182표 ||<|2> '''투표율'''[br]49.85% || || 선거인 수 || 457,492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0구}}}}}}'''[br]{{{#fff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사이와이구, 나카하라구 일부}}}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가즈노리''' || '''104,83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1.39%''' || '''당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 가네무라 류나 || 69,594표 || 2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27.48%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타노 키미에 || 48,83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9.28% || 낙선 || ||<|2><#003f88> [[국민민주당(2020년)|[[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width=50]]]] || 스즈키 아쓰시 || 30,013표 || 4위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11.85%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53,278표 ||<|2> '''투표율'''[br]55.04% || || 선거인 수 || 470,746인 || 현역 자민당 다나카 카즈노리 의원과 공산당 하타노 키미에 의원이 재대결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지난 중원선처럼 후보를 공천하지 않고 공산당 하타노 키미에 의원을 사실상 지지할지 주목된다. 결국 최종적으로도 후보 공천없이 하타노 의원에게 힘을 보탰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은 가네무라 류나 후보를 공천했다. 가네무라 후보는 조지마 고리키 전 재무대신의 비서를 지냈다. 참고로 조지마 전 대신은 제45회 총선에서 이 지역구 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도 막판에 정당인인 스즈키 아츠시 후보를 공천했다. 개표 결과, 자민당 다나카 가즈노리 후보가 승리했다. 유신회 가네무라 류나 후보와 국민민주당 스즈키 아츠시 후보도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오히려 현역 재선의원인 공산당 하타노 키미에 후보는, 공산당의 미나미칸토 지역 비례대표 득표율이 감소하면서 미나미간토 광역구 내 공산당 비례 의석이 2석에서 1석으로 줄어들었기에 낙선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가나가와현의 중의원 선거구가 2개 늘어나면서 [[나카하라구]] 일부가 18구로 넘어가면서 분할이 해소되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가나가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