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나미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가나가와현 제1구}}}}}}'''[br]{{{-1 {{{#ffffff 神奈川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Kanagawa1.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27,922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가나가와현]]|| ||<-2><:>'''하위 행정구역'''||<-2><:>[[요코하마시]] [[나카구(요코하마)|나카구]], [[가나자와구]],[br][[이소고구]]|| ||<-2><:>'''국회의원'''||<:>[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시노하라 고]]||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나가와현]]의 [[요코하마시]] [[나카구(요코하마)|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소속 시노하라 고. == 상세 == 요코하마시 시청, 가나가와현 현청이 있는 가나가와현의 정치, 행정 중심지이다. 또한 [[요코하마 스타디움]]과 요코하마 차이나타운 등도 이 선거구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나자와구와 이소고구에는 나카구나 [[요코하마역]] 부근에 직장이 있는 주민들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지역 토박이인 사람들이 많이 산다는 뜻으로, 이러한 영향 때문인지 [[도쿄도 제1구]], [[치바현 제1구]] 등과 같이 도심 지역을 관할하는 다른 1구 선거구들과 달리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 등 보수 정당의 지지도가 강하다. 그러나 49회 총선거와 같이 마냥 보수 정당이 우위를 차지하는 곳은 아니다. 그동안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사토 켄이치로 의원이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4회 총선]]에서 패배한 이후로 자민당의 맞상대 후보가 자주 바뀌는 바람에 야권이 탄탄한 지역 기반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비례부활로 당선된 입헌민주당 시노하라 고 후보가 다음 중의원 선거의 공천을 받아 드디어 자리를 잡은 후보로 다음 선거를 치루게 됐다. 이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9회 중원선]]에서 시노하라 후보가 당선되면서, 보수 우위 지역구를 탈환하는 데 성공한다. 이 지역구 현역이었던 마쓰모토 준 의원은 원래 자민당 소속으로, 아베 내각에서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하지만 2021년 2월에 코로나19 긴급사태 발령 도중 심야회식을 했기에 비판을 받자 자민당을 탈당했다. 이후 차기 중원선때까지 복당을 하지 못했다. 자민당이 새로운 후보를 공천하지 않아서 사실상 친여권 무소속 후보로 선거를 치뤘지만, 심야회식에 대한 비판여론을 극복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가나가와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마쓰모토 준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사토 켄이치로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마쓰모토 준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나카바야시 미에코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3> 마쓰모토 준 ||<|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시노하라 고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구}}}}}}'''[br]{{{#fff 요코하마시 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쓰모토 준''' || '''55,36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6.4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사토 켄이치로 || 54,49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26.02% || 비례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오카베 마사히사 || 50,684표 || 3위 || || [include(틀:신진당)] || 24.2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타무라 키미코 || 26,686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74%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하야시 유미코 || 22,236표 || 5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0.6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9,460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구}}}}}}'''[br]{{{#fff 요코하마시 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토 켄이치로''' || '''91,578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8.0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쓰모토 준 || 81,245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5.54%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무나가타 타카시 || 28,41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43% || 낙선 || ||<|2><#ffffff>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사메지마 히로시 || 23,783표 || 4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10.40%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마츠다 기요시 || 3,593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1.5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8,61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구}}}}}}'''[br]{{{#fff 요코하마시 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쓰모토 준''' || '''111,73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7.5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토 켄이치로 || 97,630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1.56%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나카이에 하루코 || 15,33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53%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하야시 데이조 || 10,243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4.3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4,934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구}}}}}}'''[br]{{{#fff 요코하마시 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쓰모토 준''' || '''161,70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8.2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사토 켄이치로 || 95,60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4.4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타카야마 오사무 || 20,21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2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7,519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구}}}}}}'''[br]{{{#fff 요코하마시 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바야시 미에코''' || '''135,211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8.0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쓰모토 준 || 117,84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1.91%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고사이 요코 || 18,89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72%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야마모토 세이치 || 9,229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3.2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81,178표 ||<|2> '''투표율'''[br]68.24% || || 선거인 수 ||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구}}}}}}'''[br]{{{#fff 요코하마시 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쓰모토 준''' || '''101,23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1.20%'''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바야시 미에코 || 50,92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20.72% || 낙선 || ||<|2><#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마쓰모토 고이치 || 41,19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16.77% || 낙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야마시타 요리유키 || 36,706표 || 4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 14.9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카시 유키오 || 15,664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3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45,73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구}}}}}}'''[br]{{{#fff 요코하마시 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쓰모토 준''' || '''113,84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2.37%''' || '''당선''' || ||<|2><#fff>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시노하라 고 || 68,061표 || 2위 || || [include(틀:유신당)] || 31.31%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아카시 유키오 || 35,46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6.3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7,370표 ||<|2> '''투표율'''[br]53.78% || || 선거인 수 || 418,500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구}}}}}}'''[br]{{{#fff 요코하마시 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쓰모토 준''' || '''103,07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5.01%'''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17년)|[[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시노하라 고 || 78,019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4.19% || 비례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나가시마 가즈요시 || 34,433표 || 3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20.8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5,522표 ||<|2> '''투표율'''[br]51.49% || || 선거인 수 || 427,736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나가와현 제1구}}}}}}'''[br]{{{#fff 요코하마시 나카구, 가나자와구, 이소고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시노하라 고''' || '''100,118표'''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45.01%'''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마쓰모토 준 || 76,064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4.19%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50]]]] || 아사카와 요시하루 || 46,27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20.80%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222,453표 ||<|2> '''투표율'''[br]53.99% || || 선거인 수 || 427,922인 || || [youtube(tpMAva6v-dU)] || || 선거 당시 가나가와 1구 관련 뉴스 영상 || 현역 마쓰모토 준 의원이 [[2021년]] 2월에 코로나19 긴급사태 발령 도중 심야회식을 했기에 비난을 받자 자민당을 탈당했고, 아직도 복당을 못하고 있다. 자민당이 가뜩이나 추락하는 내각 지지율 때문에 쉽게 총선 시점까지 복당을 허락하지 못하고 새 후보를 낼 가능성도 꽤 있다. 최종적으로 자민당은 마쓰모토 의원을 복당시키지 않는 대신 이 지역구에 무공천을 발표했고, 마쓰모토 준 의원은 친자민당 무소속 후보로 출마한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현역 시노하라 고 의원을 공천했다. 마쓰모토 의원의 탈당등으로 인한 호재를 등에 업고 이번에는 비례부활이 아닌 지역구 당선을 내심 기대중이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는 아사카와 요시하루 전 요코하마시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결국, 입헌민주당 시노하라 고 후보가 당선되면서 입헌민주당이 지역구를 탈환하게 되었다. 마쓰모토 준 의원은 그대로 낙선했다. 비슷한 경위로 친자민당 후보로 [[나라현 제3구|나라 3구]]에 출마한 다노세 다이도 의원은 당선된걸 보면 선거구의 지형 차이가 큰 것으로 보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gcgOz2vV-k)]}}}|| || '''{{{#ffffff 낙선 소감을 밝히는 마쓰모토 준}}}''' ||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시노하라 고 의원이 공인 후보로 내정되었으며, [[일본 유신회(2016년)|유신회]]에서도 석패율 당선된 아사카와 요시하루 의원이 지부장으로 선임되었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마쓰모토 준 전 의원이 복당해 다시 지부장에 선임되며 재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단, 2023년 4월 11일 부로 마쓰모토 의원의 연령이 73세가 되어 비례대표 중복 등록이 불가능하다. 즉, 지역구에서 낙선하면 몇표차로 지든 그대로 낙선이다. [[참정당]]에서는 회사 임원을 역임 중인 이토 마미코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가나가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