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鹵}}}개펄 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鹵,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ロ}}}}}}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ば-う, おろ-か, おろそ-か,[br]しお, しおち, たて}}}}}}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滷]](소금밭 로)와 간체자가 같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ǔ{{{#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鹵-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鹵는 ''''개펄 로''''라는 [[한자]]로, 소금밭이나 천연 소금을 가리킨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E7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卜田戈戈(YWII)로 입력한다. 鹵자는 소금을 생산하는 서쪽 내륙부의 염전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염전'은 우리가 흔히 '염전'이라고 하면 떠올리는 곳이 아니다. 내륙에서 우리가 아는 그런 염전을 만들 수 있을 리가 없다. 여기서 말하는 '염전'이란 땅에 소금기가 잔뜩 끼어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염류토|염류토양]]을 가리킨다. [[설문해자]]에 의하면 구체적으로 안정(安定)이라는 지방(지금의 [[간쑤성]])에 소금을 생산하는 노현(鹵縣)이 있었다 한다. 또한 여기서 의미가 파생하여 (사람이 만들지 않은) 천연 소금을 가리키는 뜻으로도 쓰였다. 반대로 중국의 동쪽, 즉 연안지방의 소금밭을 [[斥]]이라 불렀다. 자원에 대해선 여러 설이 있다. 설문해자에는 鹵자가 서방에 소금밭이 있기에 西자를 간략화한 모양이라는 해설이 있고, 鹵자의 갑골문이나 고문자의 형태가 구분된 4개의 공간속에 점이 있는 모양이라는 것을 미뤄 염전의 형태를 본땄다거나 소금결정체나 암염의 부스러기가 바구니에 담긴 꼴을 본떴다거나 하는 설이 있다.--지금은 샴푸통을 닮았다-- 오늘날 [[중화권]]에서는 [[할로젠 원소]]라는 뜻으로 쓰인다. 할로젠이 '소금을 만든다'는 뜻이니, 적절한 배치인 셈. 한편 노략질할 로([[擄]]) 자와 [[통가자|통가]]되어 '노략질한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노획]](鹵獲)이란 표현이 존재하는 이유이다. == 자형 == ||<:>[[파일:120px-鹵-bronze.svg.png]]||<:>[[파일:鹵-bigseal.svg.png]]||<:>[[파일:鹵-seal.svg.png]]|| ||<:>금문||<:>대전체||<:>소전체|| == 용례 == === [[단어]] === * [[노획]](鹵[[獲]]) - 싸워서 적의 물품을 빼앗음. === [[인명]] === * [[유노윤호]]([[瑜]]鹵[[允]][[浩]]) * [[개로왕]]([[蓋]]鹵[[王]]) === [[지명#s-2]] ===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소금로부 강희자전에 197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마흔네 자다. 부수로 붙을 때는 소금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부수로 쓰인 예시로는 [[鹽]](소금 염) · [[鹹]](짤 함)이 있다. === 나라별 부수 명칭 === * 한국: 소금로부 * 중국: [ruby(鹵部, ruby=lǔbù)] * 일본: ろ, しお * 영미: Radical salt == 유의자 == * [[鹷]](소금 령) * [[䴛]](소금 소) * [[鹽]](소금 염) * [[𪉸]](소금 온) * [[𪉭]](소금 외) * [[𪉮]](소금 주) * [[鹺]](소금 차) * [[䴝]](소금 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정자(한자)|정자]]''' 鹵 * [[卥]](서녘 서)[* [[西]](서녘 서)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𠧪]](열매 열릴 조) * '''[[간체자]]''' 卤 * [[囟]](정수리 신) [[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