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5_iidx_01.jpg]] ||<:>{{{+1 [ruby(鬼天, ruby=おにがみ)]}}}|| ||<:>'''귀천'''|| [목차] == 개요 == [youtube(iJ0SMO_Ojbs)]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DJ TOTTO|兎々]]. [[아수라]]를 테마로 한 곡이며, [[海神]]에 이은 동양풍의 곡이다. 제목은 '''오니가미'''라고 읽는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include(틀:MYSTICAL STRIKE)] ||<-4>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3> 난이도 || ||<|2> 161 || {{{#green,#7fff7f BASIC}}} || {{{#orange,#ffa500 MEDIUM}}} || {{{#red,#ff0000 HARD}}} || || {{{#green,#7fff7f 6}}} || {{{#orange,#ffa500 9}}} || {{{#red,#ff0000 13}}} || || 스킬 레이트 || {{{#green,#7fff7f 24}}} || {{{#orange,#ffa500 39}}} || {{{#red,#ff0000 68}}} || || 오브젝트 || {{{#green,#7fff7f 159}}} || {{{#orange,#ffa500 298}}} || {{{#red,#ff0000 586}}} || || MAX COMBO || {{{#green,#7fff7f 440}}} || {{{#orange,#ffa500 630}}} || {{{#red,#ff0000 1144}}} || || JUST REFLEC || {{{#green,#7fff7f 7}}} || {{{#orange,#ffa500 11}}} || {{{#red,#ff0000 17}}} || || 수록버전 ||<-3> [[리플렉 비트 그루빈]]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3> MUSIC PACK 75 || 2014년 9월 12일 [[MYSTICAL STRIKE]] 해금곡으로 수록되었다. 환수 아수라를 격파하면 해금할 수 있다. [youtube(gmc5MVlP69A)] 하드 패턴 영상 전체적으로 같은 명의에, 같은 분위기의 노래인 [[海神]]의 중반부 롱잡에 약간의 롱노트 장난을 얹은 열화판 채보로, 처음 시작할 때부터 마치 [[perditus†paradisus]]가 연상되는 롱 오브젝트 장난으로 시작한다. 그 후 DJ TOTTO 특유의 난해한 박자로 오브젝트가 날아오고 기어이 후반부에는 [[Broken]]의 열화판 [[롱잡]]을 날린다. 한마디로 [[사기 난이도#s-2.2.6|표기난이도에 비해 악랄한 채보]]. 물량은 적은 편이지만 오브젝트 낙하 속도가 느리고 롱노트 장난 때문에 오브젝트가 특정 구간에 잔뜩 밀집되어 10+ 못지않은 폭타를 보여주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리플렉 비트 VOLZZA]]의 클래스 체크 모드에서 클래스 4의 보스곡으로 들어갔다. 전작 7단의 사파리가 빠지고 본 곡이 들어간 듯한 모양새인데, 사파리보다도 어렵다는 평이 많아 본 곡에서 막히는 유저들이 많은 듯. [[리플렉 비트 VOLZZA 2]]에서 생긴 스킬 레이트는 64로 10레벨 중에선 가장 높다.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레벨체계 개편으로 기존의 10 상급 ~ 11 중하급쯤이 받던 13레벨로 배정되어 적정 레벨이 되었다. === 아티스트 코멘트 === || 먼 옛날, 사람들은 그 수라와 같은 싸움의 신(戦神)을 이렇게 불렀다. 「오니가미」라고. - [[DJ TOTTO|兎々]], [[리플렉 비트 그루빈]] OST 코멘트 || == [[사운드 볼텍스]] == ||<-2> '''[[POLICY BREAK]][br]([[리플렉 비트 시리즈|REFLEC BEAT]])''' || || 1 || [[VALLIS-NERIA]] || || 5 || [[Playing With Fire]] || || 8 || [[Sakura Mirage]] || || 11 || [[打打打打打打打打打打]] || || 12 || [[鬼天]] || || 18 || [[伐折羅-vajra-]] || || 27 || [[Rebellio]]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4>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 자켓 ||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5_iidx_01.jpg|width=150]] ||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5_iidx_01.jpg|width=150]] ||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5_iidx_01.jpg|width=150]] || || 레벨 || 06 || 12 || 17 || || 체인 수 || 0805 || 1313 || 1821 || || 일러스트 담당 ||<-3> 07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3> 浮世マシーン || || 수록 시기 ||<-3> __[[POLICY BREAK|{{{#black POLICY BREAK}}}]]__ || || [[BPM]] ||<-3> 161 || [youtube(G9aNpN2Us8E, width=405, height=720)] EXH 패턴 PUC 영상 EXH 패턴은 곡의 3박자를 기반으로 원핸드 및 롱노트 위주의 패턴이 이어지는 패턴으로, 다소 생소할 수 있는 패턴이 많아 주의를 요한다. 레벨 내에서는 중위권 정도의 난이도이나 박자가 일정하고 숏 노트의 비중이 적어 스코어링에서는 난이도가 조금 더 내려가는 편. 다만 초중반의 번개노브랑 중간중간 FX와 BT 복합 패턴이 상당히 난해하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나머진 그냥저냥 평범한 수준. == [[beatmania IIDX]] == || 장르명 ||<-3> ASURA TEK CORE [br][[아수라]] 텍 코어 || [[BPM]] ||<-2> 161 || || 전광판 표기 ||<#454545><-6> '''{{{#FF5A00 ONIGAMI}}}''' || ||<-7>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0000ff 노멀}}} ||<-2> {{{#orange,#ffa500 하이퍼}}} ||<-2> {{{#red,#ff0000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0000ff 6}}} || {{{#blue,#0000ff 519}}} [include(틀:CN)] || {{{#orange,#ffa500 9}}} || {{{#orange,#ffa500 889}}} [include(틀:CN)] || {{{#red,#ff0000 11}}} || {{{#red,#ff0000 1265}}} [include(틀:CN)] || || [[더블 플레이]] || {{{#blue,#0000ff 6}}} || {{{#blue,#0000ff 576}}} [include(틀:CN)] || {{{#orange,#ffa500 10}}} || {{{#orange,#ffa500 960}}} [include(틀:CN)] || {{{#red,#ff0000 12}}} || {{{#red,#ff0000 1467}}} [include(틀:CN)]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22 PENDUAL|22 PENDUAL]]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vol.8) [[네코마타&TOTTO와 가는 골든위크 탄환투어]] ★의 여행편 포토북 1의 사진을 다 모으면 해금되었다. === 싱글 플레이 === [youtube(JULrmkAQhzQ)] SPA 영상 패턴을 노리고 짠 것인지 [[打打打打打打打打打打]]의 SPH와 SPA에 공통으로 들어간 연타 패턴처럼 이 곡에는 24비트 고속 트릴이 배치되어있어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정배 기준 오른손이 상당히 혹사당하는 보면으로, 고속 트릴이고 저속 트릴이고 죄다 오른쪽에 집중되어 있고 계단도 오른쪽에서 많이 나오므로 사람에 따라선 미러가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허나 초~중반의 매서운 패턴에 비해 후반이 차지노트+잡노트 위주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조금은 심심한 느낌을 줄 수도 있다. 그만큼 노멀, 이지류의 그루브 게이지일 경우 상당히 게이지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런 패턴으로 볼 수도 있다. 다만 후반이 초반에 비해 쉽다는 점을 감안해도 하드클리어 이상의 난이도는 11레벨의 [[Almagest]] 하이퍼나 [[S!ck]], [[bloomin' feeling]] 같은 11레벨 상급 곡들과 대등하다고 평가되므로, 쉬운 후반은 일종의 난이도 조절로 봐도 좋을 듯하다. 그리고 차지노트에 약하다면 후반에서 회복하기는 꽤 힘들기 때문에 주의. 차지노트 지대가 끝나면 노래가 그냥 끝나버린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MLDYtlH5yiE)] DPA 영상 [[분류:리플렉 비트 그루빈의 수록곡]][[분류:beatmania IIDX 22 PENDUAL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