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騙}}}속일 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馬|{{{#000,#fff 馬}}}]],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ヘ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た-る, だま-す}}}}}}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pi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騙은 ''''속일 편''''이라는 [[한자]]로, '속이다', '기만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속이다 || || {{{-1 '''음'''}}} ||편||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piàn || || {{{-1 '''[[광동어]]'''}}} ||pin3 || || {{{-1 '''[[객가어]]'''}}} ||phien || || {{{-1 '''[[민북어]]'''}}} ||pi̿ng || || {{{-1 '''[[민동어]]'''}}} ||piéng || || {{{-1 '''[[민남어]]'''}}} ||phiàn || || {{{-1 '''[[오어]]'''}}} ||pi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ヘン}}} || || {{{-1 '''훈독'''}}} ||{{{#c88 かた-る, だま-す}}} || ||<-3> || ||<-2> '''[[베트남어]]''' ||phiến || [[유니코드]]에는 U+9A1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尸火竹尸月(SFHSB)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馬]](말 마)와 소리를 나타내는 [[扁]](작을 편)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騙取(편취)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유의자 == * [[誑]](속일 광) * [[詭]](속일 궤) * [[伋]](속일 급) * [[欺]](속일 기) * [[瞞]](속일 만) * [[誣]](속일 무) * [[詐]](속일 사) * [[賺]](속일 잠) * [[讒]](참소할 참) * [[詫]]/[[訑]](속일 타) * [[諼]](속일 훤) * [[譎]](속일 휼) == 반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斒]](얼룩얼룩할 반) * [[㞈]](클 발) * [[稨]](강낭콩 변) * [[㲢]](엉클어질 변) * [[㻞]](문채가 있는 모양 빈) * [[鶣]](가벼운 모양 편) * [[媥]](가벼울 편) * [[楄]](각목 편) * [[艑]](거룻배 편) * [[諞]](교묘히말할 편) * [[鍽]](금 편) * [[匾]](납작할 편) * [[遍]]/[[徧]](두루 편) * [[犏]](들소 편) * [[碥]](디딤돌 편) * [[䭏]](떡 편) * [[蝙]](박쥐 편) * [[鯿]](방어 편) * [[煸]](볶을 편) * [[蹁]](비틀거릴 편) * [[猵]](수달 편) * [[䡢]](수레 편) * [[糄]](쌀 변) * [[編]](엮을 편) * [[㼐]](오이 이름 편) * [[褊]](옷좁을 편) * [[甂]](자배기 변) * [[㾫]](중풍 편) * [[偏]](치우칠 편) * [[揙]](칠 편) * [[惼]](편협할 편) * [[牑]](평상 널 편)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