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面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 rd1=麪)]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面}}}낯 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面,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メン, {{{#c88 ベ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も, おもて, つら, {{{#c88 も}}}}}}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i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面-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面은 ''''낯 면''''이라는 [[한자]]로, '[[낯]]', '[[얼굴]]'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762에 배당되어 있다. [[중국어]]에서는 ([[밀가루]]) [[국수]]의 뜻을 지닌 '[[麪]]'의 [[간체자]]로 쓰인다. == 자형 == ||<:>[[파일:120px-面-seal.svg.png]]|| ||<:>소전체|| 머리를 의미하는 [[𦣻]]에 머리의 윤곽을 나타내는 외곽선으로 덮은 모양에서 왔다. == 용례 == === 1자 한자어 === "긍정적인 면", "신문 3면" 등의 예가 있다. 이 의미는 [[일본어]]에서도 쓰인다. 대한민국의 행정체계의 단위 중 하나로 사용된다. [[면(행정구역)]] 참조. [[수학]]에서는 [[3차원]]에서 입체를 둘러싸고 있는 경계를 뜻한다. 영어의 'face'와도 연관되는 것처럼 보인다. === [[단어]] === * [[가면]]([[假]]面/[[仮]]面) * [[가면무도회]]([[假]]面[[舞]][[蹈]][[會]]) * [[곡면]]([[曲]]面) * [[구면]]([[舊]]面) * [[구면]]([[球]]面) * [[국면]]([[局]]面) * [[단면]]([[斷]]面) * [[면적]](面[[積]]) * [[면적분]](面[[積]][[分]]) * [[면접]](面[[接]]) * 반면([[反]]面) * [[반정다면체]]([[半]][[正]][[多]]面[[體]]) * 양면([[兩]]面) * 양면성([[兩]]面[[性]]) * [[화전양면전술]]([[和]][[戰]][[兩]]面[[戰]][[術]]) * [[이면지]]([[裏]]面[[紙]]) * [[장면]]([[場]]面) * [[정다면체]]([[正]][[多]]面[[體]]) * [[정사면체]]([[正]][[四]]面[[體]]) * [[정육면체]]([[正]][[六]]面[[體]]) * [[정팔면체]]([[正]][[八]]面[[體]]) * [[정십이면체]]([[正]][[十]][[二]]面[[體]]) * [[정이십면체]]([[正]][[二]][[十]]面[[體]]) * [[정면]]([[正]]面) * [[준정다면체]]([[準]][[正]][[多]]面[[體]]) * [[육팔면체]]([[六]][[八]]面[[體]]) * [[십이이십면체]]([[十]][[二]][[二]][[十]]面[[體]]) * [[측면]]([[側]]面) * [[플레인|평면]]([[平]]面) * [[화면]]([[畫]]面) * [[진면목]]([[眞]]面[[目]]) === [[고사성어]]/[[숙어]] === * [[면종복배]](面[[從]][[腹]][[背]]) * [[반면교사]]([[反]]面[[敎]][[師]]) * [[사면초가]]([[四]]面[[楚]][[歌]]) * 타면자건([[唾]]面[[自]][[乾]]) === [[인명]] === * [[니주나나멘 센주무카데]]([[二]][[十]][[七]]面 [[千]][[手]][[百]][[足]]) * [[료멘스쿠나(주술회전)|료멘스쿠나]]([[両]]面[[宿]][[儺]]): [[주술회전]]의 등장인물 * [[멘도 슈타로]](面[[堂]] [[終]][[太]][[郎]]) * [[미나모 나오키]]([[水]]面 [[直]][[樹]]) * [[미츠메 야즈라]]([[三]]ツ[[目]] [[八]]面) * [[아멘 마코토]]([[亜]]面 [[真]][[琴]]) * [[야타부키 무기츠라]]([[矢]][[田]][[吹]] [[麦]]面) * [[카와츠라 신야]]([[川]]面 [[真]][[也]]) * [[하마즈라 시아게]]([[浜]]面 [[仕]][[上]]) === [[지명#s-2]] === * [[면목동]] * [[면목역]] * [[미노오카야노역]]([[箕]]面[[萱]][[野]][[駅]]) === [[창작물]] === * [[面影橋]]([[오모카게바시]]) * [[凹面黙示録]]([[요면묵시록]])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낯면부 강희자전 안에 176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66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얼굴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面|| ||5획||靤|| ||6획||靥|| ||7획||靦|| ||14획||靨||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낯면부 * 중국: [ruby(面部, ruby=miànbù)] * 일본: めん * 미국: Radical face == 유의자 == * [[顔]](얼굴 안) * [[容]](얼굴 용) [[분류: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