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靈}}}신령 령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雨|{{{#000,#fff 雨}}}]], 1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レイ, リ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たま, {{{#c88 たまし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í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靈은 ''''신령 령''''이라는 [[한자]]로, '[[신령]](神靈)', '[[망령]](妄靈)', '[[귀신]]'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74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一月口口一(MBRRM)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巫]](무당 무)와 음을 나타내는 [[霝]](비올 령)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무당([[巫]])이 기우제([[雨]])를 지내기 위해 동물의 머리 셋([[口]])을 바치고 있다'라고 외우곤 한다. 갑골문에서는 雨 밑에 口 3개가 나란히 있고 그 밑에 [[示]](보일 시)가 있는 형태로 나타나는데, 소전체에서 示가 巫로 변하면서 지금에 이르게 된 것. == 용례 == === [[단어]] === * [[망령]]([[亡]]靈/[[妄]]靈) * [[성령]]([[聖]]靈) * [[신령]]([[神]]靈) * [[영감]](靈[[感]]) * [[영령]]([[英]]靈) * [[영물]](靈[[物]]) * [[영지버섯]](靈[[芝]]버섯) * [[영혼]](靈[[魂]]) * 원령([[怨]]靈) * [[유령]]([[幽]]靈) * [[정령]]([[精]]靈) * [[지박령]]([[地]][[縛]]靈) * [[혼령]]([[魂]]靈) === [[고사성어]]/[[숙어]] === * 만물지령([[萬]][[物]][[之]]靈) * 전신전령([[全]][[身]][[全]]靈) * 허령불매([[虛]]靈[[不]][[昧]])[* [[성리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다. 사람의 [[마음]]은 텅 비어 있으면서도 오묘하며, 무엇이든 밝게 비추어본다는 뜻. 이는 불교의 [[공 사상]]을 떠올리게도 하는데, 이는 성리학이 성립될 당시 성리학자들이 불교의 일부 형이상학적 요소를 차용했기 때문이다.] * 화채선령([[畵]][[綵]][[仙]]靈) === [[인명]] === * [[레이겐 아라타카]](霊[[幻]] [[新]][[隆]]) * [[레이우지 우츠호]](霊[[烏]][[路]] [[空]]) * [[마령(수호전)|마령]]([[馬]]靈): [[수호전]]의 등장인물 * [[메이(오버워치)]]([[周]][[美]]靈) * [[미야데구치 미즈치]]([[宮]][[出]][[口]] [[瑞]]霊) * [[영충]](靈[[蟲]]) * [[응우옌띠엔린]]([[阮]][[進]]靈) * [[응우옌반린]]([[阮]][[文]]靈) * [[이령(호랑이형님)|이령]]([[犁]]靈) * [[장요령]]([[張]][[耀]]靈) * [[조무령왕]]([[趙]][[武]]靈[[王]]) * [[초영왕]]([[楚]]靈[[王]]) * [[하쿠레이 레이무]]([[博]][[麗]] 霊[[夢]]) === [[지명#s-2]] ===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靈[[通]][[區]])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이천리 영천(靈[[泉]])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군/행정#s-2.3|영산면]](靈[[山]][[面]]) * [[경상북도]] [[고령군]]([[高]]靈[[郡]]) * [[인천광역시]]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 [[영흥도|영흥면]](靈[[興]][[面]]) * [[전라남도]] [[영광군]](靈[[光]][[郡]]) * [[전라남도]] [[영암군]](靈[[巖]][[郡]])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靈[[仁]][[面]]) === [[창작물]] === * [[霊魂爆砕 -SOUL EXPLOSION-]] * [[동방신령묘]]([[東]][[方]][[神]]霊[[廟]]) * [[동방영이전]]([[東]][[方]]靈[[異]][[伝]]) * [[龍王の霊廟(Mausoleum Of The Primal Dragon)]]([[용왕의 영묘]]) * [[女]][[優]]靈([[여우령]]) === 기타 === * [[숭령전]]([[崇]]靈[[殿]]) * 영광김씨(靈[[光]][[金]][[氏]]) * [[정령정]]([[瀞]]靈[[廷]]) == 유의자 == * [[鬼]](귀신 귀) * [[魄]](넋 백) * [[魂]](넋 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霻]](뇌신 풍) [[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