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鍱}}}쇳조각 섭/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金|{{{#000,#fff 金}}}]],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000,#fff 미배정}}}}}}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88 yè}}}}}}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鍱는 '쇳조각 섭'[* 신자전 '쇠조각 셥', 국한문신옥편 '쇠뭉치 셥', 자전석요 '쇳조각 셥'] 또는 '쇳조각 엽'[* [[반절]] 與涉切, 자전석요 '鐷 쇳조각 엽']이라는 한자로, 얇고 넓게 편 쇳조각, 곧 [[판금]]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37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CPTD(金心廿木)으로 입력한다. 의미에 해당되는 [[金]]과 발음에 해당되는 [[枼]]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설문해자]]》에서 '[[판금]]([[鏶]])'을 뜻한다고 하였고, 《설문해자주》에서는 '금, 동, 철 덩어리를 얇게 펴 잎처럼 만든 것'이라고 풀이했다. '접시 접'이라는 훈음이 있는데 이는 [[국자(한자)|한국에서만 쓰이는 훈음]]으로 접시를 세는 단위를 쓰였다. [[이체자]]로 [[鐷]](U+9437, ⿰金葉), [[䥡]](U+4961, ⿰金牒)이 있다.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