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邱}}}언덕 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邑|{{{#000,#fff 邑}}}]],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キュ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i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邱는 '''언덕 구'''라는 한자다. == 상세 == [[유니코드]]로는 U+90B1, [[창힐수입법]]으로는 OMNL(人一弓中)이다. 뜻과 소리를 모두 나타내는 [[丘]](언덕 구)와 뜻을 나타내는 [[邑]](고을 읍)이 합친 형성자다. 이 한자는 원래 [[丘]]가 [[유교]]의 [[성인]] [[공자]]의 이름이기 때문에 이를 직접 사용하기를 꺼려([[피휘]]) 대신 만든 글자다. 이후 피휘 습관이 약해진 후에도 성이나 지명 등 몇몇 고유명사에서 관습적으로 丘 대신 邱를 쓰는 것이 정착되었다. 당초 邱를 간화방안에서 丘에 완전히 합병한 [[중국]]에서도 1988년(现代汉语通用字表) 이후로는 邱를 丘와 별개의 글자로 인식하여 간화하지 않고 그대로 쓴다. == 용례 == === [[단어]] === === [[인명]] === * [[추궈정]](邱[[國]][[正]]) === [[지명#s-2]] === * [[단구(전설)|단구]]([[丹]]邱) * [[대구광역시]]([[大]]邱[[広]][[域]][[市]]) * [[대구역]]([[大]]邱[[駅]]) * [[동대구역]]([[東]][[大]]邱[[駅]]) * [[덕구온천]]([[徳]]邱[[温]][[泉]]) * [[청구]]([[青]]邱)[* 青丘로도 쓴다.] * [[추가둥역]](邱[[隘]][[東]][[駅]]) === [[창작물]] === * [[청구야담]]([[青]]邱[[野]][[談]])[* 青丘野談으로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