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遇}}}만날 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辵|{{{#000,#fff 辵}}}]],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グ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う}}}}}}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遇는 ''''만날 우''''라는 [[한자]]로, '만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9047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WLB(卜田中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辵]](쉬엄쉬엄갈 착)과 음을 나타내는 [[禺]](긴꼬리원숭이 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객우([[客]]遇) * [[경우#s-1]]([[境]]遇) * 경우극([[境]]遇[[劇]]) * 경우([[景]]遇/[[慶]]遇) * 계우([[契]]遇) * 군우([[君]]遇) * 권우([[眷]]遇) * 궤우([[詭]]遇) * 기우([[奇]]遇) * 기우록([[奇]]遇[[錄]]) * 보은기우록([[報]][[恩]][[奇]]遇[[錄]]) * 냉우([[冷]]遇) * [[대우]]([[待]]遇) * 대우교수([[待]]遇[[敎]][[授]]) * 부대우([[不]][[待]]遇) * [[최혜국 대우]]([[最]][[惠]][[國]] [[待]]遇) * 박우([[薄]]遇) * 봉우([[逢]]遇) * 불우([[不]]遇) * 불우시([[不]]遇[[時]]) * 불우작가([[不]]遇[[作]][[家]]) * 조시불우([[遭]][[時]][[不]]遇) * 사우([[士]]遇) * 상우([[相]]遇) * 상우례([[相]]遇[[禮]]) * 상우([[賞]]遇) * 선우([[善]]遇) * 수우([[殊]]遇) * 언우([[彦]]遇) * 영우([[榮]]遇) * [[예우]]([[禮]]遇) * 전관예우([[前]][[官]][[禮]]遇) * 우둔(遇[[遯]]) * 우속(遇[[粟]]) * 우우([[優]]遇) * 우유(遇[[有]]) * 우지(遇[[知]]) * 우해(遇[[害]]) * 유우춘전([[柳]]遇[[春]][[傳]]) * 은우([[恩]]遇) * 응우([[應]]遇) * 일우([[一]]遇) * 접우([[接]]遇) * 제우([[際]]遇) * [[조우#s-1]]([[遭]]遇) * 조우전([[遭]]遇[[戰]]) * 지우([[知]]遇) * 처우([[處]]遇) * 균등처우([[均]][[等]][[處]]遇) * 총우([[寵]]遇) * 치우([[値]]遇) * 특우([[特]]遇) * 학우([[虐]]遇) * 혹우([[酷]]遇) * 회우([[會]]遇) * 후우([[厚]]遇) === [[고사성어]]/[[숙어]] === * 맹귀우목([[盲]][[龜]]遇[[木]]) * 불우지탄([[不]]遇[[之]][[歎]]) * 지우지감([[知]]遇[[之]][[感]]) * 차별대우([[差]][[別]][[待]]遇) * [[천재일우]]([[千]][[載]][[一]]遇) * 토매인우([[土]][[昧]][[人]]遇) === [[인명]] === * [[안우경]]([[安]]遇[[慶]])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만우동]]([[晚]]遇[[洞]])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遇[[古]][[里]]) === [[창작물]] === * [[우적가]](遇[[賊]][[歌]]) == 유의자 == * [[姤]]/[[遘]]/[[覯]](만날 구) * [[逢]](만날 봉) * [[遌]](만날 악) * [[晤]]/[[迕]](만날 오) * [[遭]](만날 조) * [[𡇶]]^^[⿱龴𡇞]^^(만날 합) * [[邂]](만날 해) * [[䢈]](만날 회/신) * [[逅]](만날 후) == 상대자 == * [[訣]](이별할 결) * [[離]](떠날 리) * [[別]](다를 별)[* '다르다'라는 뜻 외에 '헤어지다'라는 뜻이 있다. 예를 들어 [[이별]](離別).] * [[庍]](이별할 흔)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𣮨]]^^[⿺毛禺]^^(모직물 첩)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𥴪]]^^[⿱𥫗遇]^^(대그릇 구) * [[𢡎]]^^[⿰忄遇]^^ * [[𣜛]]^^[⿰木遇]^^ * [[𰽍]]^^[⿰金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