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謬}}}그르칠 류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言|{{{#000,#fff 言}}}]], 11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8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2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ビュウ}}}}}}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あやま-る}}}}}}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miù{{{#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謬는 ''''그르칠 류''''라는 [[한자]]로, '그르치다', '잘못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반절]]에 따르면 음은 '뮤'며, 일본어, 중국어 음도 이쪽에 가깝다. 이 음이 그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전래된다면 단모음화를 거쳐서 '무'가 되었어야 한다. 현재 통용되는 음 '류'는 [[속음]]으로, 성부인 [[翏]](높이날 료)에 이끌린 것 같다.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翏]](높이날 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B2C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RSMH(卜口尸一竹)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과류([[過]]謬) * 궐류([[闕]]謬) * [[귀류법]]([[歸]]謬[[法]]) * 무류([[無]]謬) * 사류([[邪]]謬) * 소류([[疏]]謬) * 습류([[襲]]謬) * [[오류]]([[誤]]謬) * [[논리적 오류]]([[論]][[理]][[的]] [[誤]]謬) * 와류([[訛]]謬) * 유견(謬[[見]]) * 유계(謬[[計]]/謬[[啓]]) * 유규(謬[[規]]) * 유례(謬[[例]]) * 유론(謬[[論]]) * 유산(謬[[算]]) * 유상(謬[[想]]) * 유설(謬[[說]]) * 유습(謬[[習]]) * 유오(謬[[誤]]) * 유와(謬[[訛]]) * 유우(謬[[迂]]) * 유전(謬[[傳]]) * 유점(謬[[玷]]) * 유촉(謬[[囑]]) * 유폐(謬[[弊]]) * 유혹(謬[[惑]]) * 착류([[錯]]謬) * 패류([[敗]]謬/[[悖]]謬) === [[고사성어]]/[[숙어]] === * 노어지류([[魯]]魚[[之]][[謬]])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이체자 == * 𧬶^^[⿰言⿱⿰⿹𠃌彡⿹𠃌彡㐱]^^(U+27B36) == 유의자 == * [[詿]](그르칠 괘) * [[誺]](그르칠 래) * [[誤]](그르칠 오) * [[讑]](그르칠 요) * [[諙]](그르칠 회) * [[𣱓]]^^[⿱𦥯氐]^^(그르칠 효) == 상대자 == * [[可]]/[[哿]](옳을 가) * [[是]](이/옳을 시) * [[韙]](옳을 위) * [[義]]/[[誼]](옳을 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㺒]](교활할 교)[* [[狡]](교활할 교)의 [[동자#s-2]]] * [[嘐]](깨물 교, 클 효) * [[𡀒]]^^[⿰号翏]^^(닭울 교) * [[轇]](시끄러울 교) * [[膠]](아교 교) * [[嵺]](우뚝솟을 교) * [[璆]](옥경쇠 구) * [[摎]](묶을 규) * [[樛]](휠 규) * [[𩌭]]^^[⿰革翏]^^(가죽질길 락)[* [[𩍪]](가죽질길 락)의 [[동자#s-2]]] * [[䵏]](누른빛 로) * [[嫪]](사모할 로) * [[豂]](골깊을 료) * [[𦗖]]^^[⿰耳翏]^^(귀울 료) * [[蹘]](달릴 료) * [[賿]](돈 료) * [[𪖷]]^^[⿰鼻翏]^^(들창코 료) * [[醪]](막걸리 료) * [[蟉]](머리흔들 료) * [[熮]](불타는모양 료/류) * [[髎]](엉덩이뼈 료) * [[憀]](의뢰할 료) * [[鏐]](금 류) * [[漻]](맑고깊은모양 류) * [[䚧]](뿔굽을 류) * [[𠗽]]^^[⿰冫翏]^^(얼어곱을 류) * [[𪅡]]^^[⿰鳥翏]^^(종달새 류)[* [[鷚]](종달새 류)의 [[동자#s-2]]] * [[疁]](화전 류) * [[磟]](농구이름 륙) * [[穋]](올벼 륙) * [[僇]](욕할 륙) * [[𣩍]]^^[⿰歹翏]^^(죽일 륙)[* [[鷚]](죽일 륙)의 [[속자]]] * [[繆]](얽을 무, 어그러질 류) * [[㬔]](어길 호) * [[𠓂]]^^[⿰光翏]^^ * [[𢄪]] * [[𪤗]] * [[𥉾]]^^[⿰目翏]^^ * [[𦑬]]^^[⿰中翏]^^ * [[𮖮]]^^[⿰衤翏]^^ * [[𮪙]]^^[⿰馬翏]^^ * [[𬵩]]^^[⿰魚翏]^^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