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5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調}}}고를 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言|{{{#000,#fff 言}}}]],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しら-べる, ととの-う, ととの-える,[br]{{{#c88 あざけ-る, みつぎ, やわ-らぐ}}}}}}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iào, tiá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調는 ''''고를 조''''라는 [[한자]]로, '고르다(평탄하다)', '조절(調節)하다', '조사(調査)하다', '가락' 등을 뜻한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2>고르다 || || {{{-1 '''음'''}}} ||<-2>조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tiáo ||diào || || {{{-1 '''[[광동어]]'''}}} ||tiu^^4^^ ||diu^^6^^ || || {{{-1 '''[[객가어]]'''}}} ||thiàu, thiau ||tiau || || {{{-1 '''[[민북어]]'''}}} ||dia̿u ||diāu || || {{{-1 '''[[민동어]]'''}}} ||dièu[* 일반적인 의미로 쓰일 때], dèu[* '맛을 내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 ||diêu || || {{{-1 '''[[민남어]]'''}}} ||tiâu ||tiāu, tiàu || || {{{-1 '''[[오어]]'''}}} ||diau (T3) ||diau (T3) || ||<-4> || ||<|2> '''[[일본어]]''' || {{{-1 '''음독'''}}} ||<-2>チョウ || || {{{-1 '''훈독'''}}} ||<-2>しら-べる, ととの-う, ととの-える,[br]{{{#c88 あざけ-る, みつぎ, やわ-らぐ}}} || ||<-4> || ||<-2> '''[[베트남어]]''' ||điều ||điệu || [[유니코드]]에는 U+8AB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RBGR(卜口月土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周]](두루 주)가 합쳐진 [[형성자]]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조절하다', '섞다', '조화' 등의 뜻으로 쓰일 때는 [[사성|평성]](平聲)으로, '고르다', '가락' 등의 의미로 쓰일 때는 [[사성|거성]](去聲)으로 읽는다. 이밖의 파생된 나머지 뜻에 대해서는 방언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調査('조사하다')의 경우, 표준중국어에서는 거성(4성)으로 읽지만, 광동어, 대만 객가어, 대만어에서는 평성으로 읽는 게 표준이고 비표준으로 거성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강조]]([[強]]調) * 강조화([[強]]調[[化]]) * [[고조]]([[高]]調) * 최고조([[最]][[高]]調) * 곡조([[曲]]調) * 기조([[基]]調) * 난조([[亂]]調) * 논조([[論]]調) * [[단조]]([[單]]調) * [[강단조증가변환]]([[強]][[單]]調[[增]][[加]][[變]][[換]]) * [[동조]]([[同]]調) * [[동조자]]([[同]]調[[者]]) * 동조적([[同]]調[[的]]) * [[동조적 효용함수]]([[同]]調[[的]] [[效]][[用]][[函]][[數]]) * 명령조([[命]][[令]]調) * [[변조]]([[變]]調) * 색조([[色]]調) * [[성조]]([[聲]]調) * [[순조]]([[順]]調) * [[시조]]([[時]]調) * 각시조([[刻]][[時]]調) * 경판시조([[京]][[版]][[時]]調) * 계락시조([[界]][[樂]][[時]]調) * 낙시조([[樂]][[時]]調) * 연시조([[聯]][[時]]調) * 연형시조([[聯]][[形]][[時]]調) * [[평시조]]([[平]][[時]]調) * 어조([[語]]調) * 역조([[逆]]調) * 음조([[音]]調) * [[활음조 현상]]([[滑]][[音]]調 [[現]][[象]]) * [[장조]]([[長]]調) * 저조([[低]]調) * [[전조]]([[轉]]調) * 절조([[絶]]調) * [[정조]]([[情]]調) * 제조([[提]]調) * [[조달]](調[[達]]) * [[조련]](調[[練]]) * [[조련사]](調[[練]][[師]]) * [[조리]](調[[理]]) * 조리법(調[[理]][[法]]) * [[조미]](調[[味]]) * [[조미료]](調[[味]][[料]]) * [[조사]](調[[査]]) * 가계조사([[家]][[計]]調[[査]]) * 간접조사([[間]][[接]]調[[査]]) * [[국정조사]]([[國]][[政]]調[[査]]) * [[세무조사]]([[稅]][[務]]調[[査]]) * 시장조사([[市]][[場]]調[[査]]) * 실태조사([[實]][[態]]調[[査]]) * [[여론조사]]([[輿]][[論]]調[[査]]) * 재조사([[再]]調[[査]]) * 조사국(調[[査]][[局]]) * 조사단(調[[査]][[團]]) * 조사위원회(調[[査]][[委]][[員]][[會]]) * [[조서(법률)|조서]](調[[書]]) * [[조율]](調[[律]]) * [[조율사]](調[[律]][[師]]) * [[조인]](調[[印]]) * [[조절]](調[[節]]) * [[조정]](調[[停]]) * 가사조정([[家]][[事]]調[[停]]) * [[강제조정]]([[強]][[制]]調[[停]]) * 농사조정([[農]][[事]]調[[停]]) * [[조정]](調[[整]]) * 가압조정([[加]][[壓]]調[[整]]) * 거중조정([[居]][[中]]調[[整]]) * [[구조조정]]([[構]][[造]]調[[整]]) * 재조정([[再]]調[[整]]) * [[조제]](調[[劑]]) * [[조치]](調[[治]]) * [[조합]](調[[合]]) * [[조화]](調[[和]]) * 공기조화([[空]][[氣]]調[[和]]) * [[모음조화]]([[母]][[音]]調[[和]]) * 부조화([[不]]調[[和]]) * [[주조]]([[主]]調) * 쾌조([[快]]調) * 협조([[協]]調) * 호광조([[湖]][[廣]]調) * [[호조#好調]]([[好]]調) * 희롱조([[戱]][[弄]]調) === [[고사성어]]/[[숙어]] === * 고조독탄([[古]]調[[獨]][[彈]]) * 음양부조([[陰]][[陽]][[不]]調) * 이대동조([[異]][[代]][[同]]調) * 이세동조([[異]][[世]][[同]]調) * 조과지도(調[[過]][[之]][[道]]) * 조어장부(調[[御]][[丈]][[夫]]) === [[인명]] === * [[소윤(양나라)|소세조]]([[蕭]][[世]]調) * [[시라베 아코]](調[[辺]] アコ) * [[시라베 오토키치]](調[[辺]] [[音]][[吉]]) * [[츠카츠키 리오]](調[[月]] リオ) * [[츠쿠요미 시라베]]([[月]][[読]] 調) === [[지명#s-2]] === * [[덴엔쵸후역]]([[田]][[園]]調[[布]][[駅]]) * [[쵸후시]](調[[布]][[市]]) === [[창작물]] === * [[水簾ノ調]] * [[嗜好に関する世論調査]] === 기타 === * [[분조장]]([[憤]]調[[障]]) * [[여론조사|여조]]([[輿]]調): [[여론조사]]의 준말 * [[조사병단]](調[[査]][[兵]][[団]]) == 유의자 == * [[均]](고를 균) * [[侔]](가지런할 모) * [[㽦]]/[[𣌨]]^^[⿰申匀]^^(고를 순) * [[整]](가지런할 정) * [[齊]](가지런할 제) * [[傭]](고를 충)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禂]](빌 도) * [[𦩍]]^^[⿰舟周]^^(작은배 도, 배이름 초) * [[𩋙]]^^[⿰革周]^^(깃대의싸개 조) * [[鯛]](도미 조) * [[碉]](돌집 조) * [[㚋]](많을 조) * [[蜩]](매미 조) * [[啁]](비웃을 조, 새소리 주) * [[稠]](빽빽할 조) * [[㟘]](산모양 조) * [[錭]](새길 조) * [[凋]](시들 조) * [[琱]](아로새길 조) * [[𩈮]]^^[⿰面周]^^(익힐 조) * [[㨄]](찌를 조) * [[徟]](가는모양 주) * [[𥺝]]^^[⿰米周]^^(경단 주) * [[䎻]](귀 주) * [[輖]](낮을 주) * [[淍]](물돌릴 주) * [[皗]](밝을 주) * [[𧇟]]^^[⿰虎周]^^(범길든모양 주) * [[綢]](빽빽할 주) * [[騆]](신마 주) * [[婤]](얼굴얌전할 주) * [[椆]](영수목 주) * [[𧣷]]^^[⿰角周]^^(용의뿔 주) * [[賙]](진휼할 주) * [[𧳜]]^^[⿰豸周]^^(짐승이름 주) * [[䧓]](큰언덕모양 주) * [[晭]](햇빛 주) * [[裯]](홑이불 주, 소매 도) * [[𢃖]]^^[⿰巾周]^^(휘장 주) * [[倜]](얽매이지않을 척) * [[睭]](깊을 추/주) * [[𨡑]]^^[⿰酉周]^^(술이름 추) * [[惆]](실심할 추) * [[𧮻]]^^[⿰谷周]^^(골짜기가큰모양 효) * [[𡕐]]^^[⿰壽周]^^/[[𨉜]]^^[⿰身周]^^(주) * [[𡥱]]^^[⿰子周]^^ * [[𫮀]]^^[⿰土周]^^ * [[𪸼]]^^[⿰火周]^^ * [[𬛅]]^^[⿰⺼周]^^ * [[𥏨]]^^[⿰矢周]^^ * [[𬎹]]^^[⿰生周]^^ * [[𦈺]]^^[⿰缶周]^^ * [[𨂊]] * [[𧯼]]^^[⿰壴周]^^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𤂂]]^^[⿰氵調]^^(씻을 척)[* [[滌]](씻을 척)의 [[동자#s-2]]] * [[𭌄]]^^[⿰口調]^^ * [[𢸛]]^^[⿰扌調]^^ * [[𥶏]]^^[⿱𥫗調]^^ * [[𧞴]]^^[⿱衣調]^^ == 여담 == * [[마법천자문]]에서 이 글자를 '선택하다'라는 의미로 잘못 설명한 바가 있었다. 훈이 '고르다'이다 보니 '균등하다'와 '선택하다'를 헷갈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