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言}}}말씀 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言,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ゲン, ゴ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い-う, こと, {{{#c88 ことば}}}}}}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言-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言은 ''''말씀 언''''이라는 [[한자]]로, '말씀', '[[언어]](言語)'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말씀 || || {{{-1 '''음'''}}} ||언 || ||<-3> || ||<|10>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yán || || {{{-1 '''[[광동어]]'''}}} ||jin^^4^^ || || {{{-1 '''감어'''}}} ||nyien4 || || {{{-1 '''[[객가어]]'''}}} ||ngièn / ngiàn || || {{{-1 '''진어'''}}} ||ie1 || || {{{-1 '''민북어'''}}} ||ngṳ̂ing || || {{{-1 '''민동어'''}}} ||ngiòng || || {{{-1 '''[[민남어]]'''}}} ||giân / gân || || {{{-1 '''[[오어]]'''}}} ||hhi (T3) || || {{{-1 '''상어'''}}} ||ienn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ゲン, ゴン || || {{{-1 '''훈독'''}}} ||い-う, こと, {{{#c88 ことば}}} || ||<-3> || ||<-2> '''[[베트남어]]''' ||ngân || [[유니코드]]에는 U+8A0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一一口(YMMR)로, [[주음부호]]로는 ㄧㄢˊ로 입력한다. '말씀 언'이라는 훈음이 대표적이나 '화기애애할 은'이라는 훈음도 있다. 근데 어째서인지 [[완성형/중복 한자|완성형 한자]]에 중복 배당되지는 않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8%A8%80-oracl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8%A8%80-bronz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8%A8%80-bigseal.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8%A8%80-seal.svg.png|bgcolor=#ffffff]] 言은 입(口)에서 소리가 나오는 모습을 상형화한 [[상형자]]이다. 그런데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䇂]](허물 건)이 합쳐진 [[형성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䇂을 소리가 아닌 송곳[* 이를 두고, 본래 상나라 사람들이 섬기던 조상신([[帝]])에 대해 [[혀]]를 걸고 하던 맹세를 뜻하던 글자가 점차 의미가 확장되었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이나 [[관악기]]로 보는 의견도 있다. 사람이나 글꼴에 따라서 첫 획을 一과 같이 적는 경우도 있고, 45도로 기울여서 적는 경우도 있는데, 어떻게 쓰든 큰 상관은 없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一과 같이 적는 게 일반적이지만, 중국어권에서는 45도로 기울여서 적는 게 일반적이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말씀언부의 제부수자이다. 말씀언부는 [[강희자전]]에서 149번째로 분류하는 부수로, 변[* 글자의 좌측에 위치한 부수로, 여기에 해당하는 한자는 記(기록할 기), 試(시험할 시) 등이 있다.], 발[* 글자의 하단에 위치한 부수로, 여기에 해당하는 한자는 警(경계할 경) 등이 있다.] 등의 부수형태가 있는데, 가장 많은 형태는 변(訁)이다. 말씀언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는 861개나 되므로 주요 부수 중 하나로 손꼽힌다. 말씀언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대체로 언어를 통해 하는 행동이나 언어적인 무언가와 관련된 의미를 지녔다. [[訂]](바로잡을 정), [[訓]](가르칠 훈), [[記]](기록할 기), [[語]](말씀 어), [[說]]/説[* [[홍콩]], 신자형(新字形), [[일본]] 한정.](말씀 설), [[話]](말씀 화), [[誦]](외울 송), [[詞]](말 사), [[訴]](하소연할 소), [[訥]](말더듬거릴 눌), [[詩]](시 시), [[證]](증거 증), [[論]](논의할 론) 등등. 입 구(口)를 부수로 하는 한자에도 말을 나타내는 단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부 한자에서 동자로 쓰이기도 한다. [[간체자]]에서 言 자체는 간략화되지 않았지만 말씀언변은 전부 讠로 바뀌었다. == 용례 == === [[단어]] === * 간언([[諫]]言) * [[격언]]([[格]]言) * [[고언]]([[告]]言/[[苦]]言) * 과언([[過]]言) * 공언([[公]]言) * 단언([[斷]]言) * [[독립언]]([[獨]][[立]]言) * [[망언]]([[妄]]言) * [[명언]]([[名]]言) * 무언([[無]]言) * [[발언]]([[發]]言) * [[방언]]([[方]]言) * [[선언]]([[宣]]言) * 공동선언([[共]][[同]][[宣]]言) *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 * 선언문([[宣]]言[[文]]) * [[세계인권선언]]([[世]][[界]][[人]][[權]][[宣]]言) * [[수식언]]([[修]][[飾]]言) * [[언급]](言[[及]]) * 언동(言[[動]]) * [[언론]](言[[論]]) * 언론계(言[[論]][[界]]) * [[언론사]](言[[論]][[社]]) * [[언론인]](言[[論]][[人]]) * [[언변]](言[[辯]]) * 언사(言[[辭]]) * 언설(言[[舌]]) * 언술(言[[述]]) * [[언어]](言[[語]]) * [[소멸위기언어]]([[消]][[滅]][[危]][[機]]言[[語]]) * [[언어학]](言[[語]][[學]]) * [[언쟁]](言[[爭]]) * 언중(言[[衆]]) * 언질(言[[質]]) * 언행(言[[行]]) * [[예언]]([[豫]]言) * [[예언자]]([[豫]]言[[者]]) * [[용언#s-1|용언]]([[用]]言) * [[유언]]([[遺]]言) * [[잠언]]([[箴]]言) * 제언([[提]]言) * [[조언]]([[助]]言) * [[증언]]([[證]]言) * [[진언]]([[眞]]言) * 참언([[讒]]言/[[讖]]言) * [[청구영언]]([[靑]][[丘]][[永]]言) * [[체언]]([[體]]言) * 충언([[忠]]言) * 탄언([[誕]]言) * [[폭언]]([[暴]]言) * [[허언]]([[虛]]言) * [[허언증]]([[虛]][[言]][[證]]) === [[고사성어]]/[[숙어]] === * [[감언이설]]([[甘]]言[[利]][[說]]) * [[교언영색]]([[巧]]言[[令]][[色]]) * 삼사일언([[三]][[思]][[一]]言) * [[식언]]([[食]]言) * 신언서판([[身]]言[[書]][[判]]) * 언거언래(言[[去]]言[[來]]) * [[언중유골]](言[[中]][[有]][[骨]]) * 언중유언(言[[中]]有[[言]]) * [[언행일치]](言[[行]][[一]][[致]]) * [[언행불일치]](言[[行]][[不]][[一]][[致]]) * 유구무언([[有]][[口]][[無]]言) * [[유언비어]]([[流]]言[[蜚]][[語]]) * [[일구이언]]([[一]][[口]][[二]]言) * 중언부언([[重]]言[[復]]言) * 지언거언([[至]]言[[去]]言) * [[충언역이]]([[忠]]言[[逆]][[耳]]) * 함구무언([[緘]][[口]][[無]]言) * 호구참언([[虎]][[口]][[讒]]言) * 호언장담([[豪]]言[[壯]][[談]]) === [[인명]] === * 성이 언(言)씨인 사람 * [[언언]](言[[偃]]) * [[김경언]]([[金]][[京]]言) * 김심언([[金]][[審]]言): [[고려]]의 명신 * [[동성자언]]([[東]][[城]][[子]]言) * [[세이 쇼나곤]]([[淸]] [[少]][[納]]言) * [[시시메 이이히코]]([[獅]][[子]][[目]] 言[[彦]]) * [[오근언]]([[吴]][[谨]]言) * [[이언#s-1|이언]]([[李]]言): 본명은 아님. * 이언정([[李]]言[[貞]]): [[모델]] * 이창언([[李]][[昌]]言): [[당나라]]의 [[군벌]] * [[이총언]]([[李]][[悤]]言) * [[이희언]]([[李]][[禧]]言) * [[카츠라 코토노하]]([[桂]] 言[[葉]]) * [[코토미네 키레이]](言[[峰]] [[綺]][[礼]]) * [[홍잠언]]([[洪]][[箴]]言) === [[지명#s-2]] === === [[창작물]] === * [[鬼言集]] * [[ゼッタイ宣言〜Recital〜]] * [[ピアノ独奏無言歌 "灰燼"]] * 私、能力は平均値でって言ったよね!([[저, 능력은 평균치로 해달라고 말했잖아요!]]) * [[完全放棄宣言]]([[완전포기선언]]) * [[愛言葉]] === 기타 === * [[언급 금지|언금]](言[[禁]]) * [[언매]](言[[媒]]) * [[언수외]](言[[數]][[外]]) == 유의자 == * [[談]], [[譚]](말씀 담) * [[辯]](말씀 변) * [[詞]](말 사) * [[辭]](말씀 사) * [[說]](말씀 설) * [[語]](말씀 어) * [[話]](말씀 화) == 여담 == 言을 두 개 합치면 [[誩]](말다툼할 경), 세 개 합치면 [[譶]](유창할 답)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