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袂}}}소매 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衣|{{{#000,#fff 衣}}}]],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ベ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たもと}}}}}}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è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袂는 ''''소매 몌''''라는 [[한자]]로, '[[소매]]'를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衣]](옷 의)와 소리를 나타내는 [[夬]](괘이름/결단할 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888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中木大(LDK)로 입력한다. 옷의 소매를 뜻하는 글자로 음이 매우 특이한 글자이다. 한국 한자음에서 음이 '몌'인 한자는 袂(소매 몌),櫗(가늘고 긴 모양 몌)[* 비틀리다 라는 뜻일 때는 '''멸'''임], 𤽃^^[⿱白川]^^(천 귀퉁이 몌) 등 석 자밖에 없다. 그 중에서도 나머지 두 글자는 벽자이므로[* 각각 확장 한자 A, 확장 한자 B] 상용한자의 범주 안에는 袂만 남는다. 북한에서는 '메'로 표기한다.[* 북한에서 과거 몌, 폐로 읽던 한자의 음을 메, 페로 통일하였기 때문. 이외에 남북의 한자음이 다른 예로 揭, 憩, 偈(남:게/북:계), 醵(남:갹/북:거), 歪(남:왜/북:외)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소매라는 뜻 이외에도 기슭이나 변두리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민남어]]에서는 '할 수 없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𣍐(⿰勿會)가 쓰기 까다롭기 때문에 대체자로서 발음이 같은 이 자를 많이 사용한다. == 용례 == === [[단어]] === * 몌별(袂[[別]]) * 분몌([[分]]袂) * 연몌([[連]]袂) * 의몌([[衣]]袂)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鴃]](왜가리 격) * [[決]](결단할 결) * [[决]](결단할 결, 빠를 혈) * [[𢎹]](깍지 결) * [[䀗]](눈병 결, 놀라서볼 혈) * [[趹]](달릴 결) * [[㹟]](달아날 결, 교활할 쾌) * [[抉]](도려낼 결) * [[砄]](돌 결) * [[䦼]](무너질 결, 땅갈라질 벽) * [[駃]](버새 결, 달릴 쾌) * [[炔]](불타기시작할 결, 연기나는모양 계) * [[觖]](서운해할 결, 바랄 기) * [[𢁪]](수건 결) * [[䊽]](실오리 결/괴) * [[蚗]](쓰르라미 결) * [[訣]](이별할 결) * [[缺]]/[[𥁍]][[𧖫]](이지러질 결) * [[𣅡]](일식할 결) * [[㭈]](주발 결) * [[鈌]](찌를 결/열/계) * [[玦]](패옥 결) * [[䏐]](항문 결/계) * [[𣧎]](고달플 계) * [[𤰮]](지름길 계) * [[块]](흙덩이 괴)[* [[塊]](흙덩이 괴)의 [[간체자]]] * [[𪌊]](누룩 얼) * [[妜]](콧날 열, 아름다울 결) * [[快]](쾌할 쾌) * [[𦐍]](나는모양 혈) * [[吷]](작은소리 혈, 마실 철, 새소리 결) * [[䘧]](앙) * [[𪺧]] * [[𥝭]] * [[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