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사운드트랙)] [include(틀:푸른 뇌정 건볼트)] [include(틀: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주제가)] ||<-2> '''{{{#white 藍の運命 / Indigo Destiny}}}''' || || '''{{{#white 모르포[br](꿈결의 푸른빛 -into the blue-)}}}''' || '''{{{#white RoRo[br](ELECT}}}{{{#FFDD00 RO RO}}}{{{#white TATIO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NB0UzJ0-Qk)]}}}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v6XaSethTU)]}}} || [목차] == 개요 == [[푸른 뇌정 건볼트 爪]]의 주제가. [[푸른 뇌정 건볼트|전작]]의 [[蒼の彼方]]처럼 곡 제목에 색이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쪽빛 운명]] 정도가 되지만, 한글판에서는 [[푸른 운명]]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작명 방식은 [[Gunvolt Chronicles: Luminous Avenger iX|하얀 강철의 X THE OUT OF GUNVOLT]]의 주제가인 [[白銀の約束]]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곡의 제목에 들어가는 쪽 람(藍)의 훈독이 사랑 애(愛)의 음독과 같은 '[ruby(あい, ruby=아이)]'이다. == 상세 == 게임 내에 삽입된 [[시안(푸른 뇌정 건볼트)|시안]]([[모르포]])과 [[RoRo(푸른 뇌정 건볼트)|RoRo]]의 노래 중 하나로, 실제로 부른 인물은 두 캐릭터의 담당 성우인 [[사쿠라가와 메구]]와 [[엔도 유리카]]이다. 두 사람이 각각 부른 버전과 같이 부른 듀엣 버전으로 나뉘는데, 이 중 듀엣 버전의 기타 어레인지는 [[Godspeed]]가 맡았다. || '''{{{#white -듀엣 버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ScaoJG0oXE)]}}} || [[蒼の彼方]]와 마찬가지로 [[푸른 뇌정 건볼트 爪]] 관련 트레일러에서 자주 재생된 곡이며, [[푸른 뇌정 건볼트 스트라이커 팩]] [[https://www.youtube.com/watch?v=J-koHipOVE4|3DS 버전의 트레일러]]는 아예 蒼の彼方부터 시작해서 이 곡의 듀엣 버전으로 끝난다. 게임 내에서는 오프닝 스테이지와 스페셜 미션 5를 플레이하는 도중에 쿠도스를 1000 포인트 이상 누적하면 들을 수 있다.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건볼트]]라면 비천 내부, [[아큐라(푸른 뇌정 건볼트)|아큐라]]의 경우 빌딩가가 오프닝 스테이지에 해당한다. 이때 사용된 트랙은 푸른 뇌정 건볼트 爪 사운드트랙에도 수록되어 있으며, 각각 디스크 A(시안의 노래)와 디스크 B(RoRo의 노래)에서 찾아볼 수 있다. 풀 코러스 버전과 가라오케 버전은 제각기 다른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데, 각각의 버전이 포함된 앨범을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다. ||<-3> '''{{{#white 상세}}}''' || || '''{{{#white 아티스트}}}''' || '''{{{#white 버전}}}''' || '''{{{#white 수록 앨범}}}''' || ||<|2> [[모르포]] || 풀 코러스 || 꿈결의 푸른빛 || || 가라오케 버전 || 낙원광소곡 || ||<|2> [[RoRo(푸른 뇌정 건볼트)|RoRo]] || 풀 코러스 || ELECTRO ROTATION || || 가라오케 버전 || 기계장치의 덧없는 꿈 || 정작 트레일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듀엣 버전은 트레일러를 벗어나는 순간 비중이 급락한다. [[https://twitter.com/ippo_yamada/status/1318569080727597057|애당초 1절만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동안 발매된 어떤 앨범에도 풀 코러스가 수록되기는커녕, 그나마 녹음된 부분의 가사조차 공개되지 않았다. 심지어 게임 내에서는 이 곡이 '''[[진 최종 보스]]전의 BGM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진 엔딩 직전까지 가야 겨우 들을 수가 있는 형편이다. 참고로 진 엔딩의 미션을 진행하면 진 최종 보스와 총 두 번의 전투를 벌이게 되는데, 2차전이 시작될 때 송 오브 디바가 발동되면서 보스가 각성한다. || '''{{{#white -2018 REMI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B3gJPErl9A)]}}} || [[푸른 뇌정 건볼트]]ㆍ푸른 뇌정 건볼트 爪 오피셜 컴플리트 워크스에 동봉된 'MORPHO SONG RE-COLLECTION -2018 REMIX-'의 4번 트랙이 이 곡의 리믹스이다. == 가사 == ||<:> {{{#0000ff 空が落ちて騒ぎ出した}}} ,,소라가 오치테 사와기다시타,, 하늘이 무너지며 동요하고 있어. {{{#0000ff 世界の片隅で}}} ,,세카이노 카타스미데,, 세상의 한쪽 구석에서. {{{#0000ff 静かに藍を織りなす糸}}} ,,시즈카니 아이오 오리나스 이토,, 조용히 쪽빛을 자아내는 실이 {{{#0000ff 生命縫い止めて}}} ,,이노치 누이토메테,, 생명을 꿰매고. {{{#0000ff いまこうして生まれ変わる}}} ,,이마 코우시테 우마레카와루,, 지금 이렇게 다시 태어난 {{{#0000ff ふたりの運命は}}} ,,후타리노 운메이와,, 두 사람의 운명은 {{{#0000ff 朽ち果て消えゆくその日まで}}} ,,쿠치하테 키에유쿠 소노 히마데,, 썩어 문드러져 사라지는 그날까지 {{{#0000ff たとえ苦しんでも}}} ,,타토에 쿠루신데모,, 설령 괴롭더라도 {{{#0000ff 今は見えなくても}}} ,,이마와 미에나쿠테모,, 지금은 보이지 않더라도. {{{#0000ff 熱を帯びて 壊れた町は}}} ,,네츠오 오비테 코와레타 마치와,, 열을 띠며 무너진 거리는 {{{#0000ff 昼と夜の 狭間を[ruby(暈, ruby=ぼか)]す}}} ,,히루토 요루노 하자마오 보카스,, 낮과 밤의 경계를 어지럽히고. {{{#0000ff あの日 君は 右手を掲げ}}} ,,아노 히 키미와 미기테오 카카게,, 그날 너는 오른손을 들고 {{{#0000ff 高く振った 見え無くなるまで}}} ,,타카쿠 훗타 미에나쿠 나루마데,, 보이지 않을 때까지 높이 흔들었어. {{{#0000ff 彷徨い 悩んで 辿り着いた在り処}}} ,,사마요이 나얀데 타도리츠이타 아리카,, 방황과 고민 끝에 도착한 곳은 {{{#0000ff [ruby(現世, ruby=うつしよ)]の幻影}}} ,,우츠시요노 겐에이,, 현세의 환영. {{{#0000ff 飛ばせ 消えゆく果てへ}}} ,,토바세 키에유쿠 하테에,, 날려 버려, 사라져 가는 끝을 향해. {{{#0000ff 撃ち抜いた暗黒も}}} ,,우치누이타 안코쿠모,, 꿰뚫었던 암흑도 {{{#0000ff 忘れ去り 眠れ}}} ,,와스레사리 네무레,, 잊어버린 채 잠들어. {{{#0000ff いま再び 巡り会えた}}} ,,이마 후타타비 메구리 아에타,, 지금 다시 만났어. {{{#0000ff 世界の傍らで}}} ,,세카이노 카타와라데,, 세계의 옆쪽에서. {{{#0000ff いつかは藍に変わるからと}}} ,,이츠카 아이니 카와루카라토,, 언젠가 쪽빛으로 바뀐다 하더라도 {{{#0000ff 空を抱きとめて}}} ,,소라오 다키토메테,, 하늘을 끌어안고. {{{#0000ff またこうして 走り出した}}} ,,마다 코우시테 하시리다시타,, 다시 이렇게 달리기 시작한 {{{#0000ff ふたりの運命は}}} ,,후타리노 운메이와,, 두 사람의 운명은 {{{#0000ff 朽ち果て消えゆくその日まで}}} ,,쿠치하테 키에유쿠 소노 히마데,, 썩어 문드러져 사라지는 그날까지 {{{#0000ff たとえ失っても}}} ,,타토에 우시낫테모,, 설령 잃어버린다 해도 {{{#0000ff いまは遠すぎても}}} ,,이마와 토오스기테모,, 지금은 너무 멀더라도. {{{#0000ff めくる めいた 記憶 咲いて}}} ,,메쿠루 메이타 키오쿠 사이테,, 아찔했던 기억이 피어나더니 {{{#0000ff 螺旋 描き 鮮やかになる}}} ,,라센 에가키 아자야카니 나루,, 나선을 그리며 선명해지고. {{{#0000ff いつか 還る 時は 来るの}}} ,,이츠카 카에루 토키와 쿠루노,, 언젠가 돌아갈 때가 올 거야. {{{#0000ff 雫 落ちて 波紋のように 広がってゆく}}} ,,시즈쿠 오치테 하몬노 요우니 히로갓테유쿠,, 물방울이 떨어지며 파문처럼 퍼져 나가. {{{#0000ff 扉 開け放ち 駆け出した 鼓動}}} ,,토비라 아케하나치 카케다시타 코도우,, 문을 열어젖히고 뛰기 시작한 고동. {{{#0000ff すべて 透き通る そして 終焉の日}}} ,,스베테 스키토오루 소시테 슈우엔노 히,, 모든 것이 투명해지고 종언의 날이 와. {{{#0000ff 輝く礎の導き 遥か}}} ,,카가야쿠 이시즈에노 미치비키 하루카,, 빛나는 초석의 인도가 아득히. {{{#0000ff 風が吹いて 季節は巡り}}} ,,카제가 후이테 키세츠와 메구리,, 바람이 불고 계절은 반복되지. {{{#0000ff 過去と[ruby(現在, ruby=いま)]の 隙間を隠す}}} ,,카코토 이마노 스키마오 카쿠스,, 과거와 지금의 경계를 감추고. {{{#0000ff あの日 君は 何も言えずに}}} ,,아노 히 키미와 나니모 이에즈니,, 그날 너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0000ff 背中見せて 歩いて行ったの}}} ,,세나카 미세테 아루이테잇타노,, 등을 보이며 걸어갔어. {{{#0000ff 往き交い 迷って 誘われ来た在り処}}} ,,유키카이 마욧테 사소와레키타 아리카,, 이리저리 해매다가 이끌린 곳은 {{{#0000ff [ruby(現世, ruby=うつしよ)]の幻影}}} ,,우츠시요노 겐에이,, 현세의 환영. {{{#0000ff 飛ばせ 凍てつく果てへ}}} ,,토바세 이테츠쿠 하테에,, 날려 버려, 얼어붙은 끝을 향해. {{{#0000ff 撃ち抜いた 暗黒も}}} ,,우치누이타 안코쿠모,, 꿰뚫었던 암흑도 {{{#0000ff 泣き濡れた 善悪も}}} ,,나키누레타 젠아쿠모,, 눈물 젖은 선악도 {{{#0000ff 括られた 怒りさえ}}} ,,쿠쿠라레타 이카리사에,, 속박된 분노조차 {{{#0000ff 忘れ去り 眠れ}}} ,,와스레사리 네무레,, 잊어버린 채 잠들어. {{{#0000ff 永遠より長い今を}}} ,,에이엔요리 나가이 이마오,, 영원보다 긴 지금을 {{{#0000ff 世界は思い出す}}} ,,세카이와 오모이다스,, 세계가 떠올리고 있어. {{{#0000ff 染め抜く藍を見つけるのは}}} ,,소메누쿠 아이오 미츠케루노와,, 물든 쪽빛을 찾아내는 것은 {{{#0000ff 空を渡る歌}}} ,,소라오 와타루 우타,, 하늘을 가로지르는 노래. {{{#0000ff まだこうして 光褪せぬ}}} ,,마다 코우시테 히카리 아세누,, 아직 이렇게 빛이 바래지 않은 {{{#0000ff 二人の運命は}}} ,,후타리노 운메이와,, 두 사람의 운명은 {{{#0000ff 朽ち果て消えゆくその日さえ}}} ,,쿠치하테 키에유쿠 소노 히사에,, 썩어 문드러져 사라지는 그날까지도 {{{#0000ff きっと響き渡る}}} ,,킷토 히비키와타루,, 분명 울려 퍼질 거야. {{{#0000ff ずっと離さないで}}} ,,즛토 하나사나이데,, 영원히 놓지 말아 줘. {{{#0000ff 口を 閉ざす 種も やがて}}} ,,쿠치오 토자스 타네모 야가테,, 입을 다물면 씨앗도 머지않아 {{{#0000ff 海を 渡り 辿り着くはず}}} ,,우미오 와타리 타도리츠쿠 하즈,, 바다 건너 다다를 테니. {{{#0000ff いつか 分かる 時が 来るわ}}} ,,이츠카 와카루 토키가 쿠루와,, 언젠가 깨달을 때가 올 거야. {{{#0000ff 夜を 照らし 覚悟のように 咲き誇る藍}}} ,,요루오 테라시 카쿠고노 요우니 사키호코루 아이,, 밤을 밝히며 각오하듯이 만발하는 쪽빛. {{{#0000ff 咲き誇る藍...}}} ,,사키호코루 아이,, 만발하는 쪽빛... || [각주] [[분류:푸른 뇌정 건볼트 爪]][[분류:게임 음악]][[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