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8급 한자]][[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십진수)] [include(틀:숫자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萬}}}일만 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マン, バ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よろず}}}}}}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w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萬획순.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萬은 ''''일만 만''''이라는 [[한자]]로, '일만(一萬)'을 뜻한다. 숫자 만([[10000]])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로, '모든', '매우', '상당히', '전부', '많다', '오래 가다' 등을 뜻하기도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성씨인 만(萬)씨도 이 한자를 쓴다. 창힐수입법으로는 廿田中月(TWLB)로 입력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일만 || || {{{-1 '''음'''}}} ||만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wàn || || {{{-1 '''[[광동어]]'''}}} ||maan^^6^^ || || {{{-1 '''[[객가어]]'''}}} ||van || || {{{-1 '''[[민북어]]'''}}} ||uāing || || {{{-1 '''[[민동어]]'''}}} ||uâng || || {{{-1 '''[[민남어]]'''}}} ||bān || || {{{-1 '''[[오어]]'''}}} ||ve (T3)[*文 [[문독]]] / me (T3)[*白 [[백독]], 萬子에서] || ||<-3> || ||<|2> '''[[일본어]]''' || {{{-1 '''음독'''}}} ||マン, バン || || {{{-1 '''훈독'''}}} ||{{{#c88 よろず}}} || ||<-3> || ||<-2> '''[[베트남어]]''' ||vạn || [[파일:external/www.vividict.com/20120425225211717p.jpg]] 위 이미지의 맨 왼쪽의 것이 [[갑골문]]이고 그 바로 오른쪽의 것부터 금문,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현대에 사용되는 형태이다.[* 缺 자가 있는 칸은 해당 서체로 사용된 글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갑골문의 형태 때문에 학계에서는 萬이 이전에 [[전갈#s-2]]을 뜻하는 글자였으나 [[가차]]되어 현재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고 유추하고 있다. 본래의 의미인 '전갈'은 [[蠆]](전갈 채, 간체자로 虿)자가 갖게 되었으나 이 글자는 한국에서 잘 쓰이지 않는다. 이체자로 万이 있는데, 이는 불교가 중국으로 유입되면서 함께 전파된 기호인 [[卍]](卐)을 간략화한 것이라는 설이 있으며, 그 설에 의하면 위 이미지에서 萬의 이체자인 万의 예서 이전의 형태가 존재하지 않는 것도 예서가 유행한 [[한나라#s-1.2]] 이전에는 중국에 불교가 전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한자문화권]]에서는 [[10000]]이 현실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가장 큰 수였기 때문에 '정도가 엄청나다', '많다' 등을 의미하는 말로 萬을 주로 활용하고 그 이상의 수인 [[억(수)|억]]([[億]]), [[조(수)|조]]([[兆]]) 등은 잘 활용하지 않았다.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滿]]을 써야 하는 자리에 萬을 쓴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가령 '만점'을 '萬 points'로, 신조어인 [[만렙]]을 '萬 level'로 해석한다든지와 같은 경우가 있다.] 다만 일부 단어와 고사성어는 한자에 대한 지식이 있다고 하여도 혼동할 여지가 있는데, "만무(萬無)하다"나 "만전(萬全)을 기하다"와 같이 滿을 쓸 것처럼 보이는 단어에도 萬을 쓰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그저 일일이 외우는 수밖에 없다. == 용례 == === [[단어]] === * 구만리([[九]]萬[[里]]) * 만감(萬[[感]]) * 만고(萬[[苦]]) * 만국(萬[[國]]) * [[만국공법]](萬[[國]][[公]][[法]]) * 만국기(萬[[國]][[旗]]) * [[만국박람회]](萬[[國]][[博]][[覽]][[會]]) * [[만국평화회의]](萬[[國]][[平]][[和]][[會]][[議]]) * [[만권당]](萬[[卷]][[堂]]) * 만년(萬[[年]]) * [[만년설]](萬[[年]][[雪]]) * [[만년필]](萬[[年]][[筆]]) * 만능(萬[[能]]) * [[만능주의]](萬[[能]][[主]][[義]]) * 만력(萬[[曆]]): [[명나라|명]] [[세종#s-1]] [[만력제]]의 [[연호]] * 만리수(萬[[里]][[愁]]) * 만무(萬[[無]]): '○○가 있을 리 만무하다'의 그 '만무'이다. * 만물(萬[[物]]) * 만물상(萬[[物]][[商]]) * 만반(萬[[般]]): '만반의 준비를 하다' 의 그 '만반'이다. * 만방(萬[[邦]]) * [[만병통치약]](萬[[病]][[通]][[治]][[藥]]) * [[만보기]](萬[[步]][[機]]): 만보계 (萬步計)라고도 칭한다. * 만부당(萬[[不]][[當]]) * 만사(萬[[事]]) * [[만세]](萬[[歲]]) * [[만수]](萬[[壽]]) * 만약(萬[[若]]) * [[만우절]](萬[[愚]][[節]]) * [[만유인력]](萬[[有]][[引]][[力]]) * 만인(萬[[人]]) * 만일(萬[[一]]) * 만전(萬[[全]]): '만전을 가하다'의 그 '만전'이다. * [[만파식적]](萬[[波]][[息]][[笛]]) * 만패불청(萬[[覇]][[不]][[聽]]) * 만행(萬[[行]]/萬[[幸]]) * [[만화(단어)|만화]](萬[[花]]) * [[만화경]](萬[[華]][[鏡]]) * [[백만]]([[百]]萬) * [[백만장자]]([[百]]萬[[長]][[者]]) * [[억만장자]]([[億]]萬[[長]][[者]]) *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 [[고사성어]]/[[숙어]] === * 가서만금([[家]][[書]]萬[[金]])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 만수무강(萬[[壽]][[無]][[疆]]) * [[삼라만상]]([[森]][[羅]]萬[[象]]) * [[야오요로즈]]([[八]][[百]]万) : [[신토]]에서 모시는 신들을 이르는 관용어. * 이역만리([[異]][[域]]萬[[里]]) * 천부당만부당([[千]][[不]][[當]]萬[[不]][[當]]) : 어림없이 사리에 맞지 않는다는 뜻의 고사성어. * 천신만고([[千]][[辛]]萬[[苦]]) * 천차만별([[千]][[差]]萬[[别]]) === [[창작물]] === * [[만인보]](萬[[人]][[譜]]) * [[万圣节之夜]] * [[万戈イム-一ノ十]] * [[万物快楽理論]] * [[万華鏡]] * [[万吨匿名信]] * [[115万キロのフィルム]] * [[R壱萬]] === [[인명]] === * [[강만수(배구)]]([[姜]]萬[[守]]) * [[고이만년]]([[古]][[爾]]萬[[年]]) * [[근육 만타로]](キン[[肉]] 万[[太]][[郎]]) * [[김만수(바둑)|김만수]]([[金]]萬[[樹]]) * [[김만중]]([[金]]萬[[重]]) * [[김용만]]([[金]][[容]]萬) * 만(萬)씨(중국어에서는 wàn이라고 읽음) 성을 가진 모든 [[한국인]], [[중국인]] 또는 [[한국계]], 중국계들 * 만세덕(萬[[世]][[德]]) * [[만적]](萬[[積]]) * [[만조#s-2]](萬Z, manzo) * [[만죠메 쥰]](万[[丈]][[目]] [[準]]) * [[만지]]([[卍]]/万[[次]]) * [[송만]]([[宋]]萬) * [[안우만]]([[安]][[又]]萬) * [[야오요로즈 모모]]([[八]][[百]] 万[[百]]) * [[완시통]](萬[[知]][[堂]]) * [[요보 반카]]([[誉]][[望]] 万[[化]]) * [[이만기]]([[李]]萬[[基]]) * [[장성만]]([[張]][[聖]]萬) * [[존 만지로]](ジョン 万[[次]][[郎]]) * [[채만식]]([[蔡]]萬[[植]]) * [[최만리]]([[崔]]萬[[理]]) * [[한용운]]: 법호([[스님|승려]]가 열반에 들고 얻는 이름)가 만해(萬海)이다. === [[지명#s-2]] === * 만경강(萬[[頃]][[江]]): 전라북도 북부의 [[강]]. * [[만경대|만경봉(萬[[景]][[峰]]) 혹은 만경대(萬景臺)]]. [[북한산]]의 봉우리 중 하나. / [[북한]] [[김일성]]의 [[생가]]의 이칭(만경대; [[만경대구역]]). * [[만안구]](萬[[安]][[區]]) * [[만덕대로]](萬[[德]][[大]][[路]]) * [[만덕동]](萬[[德]][[洞]]) * [[만덕역]](萬[[德]][[驛]]) * 만보산(萬[[寶]][[山]]): [[중국]] [[지린 성]]의 산으로, [[만보산 사건]]이 발생한 산. * 만수산(萬[[壽]][[山]]): [[송악산]]의 또 다른 이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属]](붙일 속)[* [[屬]](붙일 속)의 [[신자체]]이자 [[간체자]]] * [[寓]](부칠 우) == 여담 == * 개그맨 [[김병만]]은 '[[달인(개그콘서트)|달인]]' 코너의 [[https://youtu.be/gadQlnmwnGQ|'한자의 달인 토익 김병만' 편]]에서 자신의 이름을 직접 한자로 쓴 바 있다. 이때 [[一]](한 일), [[二]](두 이), [[三]](석 삼)의 모양에 착안하여 萬(일만 만)을 쓸 때 가로 선 10000개를 긋는(...) 개그를 선보였다. 실제로 김병만의 '만'은 萬이다. 즉 실제로는 다른 한자를 쓰면서 개그를 위해 萬을 가져다 쓴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이름에 萬을 사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