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苦}}}쓸 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くる-しい, くる-しむ,[br]くる-しめる, にが-い, にが-る,[br]{{{#c88 にがな, はなは-だ}}}}}}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kǔ{{{#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苦는 ''''쓸 고''''라는 [[한자]]로, [[쓴맛]] 또는 괴로움, 고통(苦痛)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쓰다 || || {{{-1 '''음'''}}} ||고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kǔ || || {{{-1 '''[[광동어]]'''}}} ||fu2 || || {{{-1 '''[[객가어]]'''}}} ||fú, khú || || {{{-1 '''[[민동어]]'''}}} ||kū || || {{{-1 '''[[민남어]]'''}}} ||khó͘ || || {{{-1 '''[[오어]]'''}}} ||khu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ク || || {{{-1 '''훈독'''}}} ||くる-しい, くる-しむ,[br]くる-しめる, にが-い, にが-る,[br]''にがな'', ''はなは-だ'' || ||<-3> || ||<-2> '''[[베트남어]]''' ||thiết || [[유니코드]]에는 U+82E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十口(TJR)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소리를 나타내는 [[古]](옛 고)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풀의 맛이 쓰기 때문에 '(맛이) 쓰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의미가 파생되어 '괴롭다', '힘들다', '고통스럽다'와 같은 의미로도 쓰인다. == 용례 == === [[단어]] === '쓴맛' 자체의 뜻보다는 대체로 '괴로움'을 뜻하는 용례가 많다. * 고난(苦[[難]]) * [[고뇌]](苦[[惱]]) * 고락(苦[[樂]]) * 고로(苦[[勞]]) * [[쓴맛|고미]](苦[[味]]) * [[고민]](苦[[悶]]) * 고배(苦[[杯]]) * 고색(苦[[色]]) * [[고생]](苦[[生]]) * 고생담(苦[[生]][[談]]) * 고생문(苦[[生]][[門]]) * [[고소]](苦[[笑]]) * [[고수]](苦[[手]]) * [[고신]](苦[[辛]]) * 고심(苦[[心]]) * 고업(苦[[業]]) * 고역(苦[[役]]) * [[고전]](苦[[戰]]) * [[고초]](苦[[楚]]) * [[고충]](苦[[衷]]) * [[고통]](苦[[痛]]) * 고행(苦[[行]]) * 노고([[勞]]苦) * 만고([[萬]]苦) * 민생고([[民]][[生]]苦) * [[사고]]([[四]]苦/[[死]]苦) * 생활고([[生]][[活]]苦) * [[옥고]]([[獄]]苦) * 이중고([[二]][[重]]苦) * [[통고]]([[痛]]苦) * 행고([[行]]苦) === [[고사성어]]/[[숙어]] === * [[고진감래]](苦[[盡]][[甘]][[來]]) * 천신만고([[千]][[辛]][[萬]]苦) === [[인명]] === * [[니가타케 자이헤이]](苦[[竹]] [[財]][[平]]) * [[죠시라쿠#s-3|안라쿠테이 쿠쿠루]]([[暗]][[落]][[亭]] 苦[[来]]) === [[지명#s-2]] === * [[니가타케역]](苦[[竹]][[駅]]) === 기타 === * [[영원히 고통받는|영고]]([[永]]苦) == 유의자 == * [[惱]](번뇌할 뇌) == 상대자 == * [[肯]](즐길 긍) * [[嗜]](즐길 기) * [[樂]](즐거울 락, 즐길 락) * [[娛]](즐길 오) * [[悰]](즐길 종) * [[耽]](즐길 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若]](같을 약, 반야 야) * [[苫]](이엉 점) == 여담 == [[일본어]]로는 음도 く, 훈도 くるしい로 'く'라서 같은 발음의 [[9]]를 선호하지 않는다. 한국에서 [[死]](죽을 사)와 발음이 같아 [[4]]가 꺼려지는 것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