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7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제부수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色}}}빛 색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色,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ョク, シキ{{{#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いろ{{{#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è, shǎ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色-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色은 ''''빛 색''''이라는 [[한자]]로, '[[빛]]', '[[색채]](色採)', '색정(色情)' 등을 뜻한다. 그래서 ''''색 색''''이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8272에 배정되어있다. [[창힐수입법]]은 NAU(弓日山). 글자의 자원은 여러 설이 있다. 세 가지만 설명하자면 1. 남녀 두명이 [[성교]]하는 모습에서 따온 상형자이다. 성교하면서 붉어진 두 남녀의 얼굴빛에서 빛이라는 뜻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1. 人(사람 인)과 㔾(병부 절, 여기선 무릎을 꿇은 모양)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사람의 마음과 안색은 무릎을 꿇은 모양처럼 일치한다는 데서 '안색'과 '빛깔'을 뜻하게 되었다. 1. 絶과 같은 글자였다. 칼과 사람이 무릎 꿇은 모양을 본따 '끊다' 혹은 상대의 안색을 살피고 행동하다를 의미했다가 의미가 분화했다. 정도가 있다. 色 한 글자만으로 단어가 쓰인다. [[빛]], [[색]] 등의 뜻으로 자주 쓰인다. 음란한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성욕을 다른 말로 색욕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한자로 쓰면 色慾이다. == 자형 == ||<:>[[파일:120px-色-bronze.svg.png]]||<:>[[파일:120px-色-bigseal.svg.png]]||<:>[[파일:120px-色-seal.svg.png]]|| ||<:>금문||<:>대전체||<:>소전체||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色도 엄연한 부수이다. 그러나 쓰이는 한자가 워낙 적은데다가 그 한자들도 흔히 쓰지 않으니... 그나마 자주 쓰이는 한자로는 [[艶]](고울 염)이 있는데, 그나마도 본래 자형에는 色이 없던 것을 간략화한 거라 자원과는 무관하다. == 용례 == === [[단어]] === * '''[[색]] (色)''' * [[녹색]]([[綠]]色) * [[적색]]([[赤]]色) * [[청색]]([[靑]]色) * [[홍색]]([[紅]]色) * [[황색]]([[黃]]色) * [[흑색]]([[黑]]色) * 가색([[假]]色) * [[각색]]([[脚]]色/[[各]]色) * 기색([[氣]]色) * 난색([[難]]色) * 단색([[單]]色) * 단색광([[單]]色[[光]]) * 단색인쇄([[單]]色[[印]][[刷]]) * 단색판([[單]]色[[版]]) * [[단색화]]([[單]]色[[畫]]) * 단색흡수([[單]]色[[吸]][[收]]) * 면색([[面]]色) * 명색([[名]]色) * 무색([[無]]色) * 물색([[物]]色) * 바탕색(바탕色) * 발색([[發]]色) * 발색제([[發]]色[[劑]]) * 변색([[變]]色) * [[보호색]]([[保]][[護]]色) * 색감(色[[感]]) * [[색맹]](色[[盲]]) * [[색상]](色[[相]]) * [[색소]](色[[素]]) * [[색연필]](色[[鉛]][[筆]]) * [[흑체복사#빈 변위 법칙|색온도]](色[[溫]][[度]]) * [[색욕]](色[[慾]]) * [[색전하]](色[[電]][[荷]]) * 색정(色[[情]]) * 색정관계(色[[情]][[關]][[係]]) * [[색정광]](色[[情]][[狂]]) * 색정도착(色[[情]][[倒]][[錯]]) * 색정도착증(色[[情]][[倒]][[錯]][[症]]) * 색정적(色[[情]][[的]]) * [[색정증]](色[[情]][[症]]) * 자기색정([[自]][[己]]色[[情]]) * 색조(色[[調]]) * [[색종이|색지]](色[[紙]]) * [[색채]](色[[彩]]) * 생색([[生]]色) * 손색([[遜]]色) * 암색([[暗]]色) * 암색암([[暗]]色[[巖]]) * 암색잠([[暗]]色[[蠶]]) * [[염색]]([[染]]色) * [[염색체]]([[染]]色[[體]]) * 윤색([[潤]]色) * [[일색]]([[一]]色) * [[정색]]([[正]]色) * 채색([[彩]]色) * [[극채색]]([[極]][[彩]]色) * 기능적채색([[機]][[能]][[的]][[彩]]色) * [[무채색]]([[無]][[彩]]色) * 생채색([[生]][[彩]]色) * [[유채색]]([[有]][[彩]]色) * 채색계([[彩]]色[[契]]) * 채색면([[彩]]色[[面]]) * 채색화([[彩]]色[[畫]]) * 채색화토기([[彩]]色[[畫]][[土]][[器]]) * 채색회([[彩]]色[[繪]]) * 특색([[特]]色) * 퇴색([[退]]色) === [[고사성어]]/[[숙어]] === * [[경국지색]]([[傾]][[國]][[之]]色) * 공즉시색([[空]][[卽]][[是]]色) * [[교언영색]]([[巧]][[言]][[令]]色) * 만고절색([[萬]][[古]][[絶]]色) * [[색즉시공]](色[[卽]][[是]][[空]]) * 천하일색([[天]][[下]][[一]]色) * [[초록동색]]([[草]][[綠]][[同]]色) === [[인명]] === * [[고시키다 카이토]]([[五]]色[[田]] [[介]][[人]]) * [[이시이 이로하]]([[石]][[井]] 色[[葉]]) * [[잇시키 히요리]]([[一]]色 [[日]][[和]]) * [[쿠로이로 시하이]]([[黒]]色 [[支]][[配]]) === [[지명#s-2]] === === [[창작물]] === * [[糖果色恋爱学]] * [[ラムネ色 青春]] * [[夏色えがおで1,2,Jump!]] * [[色は匂へど散りぬるを]]([[향기로운 꽃도 언젠간 지는 법]]) * [[いろは唄]]([[이로하 노래]]) - 이로하 노래의 いろ(이로)가 色자를 뜻으로 읽은 것이다. * [[自傷無色]]([[자상무색]]) * [[金色へのプレリュード]] * [[키츠네가사키 아마이로]]([[狐]]ヶ[[崎]] [[甘]]色)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邑]](고을 읍) * [[芭]](파초 파) * [[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