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耗}}}소모할 모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耒|{{{#000,#fff 耒}}}]],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モウ, (コ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たよ-り, へ-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à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耗는 ''''소모할 모''''라는 [[한자]]로, '소모(消耗)하다', '소비하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소모하다 || || {{{-1 '''음'''}}} ||모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hào || || {{{-1 '''[[광동어]]'''}}} ||hou^^3^^ || || {{{-1 '''[[객가어]]'''}}} ||hô || || {{{-1 '''[[민북어]]'''}}} ||ha̿u || || {{{-1 '''[[민동어]]'''}}} ||hó̤ || || {{{-1 '''[[민남어]]'''}}} ||hòⁿ[*文 [[문독]]] / hàu[*白 [[백독]]] || || {{{-1 '''[[오어]]'''}}} ||hau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モウ, (コウ) || || {{{-1 '''훈독'''}}} ||{{{#c88 たよ-り, へ-る}}} || ||<-3> || ||<-2> '''[[베트남어]]''' ||hao, háo || [[유니코드]]에는 U+801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DHQU(手木竹手山)로 입력한다. [[설문해자]]에 의하면 원래는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毛]](털 모)가 합쳐진 [[형성자]]로, 벼의 일종을 나타내는 한자였다. 그러나 지금은 '소모하다'라는 뜻으로 사용하며, 왼쪽의 禾는 [[耒]](쟁기 뢰)로 바뀌었다. == 용례 == === [[단어]] === * 감모([[減]]耗) * 경모([[京]]耗) * 곡모([[穀]]耗) * 국모([[國]]耗) * [[마모]]([[磨]]耗) * 내마모성([[耐]][[磨]]耗[[性]]) * 마모율([[磨]]耗[[率]]) * 모곡(耗[[穀]]) * 모미(耗[[米]]) * 모상(耗[[喪]]) * 모손(耗[[損]]) * 모수(耗[[數]]) * 모외(耗[[聵]]) * 모절(耗[[竊]]) * 모진(耗[[盡]]) * 모한(耗[[旱]]) * 발모([[發]]耗) * 번모([[繁]]耗) * 비모([[費]]耗/[[備]]耗) * 사모([[四]]耗) * [[소모#s-1]]([[消]]耗) * 소모량([[消]]耗[[量]]) * 소모율([[消]]耗[[率]]) * 소모적([[消]]耗[[的]]) * [[소모전]]([[消]]耗[[戰]]) * 소모증([[消]]耗[[症]]) * [[소모품]]([[消]]耗[[品]]) * 손모([[損]]耗) * 쇠모([[衰]]耗) * 식모([[息]]耗) * 영모([[營]]耗) * 음모([[音]]耗) * 전모([[全]]耗) * 조모([[凋]]耗) * 혼모([[昏]]耗) * 환모([[還]]耗)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㲎]](모직물 루) * [[㧌]](가릴 모) * [[眊]](눈흐릴/늙을 모) * [[㿞]](늙을 모)[* [[耄]](늙을 모)의 [[속자]]] * [[𨱞]]^^[⿰镸毛]^^(다박머리 모)[* [[髦]](다박머리 모)의 [[동자#s-2]]] * [[䭷]](말총길 모, 수레덮개 렵) * [[酕]](매우취할 모) * [[竓]](밀리리터 모) * [[粍]](밀리미터 모) * [[秏]](벼 모) * [[軞]](병거 모) * [[枆]](복숭아 모, 무성할 무) * [[䋃]](비단 모) * [[𩫁]]^^[⿰高毛]^^(빳빳한털 모) * [[牦]](소 모) * [[㘪]](소모할/소식 모) * [[魹]](지명 모) * [[𩉪]]^^[⿰革毛]^^(털장식 용) * [[蚝]](쐐기 자, 구조개 호) * [[𪉚]]^^[⿰鹵毛]^^(이을 접)[* [[接]](이을 접)의 [[동자#s-2]]] * [[䶰]](장식물 초) * [[㕰]](성내어부를 학, 어조사 마) * [[䚽]](소식 호/모) * [[㚪]](영혼 호) * [[𤝄]]^^[⿰犭毛]^^/[[𨈥]]^^[⿰身毛]^^(모) * [[𥐽]]^^[⿰石毛]^^(적) * [[𠇔]] * [[𡥊]]^^[⿰子毛]^^ * [[𫷀]]^^[⿰巾毛]^^ * [[𢗳]]^^[⿰忄毛]^^ * [[𣲭]]^^[⿰氵毛]^^ * [[𣥡]]^^[⿰止毛]^^ * [[𪰌]]^^[⿰日毛]^^ * [[𭴎]]^^[⿰火毛]^^ * [[𦙤]]^^[⿰⺼毛]^^ * [[𭸶]]^^[⿰⺩毛]^^ * [[𮁠]]^^[⿰示毛]^^ * [[𬚱]]^^[⿰肉毛]^^ * [[𮗥]]^^[⿰角毛]^^ * [[𬲎]]^^[⿰𩙿毛]^^ * [[𩠔]]^^[⿰首毛]^^ * [[𩿘]]^^[⿰鳥毛]^^ * [[𪎷]]^^[⿰黃毛]^^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𪡱]]^^[⿰口耗]^^ * [[𣉶]]^^[⿱日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