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6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童}}}아이 동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立|{{{#000,#fff 立}}}]],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ドウ, {{{#c88 ト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わらべ, {{{#c88 わら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ó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 男有辠(罪)曰奴奴曰童[* 사내가 죄를 지으면 종이라 하는데, 종을 童이라 한다.] > [[반절|徒紅切]] > ---- > 설문해자 권삼, 䇂部 본디 노복(奴僕=남자 [[노비]]) 등을 뜻하였으나 현대에는 특히 '[[아동|어린아이]]'를 뜻하는 [[한자]]이다. == 상세 == ||
<:>[[https://en.wiktionary.org/wiki/File:%E7%AB%A5-oracle.svg|갑골문]]||<:>[[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7%AB%A5-bronze.svg|금문]]||<:>[[https://baike.baidu.com/pic/%E7%AB%A5/55797/0/a686c9177f3e6709bb4d4e3136c79f3df9dc55aa?fr=lemma&ct=single#aid=0&pic=a686c9177f3e6709bb4d4e3136c79f3df9dc55aa|童(아이 동)의 변천사]]|| ||<:><-2>[[위키낱말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童(아이 동)의 자형||<:>[[바이두 백과]]에서 설명하는 童(아이 동)의 자형 변천|| [[갑골문]]에서는 날카로운 침으로 눈을 찌르는 형상을 보이고 있는데 노예를 의미한다. 이는 고대 [[상나라]]에 눈을 실명시키는 형벌이 존재했기 때문. [[民#s-2|民]] 참조. 그 중 남자 아이 노예라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금문에서 소리 부호인 東을 추가하였다. [[유니코드]]에는 U+7AE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廿田土(YTWG)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가동]]([[家]]童/[[歌]]童/[[街]]童) * [[동승]](童[[僧]]) * 동시(童[[詩]]) * [[동심]](童[[心]]) * [[동안]](童[[顔]]) * [[동요]](童[[謠]]) * 구전동요([[口]][[傳]]童[[謠]]) * [[동자]](童[[子]]) * [[동자승]](童[[子]][[僧]]), [[옥동자]]([[玉]]童[[子]]) * [[동정]](童[[貞]]) * [[동제]](童[[帝]]) * [[동화]](童[[話]]) * [[목동]]([[牧]]童) * [[아동]]([[兒]]童) * 결식아동([[缺]][[食]][[兒]]童), 아동관([[兒]]童[[觀]]), [[아동노동]]([[兒]]童[[勞]][[動]]), [[아동문학]]([[兒]]童[[文]][[學]]), 아동복([[兒]]童[[服]]), [[아동심리학]]([[兒]]童[[心]][[理]][[學]]) * 척동([[尺]]童) === [[고사성어]]/[[숙어]] === * 가동주졸([[街]]童[[走]][[卒]]) * 관동지별([[冠]]童[[之]][[別]]) * 동우각마(童[[牛]][[角]][[馬]]) * 반로환동([[返]][[老]][[還]]童) === [[인명]] === * [[길덕동]]([[吉]][[德]]童) * [[니시타도지]]([[爾]][[子]][[多]]童[[子]]) * [[도우마]](童[[磨]]) * [[도지기리 라이코]](童[[子]][[切]] らいこ) * 동맹가첩목아(童[[猛]][[哥]][[帖]][[木]][[兒]]) * [[시도 마사요시]]([[獅]]童 [[正]][[義]]) * [[동휘호]](童[[揮]][[護]]) * [[테이레이타도지]]([[丁]][[禮]][[多]]童[[子]]) * [[텐도 아리스]]([[天]]童 アリス) * [[홍길동]]([[洪]][[吉]]童) === [[창작물]] === * [[동몽선습]](童[[蒙]][[先]][[習]]) * [[서동요]]([[薯]]童[[謠]]) * [[홍길동전]]([[洪]][[吉]]童[[傳]]) == 유의자 == * [[孩]](어린아이 해)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量]](헤아릴 량) * [[章]](글 장) * [[重]](무거울 중)[* 실제로 어느 정도는 관련이 있다. 밑부분 [[里]]의 형태는 [[東]](동녘 동)의 변형이기 때문. 해당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