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같은 한자를 두 개 합친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竝}}}나란히 병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立|{{{#000,#fff 立}}}]],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ヘ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なみ, なら-べる, なら-ぶ, なら-びに{{{#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ì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竝획순.gif|width=130]] 竝의 획순 [목차] [clearfix] == 개요 == 竝은 ''''나란히 병''''이라는 [[한자]]로, '나란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7ADD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廿卜廿(YTYT)으로 입력한다. [[파일:竝갑골.gif]] 두 사람이 나란히 서 있는 모습을 나타낸 한자다. 전체를 같이 [[상형자]]로 볼 수도 있고, [[立]](설 립) 두 개를 가로로 합친 [[회의자]]로 볼 수도 있다. '나란하다', '함께하다', '가로'라는 뜻을 지니게 되었다. [[並]]은 竝의 이체자로, 일본, 대만, 홍콩 등에서 표준자형으로 취급하고 있다. 중국 대륙에서는 [[幷]]과 竝을 같은 글자로 취급하여 모두 간화하나, 원래 幷은 幫모이고 竝은 竝모라서 발음이 다르다. 여기에 [[倂]]까지 더해지면 더 복잡해진다. == 용례 == === [[단어]] === * 병거(竝[[擧]]) * 병견(竝[[肩]]) * 병기(竝[[記]])[* [[倂]](아우를 병)을 써서 倂記로 적어도 된다.] * 병렬(竝[[列]]) * 병렬문(竝[[列]][[文]]) * 병렬연결(竝[[列]][[連]][[結]]) * 병렬접속(竝[[列]][[接]][[續]]) * 병립(竝[[立]]) * 병립형(竝[[立]][[形]]) * [[병살]](竝[[殺]]) * [[병살타]](竝[[殺]][[打]]) * [[병서#s-2]](竝[[書]]) * [[각자병서]]([[各]][[字]]竝[[書]]) * [[합용병서]]([[合]][[用]]竝[[書]]) * 병설(竝[[設]]) * 병용(竝[[用]]) * 병존(竝[[存]]) * 병치(竝[[置]]) * 병치혼합(竝[[置]][[混]][[合]]) * 병칭(竝[[稱]]) * 병합(竝[[合]]) * [[병합 정렬]](竝[[合]] [[整]][[列]]) * 선택적 병합([[選]][[擇]][[的]] 竝[[合]]) * 병행(竝[[行]]) * 병행조(竝[[行]][[調]]) * [[합병]]([[合]]竝) * [[합병 정렬]]([[合]]竝 [[整]][[列]]) * 병휘 === [[고사성어]]/[[숙어]] === * 병주고향(竝[[州]][[故]][[鄕]]) === [[인명]] === * [[나미키 토코]](並[[木]] [[塔]][[子]]) * [[마에나미 타케시]]([[前]]並 [[武]][[志]]) * [[사쿠나미 카레라]]([[作]]並 カレラ) * [[츠키나미 에이지]]([[附]]並 [[英]][[二]]) * [[전설 시리즈#s-3.1|히가미 나미우미]]([[氷]][[上]] 竝[[生]]) === [[지명#s-2]] ===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竝[[川]][[面]]) - 이 지역이 [[순우리말/지명]]인 '''아우내'''로 유명한 만큼 [[아우를 병]]으로도 읽히며 반대로 이 한자로도 쓰인다는 것이다. * [[도쿄도]] [[스기나미구]]([[東]][[京]][[道]][[杉]]並[[区]]) === [[창작물]] === * [[居並ぶ穀物と溜息まじりの運送屋]]([[늘어선 곡물과 한숨 섞인 운송업자]]) == 유의자 == * [[𥫺]](나란할 강/항) * [[𠤏]](나란할 보)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䏠]](고깃국 급) * [[垃]](쓰레기 랄/랍) * [[拉]](끌 랍) * [[柆]](나무꺾을 랍) * [[翋]](날 랍) * [[𧙀]](해어질 랍) * [[粒]](낟알 립) * [[砬]](돌소리 립) * [[𩶘]](물고기이름 립) * [[㕸]](배보내는소리 립) * [[𨋢]](승강기 립) * [[鉝]](식기이름 립) * [[䶘]](씹는소리 립) * [[𡶧]](우뚝솟을 립) * [[𩊌]](악곡의이름 봉) * [[𢓔]](갈 삽) * [[位]](자리 위) * [[泣]](울 읍) * [[㱞]](위태로울 읍) * [[䠴]](단정할 친) * [[𡛩]] * [[𢘮]] * [[𤇥]] * [[𤖹]] * [[𤤔]] * [[𥘸]] * [[𥅈]] * [[𧉼]] * [[𫃡]] * [[𧦰]] * [[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