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私}}}사사로울 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禾|{{{#000,#fff 禾}}}]],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わたくし]], [[わたし|]], {{{#c88 ひそ-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사로울 사(私).''' 사사롭다, [[가족]], 사삿일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79C1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DI(竹木戈)로 입력한다. [[厶]](사사 사)의 본자로,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음을 나타내는 [[厶]](사사 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에서는 [[와타시]]나 [[와타쿠시]]로 읽을 때 일반적인 1인칭 인칭대명사 '[[나]]' 또는 '저'를 뜻한다. 반대자인 [[公]](공평할 공)과 고사성어에서 자주 함께 나온다. [include(틀:일본어의 인칭대명사)] [[일본어]]에서 [[1인칭]] [[대명사]]로 매우 자주 쓰인다. 발음은 わた(く)し[* わたくし는 중의적인 의미 없이 100% '저'로 볼 수 있다. 다만 와타쿠시는 정말 극존칭이기 때문에 매우 딱딱한 인상을 주기 쉽다. 따라서 존댓말을 한다면 わたし도 충분히 예의 바르니 1인칭은 わたし로 하는 것이 좋다.]. 私 한자를 보고 '와타시' 라는 발음을 떠올릴 수 있는 외국인들도 꽤 많은 편이다. 남성은 존댓말을 할 때 또는 권위 있고 나이가 많은 사람[* 아이러니하겠지만 존댓말에서도 쓰고 계급이 높은 군인, 왕 등 권위 있는 사람도 아랫사람에게 일상적으로 쓴다. 극과 극인 셈. 창작물에는 잘 나오지 않지만 중년, 노년의 남성들이 일상적으로 쓰기도 한다. 그래서 남성 화자가 썼다고 무조건 '저'로 해석하면 글이 매우 이상해질 수 있다. 문장이 존댓말인지 반말인지를 보고 해석해야 한다.]이 주로 쓰고, 젊은 사람들은 사석에선 잘 안 쓰지만, 여성은 일반적으로 쓴다. == 용례 == === [[단어]] === * '''[[사]]/[[와타시]](私)''' * [[공사]]([[公]]私) * 사견(私[[見]]) * [[사교육]](私[[敎]][[育]]) * [[사립]](私[[立]]) * [[사립학교]](私[[立]][[學]][[校]]) * 사모(私[[募]]/私[[母]]) * 사법(私[[法]]) * [[사복]](私[[僕]]/私[[卜]]/私[[服]]/私[[腹]]) * 사사(私[[事]]/私私) * [[사생#s-2]](私[[生]]) * [[사생아]](私[[生]][[兒]]) * [[사생활]](私[[生]][[活]]) * 사석(私[[席]]) * [[사설]](私[[設]]/私[[說]]) * 사숙(私[[塾]]/私[[宿]]/私[[淑]]) * 사심(私[[心]]) * [[사유]](私[[有]]) * [[사유재산]](私[[有]][[財]][[産]]) * 사저(私[[邸]]) * [[사적]](私[[敵]]/私[[的]]) * [[사적제재]](私[[的]][[制]][[裁]]) * [[사전]](私[[戰]]/私[[田]]/私[[轉]]/私[[錢]]/私[[電]]) * [[사인]](私[[人]]/私[[印]]) * [[사학]](私[[學]]) === [[고사성어]]/[[숙어]] === * 공평무사([[公]][[平]][[無]]私) * 멸사봉공([[滅]]私[[奉]][[公]]) * 사리사욕(私[[利]]私[[慾]]) * 선공후사([[先]][[公]][[後]]私) * 오조사정([[烏]][[鳥]]私[[情]]) * 지공무사([[至]][[公]][[無]]私) === [[인명]] === * [[쿠구하라 멧시]]([[久]]々[[原]] [[滅]]私) * [[키사이치 아츠시]](私[[市]] [[淳]])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문서 사유화]]([[文]][[書]] 私[[有]][[化]]) * [[사심충]](私[[心]][[蟲]])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弘]](클 홍) * [[和]](화할 화) [[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