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4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票}}}표 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示|{{{#000,#fff 示}}}]],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ヒ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ふだ}}}}}}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pià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票는 ''''표 표''''라는 [[한자]]로, 쪽지, 표(ticket), 투표용지(ballot)를 뜻한다. == 자원 == [[유니코드]]는 U+7968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WMMF(一田一一火)로 입력한다. 원래의 자형은 𤐫(U+2442B)으로, [[火]](불 화)와 𢍱(높이 오를 천)이 합하여 높이 오르는 불, 즉 날리는 불똥을 뜻하는 [[회의자]]이다. 날리는 불똥은 가벼우므로 '가볍다'는 뜻이 나왔다. 지금의 '표'라는 뜻은 가벼운 물건에서 다시 나온 것이며, 전서에서 해서로 바뀌는 과정에서 자형도 와전되어 현재의 [[覀]]+[[示]]의 꼴이 되었다. 표는 '보이는 것'이므로 현재 자형의 示(보일 시)에서 직접 뜻을 유추시켜 설명하기도 하지만, 원래는 그렇지 않다. 원 의미인 불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火를 다시 붙여서 熛(불똥 표)로 나타낸다. 또 1차 인신의인 가볍다의 뜻에서 '가볍다, 빠르다, 날래다' 등의 뜻을 가지는 한자들이 여럿 분화되었는데, 刀를 붙이면 [[剽]](빠를 표), 心을 붙이면 [[慓]](날랠 표), 走를 붙이면 𧽤(가볍게 갈 표), 馬를 붙이면 驃(황부루, 날랠 표)가 된다. == 용례 == === 단어 === * 개표([[開]]票) * 검표([[檢]]票) * 기표([[記]]票) * [[도박과 복표에 관한 죄]]([[賭]][[博]]-[[福]]票-[[關]]-[[罪]]) * 득표([[得]]票) * [[매표소]]([[賣]]票[[所]]) * [[무효표]]([[無]][[效]]票) * [[부동표]]([[浮]][[動]]票) * 사표([[死]]票) * [[암표]]([[暗]]票) * [[우표]]([[郵]]票) * 증표([[證]]票) - 무엇의 증명이나 증거가 될 만한 표. * [[투표]]([[投]]票) * [[차표]](車票) * [[표]](票) * 표요교위(票[[姚]][[校]][[尉]]) - [[전한]]의 명장 [[곽거병]]이 역임한 군직. 교위는 군직의 일종이며 표요가 날래다는 뜻으로, 票가 '가볍다'는 뜻으로 쓰인 예다. 票 대신 剽, 嫖, 驃를 쓰기도 한다.~~사실 한서에서 票는 거의 다 곽거병이나 표기장군이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賈]](값 가) * [[栗]](밤 률) * [[粟]](조 속) * [[要]](요긴할 요) * [[垔]](막을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