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C01222> '''{{{+1 {{{#fff 真夏の果実}}}}}} [br] {{{#fff 한여름의 과실 | Manatsu no Kajits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mYSLRDeQfg,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1990년]] [[7월 25일]] || || '''싱글 B면''' ||ナチカサヌ恋歌 (Live at BUDOKAN)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94576; font-size: .9em" [[稲村ジェーン|{{{#fff '''稲村ジェーン'''}}}]]}}} || || '''장르''' ||[[록]], [[발라드]] || || '''작사/작곡''' ||[[쿠와타 케이스케]] || || '''편곡''' ||[[사잔 올 스타즈]][br]고바야시 타케시[* [[미스터 칠드런]], [[My Little Lover]], [[back number]]의 프로듀서로 유명한 인물.] || || '''재생 시간''' ||4분 39초 || || '''레이블''' ||타이시타 라벨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真夏の果実.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iYXbPZtjI, height=24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aoMXmGDU0g, height=240)]}}} || || {{{#ffffff ''' 2008년 콘서트 버전 ''' }}} || {{{#ffffff ''' 2008년 어쿠스틱 버전 ''' }}} || 일본의 밴드 [[사잔 올 스타즈]]의 28번째 싱글이자 밴드를 대표하는 명곡 중 하나다. == 특징 == [[여름]]의 애틋한 정경과 함께 덧없이 아름다운 여름의 사랑, 그리고 가벼운 여름 바람을 떠올리게 하는 어쿠스틱한 사운드를 그려냈다. 사잔 올 스타즈의 대표적인 [[여름 노래]]이자 이들을 대표하는 발라드 중 하나다. 1990년 7월 25일 발매 당시 [[오리콘 차트]]에서는 4위로 등장, 출하 매수는 85만장을 기록해 90년도 일본에서 9번째로 많이 팔린 싱글이다. 사잔 올 스타즈의 [[1990년대]] [[히트곡]]들 중에서 기록적인 히트를 기록한 노래는 아니지만, 이 노래가 일본을 대표하는 여름 노래가 된 이유는 [[쿠와타 케이스케]]가 직접 연출한 여름을 배경으로 한 영화 '이나무라 제인'의 주제가였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OST로 사용된 '希望の轍'도 사잔을 대표하는 명곡 중 하나다.] '이나무라 제인'은 당시 일본 영화계에서 '[[천과 지]]', '태즈메이니아 이야기', '[[도라에몽]] 극장판'에 이은 배급 수입 4위(18억엔)을 기록해 흥행에 성공했다.[* 다만, 영화의 평가는 좋지 않았다.] 특히 1990년의 일본은 CD 버블기의 돌입해 인기 밴드와 거물급 아티스트에게도 분기점이 마련되면서 새로운 성장을 이루는 분기점이 된 해이다. 그것을 상징하는 히트곡이 사잔 올 스타즈의 '한여름의 과실'이다. 이 노래는 쿠와타 케이스케가 자랑하는 뛰어난 멜로디와 감수성 넘치는 가사가 특징인 노래다. 쿠와타를 대표하는 발라드 넘버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당시 쿠와타 케이스케가 편곡가로 기용한 고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의 사운드가 두드러지는 노래다. 대부분의 편곡을 고바야시에게 맡겼다고 말할 정도로 코러스와 오오모리 타카시가 연주하는 [[우쿨렐레]]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편곡을 고바야시가 작업했다.[* 이 노래의 유명한 인트로 부분도 고바야시가 만들었다.[[https://reminder.top/113691906/|#]]] 고바야시의 디지털을 사용하면서도 아날로그 터치로 반짝반짝하고 반들반들한 사운드가 특징이다. 피아노나 스트링을 담지 않아도 리스너들에게 인상에 남는 뛰어난 편곡을 구축했다. 이후 쿠와타는 '밴드가 고바야시에게 지나치게 의존한다'라고 생각해 1993년부터는 고바야시와 더 이상 협업하지 않았다. 평론가들이 극찬한 사잔의 대표적인 명곡 중 하나다. 음악 평론가 하기와라 켄타는 이 노래에 대해 "쿠와타 케이스케라는 뮤지션의 성장을 정말 일깨워준 [[걸작]]이고 '한여름의 과실'은 사잔이 이후에도 활동을 이어가는데 매우 중요한 한 곡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좀 어른스럽고 듣는 사람을 울리는 이후 사잔을 상징하는 곡이죠."라고 말했다. 평론가 스지 스즈키는 "쿠와타 케이스케라는 사람이 1980년대 [[아오야마가쿠인대학]]의 아마추어 밴드풀로 갈 수 있는 곳까지 가서 활동을 중단하고 고바야시 타케시라는 쿠와타 케이스케의 소리 만들기를 구현하는 파트너를 얻어 한 꺼풀 벗겨진 전환기의 곡이라고 생각합니다. 디지털인데도 굉장히 센티멘털한 인트로는, 쿠와타 & 코바야시의 작업이라는 느낌입니다. 풋내 나는 느낌의 사잔 올스타즈가 시대 한복판에서 1억 명을 상대로 메가세일즈하는 메가 사잔이 되는 계기가 된 명곡인 것 같아요."라고 평했다.[[https://www.news-postseven.com/archives/20210726_1677640.html?DETAIL|#]] [[야마시타 타츠로]]도 이 노래를 쿠와타의 노래 중 가장 좋아한다고 밝혔으며, [[도쿄지헨]]의 [[카메다 세이지]]는 이 노래를 듣고 프로듀서를 꿈꿨다고 말했다. 발매 이후 이 노래는 꾸준하게 CM송에 사용되거나 방송 프로그램에 등장했고,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커버하면서 여름 노래의 [[스테디셀러]]이자 세대를 아우르는 일본의 국민 노래 중 하나가 됐다. 사잔 명곡 순위 랭킹하면 TOP 5 안에 드는 대인기곡이며, '일본인들이 뽑은 명곡 랭킹'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노래다. * 2008년 사잔 올 스타즈의 30주년 기념 투어 '한여름의 대감사제'에서 '팬들이 뽑은 라이브에서 불렀으면 하는 [[https://ja.wikipedia.org/wiki/%E7%9C%9F%E5%A4%8F%E3%81%AE%E5%A4%A7%E6%84%9F%E8%AC%9D%E7%A5%AD_LIVE#%E3%83%AA%E3%82%AF%E3%82%A8%E3%82%B9%E3%83%88%E3%83%A9%E3%83%B3%E3%82%AD%E3%83%B3%E3%82%B0_%EF%BC%88%E4%B8%8A%E4%BD%8D50%E6%9B%B2%EF%BC%89|리퀘스트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希望の轍.] * 2018년 [[오리콘]]이 조사한 '10대~50대가 뽑은 [[https://www.oricon.co.jp/special/51505/|헤이세이 시대 여름 명곡 랭킹]]'에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유즈(가수)|유즈]]의 [[夏色]].] * 2022년 6,249명이 뽑은 '[[https://nlab.itmedia.co.jp/research/articles/781801/6|가장 좋아하는 사잔 올 스타즈 싱글곡 랭킹]]'에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LOVE AFFAIR〜秘密のデート] * 2022년 1,375명이 뽑은 '[[https://nlab.itmedia.co.jp/research/articles/871402/6|가장 좋아하는 사잔 올 스타즈 가사 랭킹]]'에서 1위를 차지했다. * 2022년 [[레이와 시대]]의 젊은 아티스트들이 뽑은 '[[https://www.daily.co.jp/gossip/2022/05/06/0015279744.shtml?pg=2|최강 헤이세이 명곡 랭킹]]'에서 3위를 차지했다.[* 1위는 [[우타다 히카루]]의 Automatic. 2위는 [[키린지]]의 エイリアンズ.] 사잔 노래 중에서 [[가라오케]]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노래 중 하나다. [[조이사운드]]에서 집계한 사잔 올 스타즈의 인기 곡 [[https://www.joysound.com/web/search/artist/4499/ranking|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TSUNAMI]].] == 가사 == ||<:> '''{{{#000,#fff {{{+4 真夏の果実}}}}}}''' 涙があふれる 悲しい季節は 눈물이 흘러넘치는 슬픈 계절에는 誰かに抱かれた夢を見る 누군가에게 안겨있는 꿈을 꿔 泣きたい気持ちは言葉に出来ない 울고 싶은 마음은 말로 할 수 없어 今夜も冷たい雨が降る 오늘 밤도 차가운 비가 내려 こらえきれなくて ため息ばかり 참을 수 없어 한숨만 쉬어 今もこの胸に 夏は巡る 지금도 이 마음엔 여름이 찾아와 四六時中も好きと言って 하루 종일 좋아한다 말해줘 夢の中へ連れて行って 꿈속으로 데려가줘 忘れられない Heart & Soul 잊을 수 없는 Heart & Soul 声にならない 소리 낼 수 없어 砂に書いた名前消して 모래에 쓴 이름을 지우고 波はどこへ帰るのか 파도는 어디로 돌아가는 걸까 通り過ぎ行く Love & Roll 지나가는 Love & Roll 愛をそのままに 사랑을 그대로 둔 채 マイナス100度の太陽みたいに 마이너스 100도의 태양처럼 身体を湿らす恋をして 온 몸을 적시는 사랑을 하고 めまいがしそうな真夏の果実は 현기증이 날 듯 한여름의 과실은 今でも心に咲いている 지금도 가슴에 피어있어 遠く離れても 黄昏時は 멀리 떨어져있어도 황혼이 질 때면 熱い面影が胸に迫る 뜨거운 기억이 가슴으로 다가와 四六時中も好きと言って 하루 종일 좋아한다 말해줘 夢の中へ連れて行って 꿈속으로 데려가줘 忘れられない Heart & Soul 잊을 수 없는 Heart & Soul 夜が待てない 기다려주지 않는 밤 砂に書いた名前消して 모래에 쓴 이름을 지우고 波はどこへ帰るのか 파도는 어디로 돌아가는 걸까 通り過ぎ行く Love & Roll 지나가는 Love & Roll 愛をそのままに 사랑을 그대로 둔 채 こんな夜は涙見せずに 이런 밤에는 눈물을 감추고 また逢えると言って欲しい 다시 만날거라 말해줘 忘れられない Heart & Soul 잊을 수 없는 Heart & Soul 涙の果実よ 눈물의 과실이여|| == 수록 앨범 == ||
'''{{{#white 발매일}}}''' || '''{{{#white 앨범명}}}''' || '''{{{#white 비고}}}''' || '''{{{#white 링크}}}''' || || [[1990년]] [[9월 1일]] || 稲村ジェーン || {{{-1 정규 10집이자 영화 '이나무라 제인'의 사운드트랙}}} || [[https://www.youtube.com/watch?v=sA6iF3Od2s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995년]] [[6월 4일]] || HAPPY! || {{{-1 수량 한정 베스트 앨범[br]한정판이란 현재는 폐반됐다.}}} || || || [[1998년]] [[6월 25일]] || [[海のYeah!!]][* 한여름의 과실이 두 번째 디스크에 첫 번째 트랙으로 등장한다.] || {{{-1 데뷔 20주년 올타임 베스트 앨범}}} || [[https://www.youtube.com/watch?v=0P1FloeKyF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00년]] [[11월 2일]] || バラッド3 ~the album of LOVE~[* 한여름의 과실이 첫 번째 트랙으로 등장한다.] || {{{-1 세 번째 발라드 베스트 앨범}}} || [[https://www.youtube.com/watch?v=-RTvXp4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커버 == 일본에서 많은 아티스트들이 계속해서 커버하는 노래다. 거의 매년 커버곡이 나올 정도. 그 외 동아시아의 유명 가수들의 커버도 존재한다. * 1991년 대만 가수 [[등려군]]이 [[https://www.youtube.com/watch?v=JLzOlUzyYbI|커버]]했다. 일본어로 불렀다. * 1991년 홍콩 가수 [[장학우]]가 [[https://www.youtube.com/watch?v=grF6U6UGW7Y|커버]]했다. 저작권을 사서 중국어 번안곡으로 불렀다. 이 노래는 홍콩 음악 차트에서 무려 34주동안 1위를 했다. * 1995년 [[후쿠야마 마사하루]]가 [[https://www.youtube.com/watch?v=1oRAiH_cYAo|커버]]했다. * 1999년 가수 마에카와 키요시(前川清)가 [[https://www.youtube.com/watch?v=7BExEEV5uBk|커버]]했다. * 2005년 BONNIE PINK와 사이토 카즈요시(斉藤和義)가 [[https://www.youtube.com/watch?v=kTRrQH75soY|커버]]했다. * 2006년 카와무라 류이치(河村隆一)가 커버했다. * 2006년 SOTTE BOSSE가 재즈풍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wEYwoGH6P9U|커버]]했다. * 2007년 니카이도 카즈미(二階堂和美)가 [[https://www.youtube.com/watch?v=razgrLuXK34|커버]]했다. * 2008년 [[EXILE]]이 [[https://www.youtube.com/watch?v=LxPNSN4-FLM|커버]]했다. * 2008년 모리야마 료코(森山良子)가 커버했다. * 2012년 [[Goose house]]가 [[https://www.youtube.com/watch?v=kl4SC2DGud4|커버]]했다. * 2013년 아야카(絢香)가 [[https://www.youtube.com/watch?v=s2kfB-R9CWU|커버]]했다. * 2013년 [[Uru]]가 [[https://www.youtube.com/watch?v=sNbsjw6K5z0|커버]]했다. * 2015년 피아니스트 오하라 타케시(小原孝)가 커버했다. * 2016년 [[kobasolo]]가 [[https://www.youtube.com/watch?v=wGKJNmDagUo|커버]]했다. * 2017년 엔카 가수 후지 아야코(藤あや子)가 커버했다. * 2019년 AiemuTV가 [[https://www.youtube.com/watch?v=Bt0p4Sqia08|커버]]했다. * 2019년 [[미우라 다이치]]가 [[https://www.youtube.com/watch?v=noPpiE42mRk|커버]]했다. * 2020년 JUJU가 커버했다. * 2020년 [[유우리(가수)|유우리]]가 [[https://www.youtube.com/watch?v=791fGshfXfo|커버]]했다. * 2021년 노다 에미(野田愛実)가 [[https://www.youtube.com/watch?v=1sJ-TOaKoss|커버]]했다. * 2022년 Def Tech가 [[https://www.youtube.com/watch?v=d4OMA-pIx-0|커버]]했다. * 2022년 [[TUBE]]가 [[https://twitter.com/TUBE__Official/status/1570019661357502467?t=pyC4lzaZAx9QR-EWN9FNgA&s=19|커버]]했다. * 2022년 오사무의 노래(オサムのうた)가 [[https://www.youtube.com/watch?v=L5WkCI77r20|커버]]했다. [[분류:사잔 올 스타즈]][[분류:1990년 노래]][[분류:1990년 싱글]][[분류:일본 노래]][[분류:일본의 록 음반]][[분류:영화 음악]][[분류:록 발라드]][[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