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璹}}}옥그릇 숙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玉|{{{#000,#fff 玉}}}]], 14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8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특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𰡽}}}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シュウ, シュク}}}}}}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𰡽}}}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shú}}}}}}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璹은 ''''옥그릇 숙''''이라는 [[한자]]로, '옥 그릇'을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玉]](구슬 옥)과 소리를 나타내는 [[壽]](목숨 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74B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GGNI(一土土弓戈)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이숙(고려)|이숙]]([[李]]璹)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이체자 == * 𤩇^^[⿰⺩⿱⿷⿴己工工口]^^(U+24A47) * 𤩈^^[⿰⺩⿹⿷⿴弓工工口]^^(U+24A48) == 유의자 == * [[瓃]](옥그릇 뢰/루) * [[𤣰]](옥그릇 보) * [[㺩]](옥그릇 슬/규) * [[㺱]](옥그릇 잉) * [[珨]](옥그릇 합)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𤘀]]^^[⿰片壽]^^(널 도) * [[𥖲]]^^[⿰石壽]^^(다듬이질할 도) * [[䊭]](덮을 도, 된죽 주) * [[檮]](등걸 도, 산대 주) * [[濤]](물결 도) * [[禱]]/[[䮻]](빌 도) * [[㹗]](새끼없을 도) * [[隯]]/[[嶹]](섬 도)[* [[島]](섬 도)의 [[동자#s-2]]] * [[壔]](성채 도) * [[擣]]/[[𦦰]]^^[⿰白壽]^^(찧을 도) * [[軇]](키클 도) * [[𩟕]]^^[⿰𩙿壽]^^(배부를 볼) * [[醻]](갚을 수)[* [[酬]](갚을 수)의 [[동자#s-2]]] * [[嬦]](여자의자 수) * [[懤]](근심할 주) * [[㿧]]/[[嚋]](누구 주) * [[燽]](드러날 주) * [[躊]](머뭇거릴 주) * [[䌧]](명주 주)[* [[紬]](명주 주)의 [[속자]]] * [[儔]](무리 주) * [[譸]](속일 주) * [[鑄]](쇠불릴 주) * [[𥌆]]^^[⿰目壽]^^(움직일 주) * [[疇]](이랑 주) * [[䲖]](큰물고기 주) * [[𦡴]]^^[⿰⺼壽]^^(포/배앓이 주) * [[幬]](휘장 주, 덮을 도) * [[𣋬]]^^[⿰日壽]^^ * [[𭷈]]^^[⿰爿壽]^^ * [[𮖻]]^^[⿰衤壽]^^ * [[𫇠]]^^[⿰舟壽]^^ * [[𫋤]]^^[⿰虫壽]^^ * [[𬰯]]^^[⿰韋壽]^^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𨟢]]^^[⿰璹⻏]^^(땅이름 수) [[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